DOI QR코드

DOI QR Code

대구시 중구 남산동 2504번지 군집형 도시한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rban Hanok Clustering in the area of 2504 Namsan-dong, Jung-gu, Daegu

  • 김보경 (경북대학교 건축학부 대학원) ;
  • 조재모 (경북대학교 건축학부)
  • 투고 : 2014.07.31
  • 심사 : 2014.12.10
  • 발행 : 2014.12.30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look into how and with what architectural aspects urban Hanok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s) responded to the housing market of the 1970s, when the focus was brought to the distribution of new types of housing such as modern detached houses and apartments. The target of the study was 2504 Namsan-dong Jung-gu Daegu, where Hanok in a similar type were aggregated on typical lots among the existing areas of aggregated Hanok. The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housing sites of 2504 Namsan-dong had been made from one lot of farmland. It belonged to 1 person named Kim,Sihoo and was divided into over 20 small lots. Then each owner got the ownership including Hanok architecture. (2) Every house has 4 rooms, kitchen and bathroom that have almost same size. But there are some small differences; they could be said each type. (3) These Hanok architectures are made of same dimension lumbers. It means they are commercialized stamped houses for the economic efficiency of construction. It has looked into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lots in 2504 Namsan-dong and Hanok built on that. Although it started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it has significance that it suggested another case of urban Hanok developed in groups and distributed based on systematic planning claiming an advanced strateg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경북대학교

참고문헌

  1. 권선영, 1970-1980년대 대구의 시장아파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건축.토목공학부, 2011
  2. 김대일, 권용찬, 전봉희, 1950년대 서울지역 '간이한옥'의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5(12), 2009
  3. 김성우, 윤동근, 서울 사대문내의 전통 도시한옥 주거지에 있어서 근대적 변화의 초기 성격,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1), 1997
  4. 김아람, 1970년대 주택정책의 성격과 개발의 유산, 연사문제연구, 29, 2013
  5. 김영수, 돈암지구(1940-1960) 도시한옥 주거지의 도시조직, 서울학연구, 22, 2004
  6. 김영수, 건축법제가 한옥형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 53(9), 2009
  7. 김정호, 김근용, 주택정책의 회고와 전망, 국태개발연구원, 1998
  8. 남용협, 서울 명동 도시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제1중앙토지구획정리사업 충무로지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건축설계전공, 2010
  9. 대구광역시, 대구토지구획정리백서 1996, 1996
  10. 대구시사편찬위원회, 대구시사, 1973
  11. 박기범, 주택관련 법제에 따른 주거지 변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2005
  12. 박용환, 한국근대주거론, 기문당, 2009
  13. 박제성, 송인호, 가회동과 계동 도시한옥 주거지의 도시조직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구조계, 21(1), 2001
  14. 박철진, 1930년대 경성부 도시형 한옥의 상품적 성격,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2002
  15. 백선영, 한옥 멸실의 유형형태학적 해석-서울 한옥주거지의 1970년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부 도시설계전공, 2012
  16. 성태원, 송인호, 서울 삼청동35번지 도시한옥주거지 필지구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9(9), 2003
  17. 송인호, 도시형한옥의 유형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1990
  18. 윤정숙, 유옥순, 박선희, 김선중, 박경옥, (개정판)한국 주거와 삶, (주)교문사, 2011
  19. 이경욱, 청량리지구 도시한옥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건축역사도시전공, 2013
  20. 이경찬, 필지체계를 통해서 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도시공학전공, 1992
  21. 이미선, 조재모, 근대기 대구 중앙로의 필지변화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6(2), 2010
  22. 임창복,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돌베개, 2011
  23. 전남일, 한국 주거의 공간사, 돌베개, 2010
  24. 전봉희, 권용찬, 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25. 조상은, 청량리 일대 근.현대 도시주거지의 형성과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2013
  26. 조선총독부, 폐쇄지적(임야)도 등본, 대구광역시 중구청
  27. 조선총독부, 폐쇄지적(임야)도 등본, 대구광역시 남구청
  28. 조선총독부, 토지대장 부책, 대구광역시 중구청
  29. 조준범, 김영수, 한옥밀집지역의 도시조직 형성과 도시한옥의 특성 조사연구-목포 용당동 북교동 도시한옥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9(10), 2013
  30. 조준범, 최찬환, 필지 분합을 통해본 서울 북촌 도시조직의 변화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9(2), 2003
  31. 최석주, 대구시의 사회지역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2), 1997
  32. 하재명, 손세관, 양우현, 박찬돈, 박선경, 대구시 도시형 한옥의 평면 유형에 관한 연구-서성동, 인교동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5),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