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애니메이션의 효과적인 제스처연기 분석 - 찰리 채플린, 버스터 키튼의 과장연기 비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effective gesture acting animation - Charlie Chaplin, Buster Keaton's acting

  • 이다나 (중앙 대학교 첨단 영상 대학원) ;
  • 박진완 (중앙 대학교 첨단 영상 대학원)
  • 투고 : 2014.02.02
  • 심사 : 2014.03.03
  • 발행 : 2014.03.31

초록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액팅에서 가장 중요한 과장 연기의 요소를 구성하는 제스처를 고찰하는 작업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액팅이 획일화하는 데서 벗어날 것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12원칙과 라반의 에포트 이론을 활용 한다. 무성 코미디 영화와 기준이 되는 2D와 3D 애니메이션의 제스처 표현을 각각 분석 하며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 한다. 다음으로 무성 코미디 영화의 액팅을 애니메이션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찰리 채플린과 버스터 키튼은 초기 애니메이션에서 액팅의 주요한 참고요소가 됐으나, 최근 애니메이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중요하게 다루지 않고 있다. 그러나 3D 애니메이션이 주를 이루면서 점차 액팅, 역동성과 연기가 차지하는 역할이 더 중요시됨에 따라 찰리 채플린과 버스터 키튼의 제스처 연기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재조명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vergence from standardization of animation acting through working on investigating gestures comprising most principal exaggeration acting elements in animation act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s animation 12 principles and Laban's effort theory. This study respectively analyzes 2D and 3D animation gesture expressions that are standards for comedy silent film and derive commonness and difference from them. In the next,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how animation can utilize acting of comedy silent film. Charles Chaplin and Buster Keaton used to be important elements referring to early animation acting, but as the recent animation technology gets advanced, they are not treated significantly any more. However, as 3D animation turns out to be chief concerns and the roles that acting, dynamics and performance play become gradually important, the necessity is on the rise that Charles Chaplin and Buster Keaton's gesture performances should more prudently be reinterpre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석만, 스타니슬라브스키 연극론, 도서출판 이론과 편저, 1997
  2. 베르나르 제넹, 윤학로 역, 카이에 뒤 시네마 영화이론-애니메이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2007
  3. 모린 퍼니스, 한창완, 조대현, 김영돈, 곽선영 옮김, 움직임의 미학 애니메이션의 이론, 역사, 논쟁, 한울 아카데미, 2001
  4. 스티브 닐 & 프랑크 크루트니크, 강현두 옮김, 세상의 모든 코미디,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5. 제리 L.크로포트& 조안 슬라이더, 양광남 옮김, 演技 : 개발과 표현, 예하, 1992
  6. 제프리 노웰-스미스 책임편집, 이순호 외 옮김,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 열린책들, 2006
  7. 찰리 채플린, 이현 옮김, 찰리 채플린 나의 자서전, 김영사, 2007
  8. frank thomas and ollie johnston, the illusion of life -disney animation, abbeville press,1981
  9. 김기홍, 2D Animation에 대한 3D Animation의 인식적 차이와 마임의 도입, 기초조형학연구, VOL.4 NO.1, 2003
  10. 김세진, 버스터키튼(BUSTER KEATON)의 무성 코미디 영화 연구, 디지털영상학술지, VOL.4 NO.1, 2007
  11. 신동선, 배우의 신체 훈련을 위한 라반 움직임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2011
  12. 박세혁, 무성영화 코메디와 초기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보드빌 슬랩스틱 코메디의 영향, 한국기초조형학, 통권 Vol.7 No.4(2006), p.263
  13. 윤정원, 애니메이션의 리드미컬 타이밍 연출에 관한 연구 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연구, Vol.5 No.1, p117
  14. 김명주, 제스처 분석에 의한 유럽 현대무용의 연극성 연구: 피나 바우쉬, 빔 반데키부스, 마기 마랭 작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1, 62p
  15. 홍순구, 3d 컴퓨터그래픽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한 연구:3d 디지털캐릭터의 표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VOL.1 NO.2, 2005
  16. http://www.tubaani.com/news/news_view.asp?idx=79
  17. http://en.wikipedia.org/wiki/Tom_and_Je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