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오염부하량을 고려한 월류수 처리시설 규모 결정

Determination of CSOs Treatment Capacity considering the Pollution Load

  • 김중훈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유도근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이의훈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Kim, Joong Hoon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Yoo, Do Geun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Lee, Eui Hoon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투고 : 2014.04.18
  • 심사 : 2014.05.08
  • 발행 : 2014.05.31

초록

도시배수시스템에서는 초기유출수(first flush)에 의한 하천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강우발생시 강우에 의해 도시지역의 비점오염원들에 의해서 오염물이 하수관거로 유입되고 한정된 하수처리장의 용량으로는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월류수에 의해 하천의 수질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대상유역으로 선정한 경기도 구리시 돌다리분구는 합류식 관거로 이루어져 있어 우기시 강우에 의한 월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월류에 의해 인근 왕숙천의 수질오염이 가중될 우려가 있어 적절한 처리시설의 설치가 필요하였다. 기존의 CSOs 설계에서는 강우의 최대치를 이용하여 설계가 연구되었다. 그러나, 강우의 최대치를 이용한 설계는 시설의 과다계획으로 이어져 많은 예산낭비를 초래할 수 있으며, 처리시설의 적정규모를 산정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특성을 분석하여 매개변수들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유출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위험도를 고려한 강우-유출분석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계산하였다. 유출량을 포함한 유출특성에 의해 월류특성을 분석하였다. 왕숙천 BOD 오염농도를 기준으로 설계하기 위해 하수처리장 용량별 처리시설 요구효율을 산정하였으며 현재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를 고려하여 간이 CSOs 처리시설의 효율을 71.48%로 하여 설계하였다.

Many researches has been conducted as extreme rainfall in hydrology and extreme rainfall analysis is not proper for determination of CSOs treatment capacity. In this study, runoff is calculated by tranformation from rainfall to runoff according to Interevent Time Definition. The capacity of sewage treatment plant is designed by 3 times of DWF(Dry Weather Flow) and the efficiency of present sewage treatment plant is very low becauseat at present. Also, The sewage treatment plant can not control CSOs. In this research, the pollution load is calculated by EMC(Event Mean Concentration) and pollution concetration of total runoff is a standard deciding suitablility of present sewage treatment plant. Finally, CSOs treatment capacity is determinated considering pollution load.

키워드

참고문헌

  1. J. S. Shin, "Analysis on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in urban river basin", thesis of master, Joongbu University, Chungchung-namdo 312-702, 2013.
  2. P. S. Eagleson, "Dynamics of Flood Frequenc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8, No. 4, pp. 878-897, 1997. DOI: http://dx.doi.org/10.1029/WR008i004p00878
  3. B. J. Adams, F. Papa, "Urban Stormwater Management Planning with Analytical Probabilistic Models", Wiley, 2000
  4.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74
  5. J. R. Benjamin, C. A. Cornell, "Probability, Statistics, and Decision for Civil Engineers", McGraw-Hill, New York, 1970
  6. C. Y. Guo, R. B. Urbonas, "Runoff Capture and Delivery Curves for Storm-Water Quality Control Design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8, No. 3, 2002 DOI: http://dx.doi.org/10.1061/(ASCE)0733-9496(2002)128:3(208)
  7. C. Y. Guo, B. R. Urbonas, "Special Report to the Urban Drainage and Flood Control District on Stormwater BMP Capture Volume Probabilities in United States", Denver, 1995
  8. D. R. Lee, S. M. Jung, "A Spatial-Tempor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the Han River Basin", Vol. 25, No. 4, pp. 75-85, 1992
  9. E. H. Lee, C. S. Yoo, D. J. Jo, J. H. Kim, "Estimation of Inter Event Time by Exponential decay Function",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nnual Con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