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Gagam-Jawoonaek about Erythema by UV Exposure

가감자운액(加減紫雲液) 도포가 자외선으로 유발된 피부 홍반에 미치는 영향

  • Kim, Tae Yeon (The Clinical Trial Center for Bio-Industry at Semyung University) ;
  • Kim, Yong Min (The Clinical Trial Center for Bio-Industry at Semyung University)
  • 김태연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 ;
  • 김용민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
  • Received : 2013.11.15
  • Accepted : 2013.12.13
  • Published : 2014.02.25

Abstract

We studied to investigate the erythema reduction effects generated by Gagam-Jawoonaek(GJ) application(appl.) after UV exposure. Twenty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with no skin diseases were recruited. We exposed UV as a 6 subsites on the left upper arm of subjects using multi-port solar simulator. After setting Gagam-Jawoonaek(GJ) application(appl.) subsites and non-appl. subsites, we measured erythema degrees($a^*$ values) of the subsites using spectrophotometer. We measured $a^*$ values four times(before UV exposure, before application of GJ, twenty-four and forty-eight hours after first application of GJ). We analyzed data using student's t-test. After UV exposure, $a^*$ values on the left upper arm increased. Twenty-four hours after first GJ treat., the changes of $a^*$ value on GJ treat. subsites($1.22{\pm}0.13AU$) were bigger than GJ non-treat. subsites($1.04{\pm}0.12AU$),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Forty-eight hours after first GJ treat., the changes of $a^*$ value on GJ treat. subsites($1.95{\pm}0.11AU$) were bigger than GJ non-treat. subsites($1.58{\pm}0.13AU$),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Gagam-Jawoonaek could decrease erythema by UV exposure.

Keywords

References

  1. 정이청. 피부미용에 대한 일반인식과 관리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피부과학 개정 5판. 서울, 여문각. p 131, 136, 2008.
  3.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년도 상반기 식품의약품안전처 기능성화장품 심사 건수(단일 기능성 품목). Available from: URL: http://www.mfds.go.kr
  4. 한달수, 한재경, 김윤희. 아토피樣피부염 NC/Nga 생쥐에서 消風導赤湯加味와 아토피크림, 紫雲膏 및 消風導赤湯加味의 병용투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4(1):9-35, 2010.
  5. 송현지, 한재경, 김윤희. 아토피樣피부염 NC/Nga 생쥐에서 加減消毒飮과 아토피크림-紫雲膏의 병용투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3(2):51-85, 2009.
  6. 여의주, 한재경, 김윤희. 아토피성피부염유발제제(BMAC)를 이용한 Atopy dermatitis NC/Nga mouse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아토피 크림과 紫雲膏의 병용도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3(1):37-72, 2009.
  7. 이남열. 아토피樣피부염 NC/Nga 생쥐에서 滋陰除濕湯加減과 아토피 크림, 紫雲膏의 병용투여가 Th17 세포의 분화억제 및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8. 이정용. 加味紫雲膏이 生肌作用에 미치는 影響.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9. 이용태. 紫雲膏가 生肌作用에 미치는 影響. 동의대학교 동의논집 28(1):547-558, 1998.
  10. 어경정. 紫雲膏가 흰쥐의 창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외관과학회지 11(1):54-68, 1998.
  11. 고우신. 쥐의 창상치유에서의 紫雲膏에 덧붙인 생지황의 효과. 대한외관과학회지 12(1):99-112, 1999.
  12. 이상욱. The effects of jawoongo mixture with RADIX SOPHORA FLAVESCENTIS on wound healing in rats.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3. 이금택, 최병태, 이용태, 고우신. 紫雲膏加金銀花가 흰쥐의 創傷에 미치는 效果. 대한한의학회지 20(1):132-141, 1999.
  14. 김수경, 최해윤, 지선영, 이상곤. 紫雲膏와 Gentamicin 작용이 創傷治癒및 創傷感染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19(4):137-160, 2004.
  15. 이종철. 加味紫雲膏이 mouse의 피부화상에 대한 혈액, 피부병리 및 분자생물학적 효과 및 기전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1.
  16. 박애련. 加味紫雲膏과 침치료가 흰쥐의 화상치유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7. 전재홍, 홍승욱. 紫雲膏가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및 光老化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1):130-144, 2007.
  18. 고흥, 김희택, 김순중, 김형준, 노정두 외. 世明大學校 韓方病院 處方集. p 248, 2010.
  19. 조미영, 조종환, 강인오, 배상설, 전영식, 김영주. 화장품학. 서울, 훈민사. p 73, 2005.
  20. 안봉전, 이진태, 이창언. 화장품 생물신소재. 파주, 광문각. p 82, 2009.
  21. 조완구, 랑문정, 배덕환. 현대 화장품학. 파주, 한국학술정보. p 80, 2007.
  22. 양은진. 화장품 원료로서의 레시틴의 유용성과 캡슐레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지 7(1):81-92, 2006.
  23.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저. 약초의 성분과 이용. 서울, 일월서각, pp 593-595, 1999.
  24. 주영승, 김기연, 장성환. 미용동의보감. 서울, 성보사, p 96, 102, 122, 123, 136, 141, 2004.
  25. 김윤희, 박영숙. 황금열수추출물이 DNCB로 유도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흰쥐의 항산화능 및 표피회복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5(5):543-548, 2006.
  26. 김상찬, 이재령, 최경임, 박숙자, 권영규, 변성희. 金銀花 화장수가 DNCB로 유발된 접촉성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1(1):9-15, 2006.
  27.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ISO 24444. Cosmetics -Sun protection test methods -In vivo determination of the sun protection factor(SPF). 2010.
  28. CIE, CIE Publication. 15.2:CIE 1976 uniform colour spaces:Colorimetry, Vienna, pp 29-32, 1986.
  29. CHARDON, A., CRETOIS, I., HOURSEAU, C., Skin color typology and suntanning pathways. Int. J. Cosmet. Sci., 13: 191-108, 1991. https://doi.org/10.1111/j.1467-2494.1991.tb00561.x
  30. 식품의약품안전처.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 고시 제2013-190호(2013.6.26. 개정)
  31. Serup, J., Agner, T. Colorimetric quantification of erythema-a comparison of two colorimeters(Lange Micro Color and Minolta Chroma Meter CR-200) with a clinical scoring scheme and laser-Doppler flowmetry, Clin. Exp. Dermatol. 15(4):267, 1990. https://doi.org/10.1111/j.1365-2230.1990.tb02087.x
  32. Schanda, J. Colorimetry: Understanding the CIE system, Hoboken,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p 61, 2007.
  33. FITZPATRICK, T.B., The validity and practicability of sun-reactive skin types I through VI. Arch. Dermatol. 124: 869-871, 1988. https://doi.org/10.1001/archderm.1988.01670060015008
  34. 최용범, 박석범, 서대헌, 박윤기, 안성구, 김기호 외. Fitzpatrick 분류법에 따른 한국인의 광피부형. 대한피부과학회지 38(7):920-927, 2000.
  35.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년도 화장품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인식도 조사. Available from: URL: http://www.mfds.go.kr
  36. 노호식. 한방화장품개발 및 시장현황. NICE 29(1):38-42, 2011.
  37. 조가원, 황충연, 홍석훈, 김남권 . 화장품 임상시험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6(1):104-117, 2013.
  38. 김태연, 황동석, 김희택, 김용민. 顔面部 鍼術 자극 후 加減紫雲液 도포가 혈류량 및 피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7(5):650-659, 2013.
  39. F. Christiaens, B. Uhlmann. Guidelines for Monitoring UV Radiation Sources. COLIPA.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