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Study on Long Run Effects of Determinants on Export of Korean Goods to US

한국의 대미국 수출 결정요인의 장기적 영향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4.11.29
  • Accepted : 2014.12.21
  • Published : 2014.12.27

Abstract

In this paper, I estimate long-run elasticities of US real GDP and real exchange rate between Korean Won and US Dollar on export of Korean goods to US and analyze changes in their trend by using VECM and rolling regression with a fixed window. For the purposes I use the year data from 1990 to 2013 which are selected from UNCTAD, Korea Trade Association(KTA), and Bank of Korea(BOK). The results are that the long-run elasticities of US real GDP vary from 2.849 to 2.938 for the period from 1990 to 2013 depending on the models in VECM and all of them are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elasticities of real exchange rate between Korean WON and US Dollar vary from 0.962 to 0.967 for the same period depending on the models in VECM and all of them are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case of the results through the OLS and the rolling regression, the long-run elasticities of US. real GDP are 3.015 for Basic Model, 2.949 for the modified Model 1, and 2.125 for the modified Model 2 for the period from 1990 to 2013 depending on the models and all of them are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average of long-run elasticities of real US GDP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is greater than tha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On the other hand, the long-run elasticities of real exchange rate between Korean WON and US $ are 0.347 for Basic Model, 0.566 for the modified Model 1, and -0.217 for the modified Model 2 for the same period and all of them are significant statistically except for the modified Model 2. The average of long-run elasticities of real exchange rate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is greater than tha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실질GDP와 원/달러 실질환율을 독립변수로 하고, 한국의 대미국 실질수출을 종속변수로 하는 한국의 대미국 수출함수를 설정하여 1990년부터 2013년까지의 연간 자료를 통해 이들 독립변수들의 한국의 대미 수출에 대한 장기탄력성을 추정하고, 이들의 연도별 변화추세를 살펴보았다. 공적분 검정과 VECM을 통해 구한 장기 추정식의 분석결과 장기소득탄력성과 장기환율탄력성 모두 양(+)의 부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적인 예상과 일치하였다. 한편, 전향적 회귀분석을 통한 연도별 장기탄력성 분석한 결과 장기소득탄력성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까지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최근 다시 2000년대 수준으로 다시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장기실질환율탄력성의 경우 모형과 연도에 따라 양(+)의 부호와 음(-)의 부호가 혼재되어 나타났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원/달러 실질환율에 대한 대미 한국수출의 민감도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