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무장애(Barrier-Free)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가로개선사업의 평가 및 개선방향 도출 - 서울특별시 걷고싶은거리 사업대상지를 중심으로 -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Barrier-Free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the Evaluation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s - Focused on the Street Improvement Program of Seoul -

  • 정윤남 (고려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도시계획및설계전공) ;
  • 이건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도시계획및설계전공) ;
  • 김세용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 투고 : 2013.05.02
  • 심사 : 2014.02.17
  • 발행 : 2014.03.25

초록

This study drew items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pedestrian environments of streets in terms of urban streets should be constructed as public spaces where every person can easily utilize. Furthermore, investigation of present condition and analysis of problems were carried out by applying drawn items on the streets where maintenance projects were underway for improving pedestrian environm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s the result, respective detailed assessment items could be drawn by classifying in respect of stability, accessibility, convenience, amenity, and expediency for mobility handicapped; from the result of applying the items on the sites, there are many unsuitable items for the standard related to installation of street facilities or environment construction even though it is the business that is composed for improving pedestrian environments. In addition, a lot of problems on maintaining streets were discovered, especially improving street environments for mobility handicapped is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병근 외, 장애인 및 노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교통광장의 실태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12), 2009
  2. 강병근 외, 일본의 베리어프리 공원의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도시공원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2), 2007
  3. 강준모, 이건록, Barrier Free 인증 모의평가를 통한 보행자도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9(1D), 2009
  4. 건설교통부, 보도설치 및 관리지침, 2004
  5. 건설교통부, 보도정비 사례집, 2007
  6. 고치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제도 시행, 도시정보, 통권 제317호, 2008
  7. 김상운 외,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 주택의 실태 및 요구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6), 2007
  8. 김성용, 공동주택단지 사례분석을 통한 외부보행로 평가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8(1), 2008
  9. 김영희, 휠체어사용자의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Barrier Free 인증지표 적용방안,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0. 문창호, 최근 일본 노인주거시설의 건축적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6), 2004
  11. 박남희 외, 한국과 일본의 노인가구 주택개조 관련 정책에 관한 고찰,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7(6), 2006
  12. 박종태, 보행자 전용공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차 없는 거리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13. 박준영 외, 고령사회에 대응한 고령자용 국민임대주택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23(4), 2007
  14. 박천보, 물리환경적 도심재생 관점의 특화거리 활성화 방안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5(8), 2009
  15. 박현찬, 걷고싶은 거리만들기 시범가로 시행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16. 서울특별시, 걷고싶은 서울을 만들기 위한 서울시 보행환경기본계획, 1998
  17. 서울특별시, 제2차 서울특별시 보행환경 기본계획, 2005
  18. 서대문구, 걷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범가로 조성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2000
  19. 성북구, 걷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범가로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 2000
  20. 영등포구, 걷고싶은 거리 여의도, 2000
  21. 용산구, 걷고싶은 도시만들기 기본 및 실시설계, 2000
  22. 이시영, 노인주거시설 외부공간의 이용행태 및 요구도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5(3), 2007
  23. 이연숙 외, 일본 주택의 유니버설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7(1), 2007
  24. 이용성.정석, 참여주체 관점에서 특화거리의 활성화 요인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8
  25. 이진숙 외, 특화가로 조성을 위한 환경디자인 요소의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5(2), 2009
  26. 이현정, 일본의 고령자 주거지원정책 및 고령자 주택 특성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2), 2007
  27. 임진경,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설정,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8. 정석, 보행자 안전을 위한 도로시설물 개선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5
  29. 정석, 보도설치기준 국제비교 연구, 시정개발연구원, 2006
  30. 정석, 서울시 보행우선지구 제도 운영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31. 정우석, 도시가로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의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2. 정호진, 양윤재, 도심보행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03
  33. 조철호 외, 장애인을 고려한 대학캠퍼스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회지, 19, 1999
  34. 황원경, 유니버셜 디자인 측면에서의 지하철 역 환경평가와 개선방안,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5. 황인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이용후 평가,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6. KAIST, 서울시 교통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983
  37. Paul Cottam, Assessment of Pedestrian Level of Service Methodologies, Christchurch City Council, 2004
  38. http://www.walkableamerica.org
  39. http://www.walksandieg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