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ffect of Self-leadership, Self-efficacy of Career Path Decision on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Path Preparation Behavior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박종순 (서일대학교 인터넷정보과) ;
  • 이종만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05.15
  • Accepted : 2014.06.10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total of 342 participants in 1th ~ 3th grades from universities in Seoul. Result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an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self-leadership had impact a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an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areer path preparation behavior were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can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path preparation behavior. This research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Consequently it mean that the career guide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 Therefore,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to enh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Keywords

References

  1. 이종찬.홍아정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고용가능성에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HRD연구, 제15권, 제3호, 2013, pp.215-245.
  2. 이숙적,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미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26권, 제1 호, 2013, pp.119-139.
  3. 김보경.정영철,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개인이 인식한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4권, 제2호, 2012, pp.49-71.
  4. 최재영, "수요자 중심의 e-비즈니스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7 권, 제4호, 2011, pp.141-152.
  5. 정철영.최동선.김진구, "전문대학에서의 진로 지도 체제 개편 및 운영방안," 농업교육연구, 제21 권, 제1호, 2002, pp.71-91.
  6. 신지영.박성실.형정은,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2012, pp. 19-35.
  7. 정미나.임영식,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3 권, 제2호, 2010, pp. 135-152
  8. Manz, C. 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o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9. 조원섭, "호텔종업원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27권, 제3호, 2013, pp.257-269.
  10. Manz, C. C. & Sims, H. P., New Super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d Themselves, Bettett-Koehler, San Francisco, CA, 2011.
  11. Manz, C. C. & Neck, C. P.,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3rd ed., Upper Ssddle River, N. J: Perarson Prentice-Hall, 2004.
  12. 황혜진.배수현. "컨벤션산업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 관광연구, 제12권, 제2호, 2010, pp.220-232.
  13. 심지연.이형룡, "관광계열 전공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1권, 제6호, 2012, pp.231-251.
  14. 이지연, "부모지지가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6호, 2013, pp.219-241.
  15. 나윤서.박정호, "셀프리더십, 서비스 지향성, 의사소통능력이 서비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감성 지능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제15 권, 제4호, 2012, pp.223-256.
  16.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ro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1977, pp.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7. 한주원,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사회적 지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논총, 제22권 제2호, 2013, pp.117-140.
  18. Hackett, G., & Betz, N. E.,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Vol. 18, 1981, pp.326-339.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19. 박종순.이종만, "대학생들의 혁신성, 자기효능감, 사회적 영향이 스마트폰 수용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2013. pp.189-202.
  20. Kossek, E. E., Robert, K., Fisher, S., & Demarr, B., "Career self-management : A quasi-experimental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training intervention," Personnel psychology, Vol. 51, No. 4, 1998, pp.935-960.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8.tb00746.x
  21. Taylor, K. M. & Betz, N. E.,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22, 1983, pp.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22.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 4, No. 1, 1996 pp.47-57.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103
  23. Hounghton, J. D., & Neck, C. P.,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17, No. 8, 2002, pp.672-691. https://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24. Neck, C. P., & Houghton, J. D.,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 past development,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21, No. 4, 2006, pp.270-295. https://doi.org/10.1108/02683940610663097
  25. 조성연.문미란, "성인대학tod의 진로결정자기효 능감 증진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4호, 2006, pp.731-748.
  26. Barbara, M. F. & Darrell, A. I., "Increas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Vol. 1, 1998, pp.35-43. https://doi.org/10.1002/j.2161-1882.1998.tb00122.x
  27. 이은진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8. 이기학.이학주,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제1호, 2000, pp.127-136.
  29.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박사학위논문, 홍익 대학교 대학원, 1977
  30. 박중길, "무용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7권, 제3호, 2006, pp.47-60.
  31. 이명숙,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 지각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분석,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2002.
  32. 김경식.김찬선, "경호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2013, pp.404-414.
  33.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1986.
  34. Hackett, G., & Betz, N. E., "Application of self-efficacy theory to understanding career choice behavior,"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 4, No. 3, 1986, pp.279-289. https://doi.org/10.1521/jscp.1986.4.3.279
  35. 이숙정.유지현,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3호, 2008, pp.589-607.
  36. 김명옥.박영숙,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1호, 2012, pp.69-90.
  37. 남기연.김경아, "청소년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 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 7호, 2011, pp.85-113.
  38. 이기순, 우리나라 과학 영재의 진로발달에 대한 질적 연구, 이화여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9. 한나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변인에 관한 연구: 비서관련 전공학생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0. 이종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41. 이정선.김경아(2012),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pp.19-39.
  42. 권선영.김명소.한영석,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기초직업능력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향: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09년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소비자 광고 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009, pp.140-141.
  43. 송한나,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44. 이정은, 구직 청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고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3.
  45. Bluestein, D., L., The role of goal instability and career self-efficacy in the career exporation pro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35, No. 2, 1989, pp. 94-203.
  46.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홍익 대학교 대학원, 2005.
  47. 김수리,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48. 김종운.박성실, "진로장벽탐색 집단상담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직업교육연구, 29(3), 2010, pp.209-230.
  49. Betz, N. E., & Voyten, K. K.,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6(2), 1997, pp.179-189.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1004.x
  50. 김민정,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 는 학습자 변인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