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비와 수요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국내 아파트의 일상의 소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ienation of Everyday Life in Korean Apart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ption and Demand

  • 권현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투고 : 2013.09.23
  • 심사 : 2014.04.19
  • 발행 : 2014.05.30

초록

Korean Apartment shows the alienation of everyday life in the area of consumption and demand. This kind of alienation comes from the consumer capitalism and consumption culture and has relation to the commodification of urban hous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way social structure impacts the everyday life of Korean apartment in the aspects as commodification for middle-class consumers, pre-construction sales model houses, tools for personal assets and a status symbol, and stylized life cultural equalization. And the fundamental contradiction is identified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as the homogeneous, economical and standardized product of mass production and the individual desire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s which is a prevalent phenomenon in the consumer socie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수택, 일상생활의 패러다임, 민음사, 1998
  2. 강식, 김성주, 아파트 문화 계속될 것인가, 이슈&진단, 경기개발연구원, 2011.9.7(제17호)
  3. 공동주택연구회, 한국공동주택계획의 역사, 세진사, 1999.10
  4. 미셸 마페졸리, 앙리 르페브르 외 지음, 박재환, 일상성.일상생활연구회 엮음,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 아카데미
  5. 박철수, 박인석, 아파트와 바꾼 집, 도서출판 동녘, 2012
  6. 백혜선,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일상생활공간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03
  7. 은난순, 1980년대 이후 한국 주거문화에 나타난 근대화의 재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2권 제5호, 2004
  8. 이진경 편저, 문화정치학의 영토들, 그린비, 2011
  9. 이경훈, 아파트 모델하우스 외관에 나타난 환유 구조에 관한연구-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권 3호, 2004.3
  10. 장 보드리야르 지음, 이상률 옮김, 소비의 사회, 문예출판사, 1999
  11. 전남일, 양세화, 홍형옥, 한국 주거의 미시사, 돌베게, 2009
  12. 전상인, 아파트에 미치다: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 이숲, 2009
  13. 최효찬, 일상의 억압기제 연구 : 자본주의 도시공간에 대한 문화정치학적 접근,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06.
  14. 천현숙, 아파트 주거문화의 특성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아파트 주거의 확산요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02
  15. Tom Avermaete, Klaske Havik and Hans Teerds (ed.), OASE #77 : Into the open, NAi Publishers, winter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