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재정비 촉진지구에서의 도시기반시설 부담금의 합리적 분담기준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 Assignment of Development Impact Fee for Infrastructure in Urban Renewal Accelerating Project

  • 투고 : 2013.10.23
  • 심사 : 2014.04.16
  • 발행 : 2014.05.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new appropriate assignment of development impact fee for infrastructure in urban renewal accelerating project. This study suggest new infrastructure construction cost burden method based on neighborhood model that can be adjust urban renewal area. and this process follow that step, firstly analysis existing problem i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of housing site development area and other type of urban development, secondly, finding the way can apply the weighted value of building floor area ratio and building use type in burden method and another way in current law.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형복 외 5인, 기반시설연동제 운영편람, 건설교통부, 2002
  2. 김형복, 홍철진, 개발에 따른 기반시설 부담비용의 적정배분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8권 제3호, 2003
  3. 김형복 외 7인, 기반시설연동제 활성화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2004
  4. 강운산, 기반시설부담금제도 정비방안, 한국 건설 산업 연구원, 2007
  5. 오병록, 김기호, 뉴타운 지구의 생활권계획과 실제, 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
  6. 이동훈, 양승우, 기반시설확보를 고려한 주택재개발사업구역 경계선 설정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
  7. 이명훈, 김철, 도시개발사업에 있어 도시기반시설의 비용부담 실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 37권 1호, 2002
  8. 이용우 외 3인, 도시개발에 있어서 도시공공시설의 합리적 공급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2000
  9. 이영성, 기반시설부담금 제도가 주택공급과 주택가격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0권 5호, 2005
  10. 이승주, 도시재정비촉징을 위한 특별법의 특례조항이 주택재개발 사업의 촉진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토계획 제42권 제3호, 2007
  11. 한국토지공사, 택지개발사업 간선시설 비용부담 제도개선방안, 1997
  12. 한국토지공사, 지역개발협력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연동 계획지원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2004
  13. 정우형, 지대식, 기반시설부담제도 운용기준 작성연구, 국토연구원, 2001
  14. 권영덕, 기성시가지내 정비사업의 공공시설 확보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15. 장윤배, 한지원, 경기도 기성시사지 정비방향 및 관리기준 수립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