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석면슬레이트 설치 경과년도에 따른 두께변화 분석 및 석면섬유 자연발생량 예측모델 개발

Analysis on Changes in Thickness of Asbestos Cement Slates through Years since First Installations and Development on Model to Natural Emission of Asbestos Fiber

  • 장원룡 (경북대 대학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 김영찬 (경북대 대학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 홍원화 (경북대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투고 : 2013.12.05
  • 심사 : 2014.05.05
  • 발행 : 2014.05.30

초록

Asbestos was one of those most frequently-used materials in constructions in Korea and 96% of the asbestos imported in the 1970's was used as a raw material of slates. However, when this asbestos gets absorbed into human bodies, it would cause some severe diseases. Researches on asbestine dust discharge are now considered to be carried out only immediately and in Korea, fortunately, those researches on the asbestine dust discharge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Even so, no study, so far, has discussed asbestos fiber discharge amount through years since a first installation of a slate. In consideration of that, in the concerned study, a total of 135 buildings which were built with slates, were observed as research subjects. Next, by databasing the data and using SPSS, the study looked into changes in thickness of the slates in the buildings through years since the first installations of the slates and also developed a model to forecast asbestos fiber discharge amount. As a result, Point A(end) was observed to discharge more asbestine dust than Point B(middle) by 0.014mm every year. In terms of the underneath of the troughs, the concerned part was understood to discharge more asbestine dust than narrow corridors by 0.004mm every year. The annual average asbestine dust discharge through years turned out to be 0.033mm and a functional formula to forecast natural discharge amount of the asbestos fiber was gained as (21.83 + 5.5 ${\times}$ a number of years since the installation)$g/m^2$.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be used to forecast a total amount of asbestos fiber discharge nationwide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현욱, "대형건물내 비고형 석면함유 건축자재에 의한 기중석면오염 및 관리실태",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5, 5.2: 137-146.
  2. 안종주, "석면과 환경성 질환", 韓國環境保健學會誌 第35券, 2009, 6: 538-541.
  3. 최정근 외 2인, "우리나라의 석면 생산과 사용 및 근로자 수와 노출농도의 변화", 한국산업위생학회지 제, 1998, 8.2.
  4. 정다위 외 7인, "석면 함유 슬레이트 지붕 철거작업시 주변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30.1(2013): 14-20.
  5. 환경부, "농가건물의 석면함유물질 사용 실태조사 연구", 2008
  6. 김영찬 외 3인, "도시지역 건축물의 석면슬레이트 지붕재료분포특성 연구", 大韓建築學會論文集計劃系; 2011, 27.1: 253-260.
  7. 환경부, "석면관리총람", 2009
  8. 정순희 외 11명, "감시체계를 통해 파악한 악성중피종의 역학적 특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8.1 (2006): 46-52.
  9. 배재민 외 2인, "석면함유자재 해체.제거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 산정을 위한 추정 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013, 29.10: 267-274.
  10. 한국석면환경협회 홈페이지, http://www.kaea.co.kr/
  11. 한국공업규격, "KS 1968", 1968
  12.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석면 함유 물질 관리 길잡이", 2008
  13. 정용현 외 5인, "건축물내 천장재 석면 실태조사 및 특성분석", 한국실내환경학회지 제1권 제2호, 2005.1, p.p. 156-165
  14. Bornemann, P., & Hildebrandt, U. (1986). "On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weathering products of asbestos cement". Staub. Reinhalt. Luft, 46, 487-489.
  15. Spurny, K. R. "On the release of asbestos fibers from weathered and corroded asbestos cement products". Environmental research, 1989, 48(1), 100-116. https://doi.org/10.1016/S0013-9351(89)80089-1
  16. Pastuszka, J. S. "Emission of airborne fibers from mechanically impacted asbestos-cement sheets and concentration of fibrous aerosol in the home environment in Upper Silesia, Poland".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009, 162(2), 1171-1177. https://doi.org/10.1016/j.jhazmat.2008.06.045
  17. 김현욱 외 5인, "슬레이트 지붕 노후화에 따른 석면 섬유방출량",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10, 20.2: 88-93.
  18. 장봉기 외 8인, "강우 경과시간에 따른 석면 슬레이트 지붕에서 유출된 빗물 중 석면 섬유 방출량", 순천향자연과학연구, Vol.17 No.2, 2011, 161-168
  19. 류제영, "슬레이트 지붕의 설치년도와 면적에 따른 공기 및 유출 빗물 중의 석면 농도", 2013
  20. 기상청, "1981-2010 한국기후도", 2012
  2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어촌지역 슬레이트지붕의 실태와 대책방향", 2010
  22.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석면함유 제품 실태조사 및 DB구축 연구", 2007
  23. 환경부, "석면 슬레이트의 적정 처리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연구", 2010
  24. 정부민원포털 민원24 홈페이지, http://www.minwon.go.kr/
  25.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석면대체물질 유해성평가 연구", 2002
  26. 김영찬 외 2인, "농어촌 주택 석면슬레이트 지붕재료 사용실태 및 거주자 인식도 조사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6(11), 2010, 363-370
  27. 환경부, "농어가슬레이트 사용실태 조사 및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2010
  28. 정정일, "석면의 위해성과 국민건강권 확보를 위한 비교법적 검토", 의료법학 12.1, 2011, 69-98.
  29. 김영찬 외 2인, "주택재개발 지구 내 건축물 해체 시 석면함유자재의 발생패턴 및 발생량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9.7, 2013, 317-324.
  30. 노영만, "국내 석면 실태조사 현황", 공기청정기술 22.1, 2009, 21-25
  31. 김영찬 외 3인, "GIS를 이용한 석면슬레이트 분포지도 작성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1(3), 2011.6, 57-62
  32. 이세현, "석면 해체 공사비용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9 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구조계 29.1, 2009, 657-660.
  33. 배재민 외 3인, "설문조사를 통한 석면슬레이트 건축물 거주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8.12, 2012, 399-406.

피인용 문헌

  1. Predicting the mortality from asbestos-related diseases based on the amount of asbestos used and the effects of slate buildings in Korea vol.542, 2016,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5.10.115
  2. Determination of the essential activity elements of an asbestos management system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their prioritization vol.137, 2016, https://doi.org/10.1016/j.jclepro.2016.07.117
  3. Visualizing distribution of naturally discharged asbestos fibers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thickness changes in asbestos cement slates vol.112, 2016, https://doi.org/10.1016/j.jclepro.2015.08.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