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Business Alliance capabilities needed for each stage of alliance lifecycle on Performance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tnership & Entrepreneurship Using Multi-Group Analysis -

비즈니스 제휴 단계별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다중집단분석에 의한 기업가정신과 파트너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이인수 (신용보증기금 평가팀) ;
  • 노재확 (한성대학교 무역학과) ;
  • 유연우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학과)
  • Received : 2014.06.21
  • Accepted : 2014.06.24
  • Published : 2014.06.27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the alliance capabilities needed for each stage of alliance lifecycle(search & negociation, contract, operation, evaluation/termination) according to the alliance life cycle of SMEs consulting firms on the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artnership & entrepreneurship between the process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using the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searching & operational capabil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ustomer & learning performance, not contracting and termination capabilities, and the partnership & entrepreneurship moderated between the process capabilities and alliance performance. This study shows that the operation stage in the alliance life cycle is the most important, in this process alliance partners show the higher partnership & entrepreneurship than any other stages.

본 연구는 제휴생애주기에 따른 비즈니스 제휴단계별 역량이 제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파트너십과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제휴단계별 역량 중 탐색역량과 운영역량이 제휴 성과인 고객 및 학습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약역량과 종료역량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다. 또한 다중집단분석에 의해 파트너십이 평균이상인 집단과 평균 미만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파트너십은 전체 경로에 미치는 영향에는 조절하는 효과가 없었으나 운영역량이 고객 및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는 체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가정신이 제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업가정신은 1차적으로 전체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2차적으로 세부 경로에 있어 운영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가정신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운영역량에 더욱 집중하여 학습 성과를 높이려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제휴단계별 역량 중 파트너 탐색과 제휴 운영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실무적으로 이에 대한 역량 함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운영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트너십과 기업가정신이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볼 때 제휴 운영 시 높은 파트너십과 기업가정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