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for Export Performance and Adaptation/Standardization Level on Marketing Variables -the cases of New Zealand Exporting Companies-

수출성과와 수출마케팅변수의 적응화/표준화 수준에 관한 연구 - 뉴질랜드의 수출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

  • Hwang, Sun-Dai (Dept. of International Trade, College of International Business, Konkuk University)
  • 황선대 (건국대학교 국제통상학전공)
  • Received : 2014.09.03
  • Accepted : 2014.09.20
  • Published : 2014.09.27

Abstract

Export performance has been a core topic in export marketing research.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standardization strategies and export performance obtained after implementing each of these strategies to marketing mix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will help companies better understand an efficient marketing mix and applicability of adaptation/standardization approaches in their export ventures. New Zealand exporting firms which actively seek for export markets in Korea are selected for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daptation and standardization are concepts that signify the level of intensity in each strategy; both have advantages and weaknesses. In the case of adaptation approach, it is shown that the difference in export performance between satisfactory and non satisfactory export ventur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arketing mix variables such as price, place and promotion. However, product variables affect statistical significance on export performance between satisfactory and non satisfactory export ventures in standardization approach. This study implies that when a company exports its product overseas, standardization effort is more important for product variables whereas much effort needed in adapting marketing variables such as price, place, and promotion to get satisfactory export performance.

수출성과는 수출마케팅 연구의 핵심적인 주제이다. 본 연구는 기업이 해외 수출시장전략으로 선택한 적응화 전략과 표준화 전략이 실제로 마케팅 변수에 실행된 수준과 그 결과 획득된 수출성과 사이에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적응화와 표준화의 전략적 활용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우리나라 수출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는 뉴질랜드의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적응화와 표준화는 전략 실행의 정도와 수준을 의미하는 연속적인 개념으로 각각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 적응화 전략의 경우 수출성과(만족과 불만족한 수출사업)의 차이는 제품 변수보다는 가격, 장소, 촉진 변수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표준화 전략의 경우 가격, 장소, 촉진 변수보다는 제품 변수에서 수출성과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기업이 해외 수출시장을 공략할 때 제품 변수는 표준화 노력을 그리고 가격, 장소, 촉진 변수는 적응화의 노력을 기울일 때 만족한 수출성과를 얻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