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nts of Korean FDI in China using the Spatial Effects

공간효과를 이용한 한국의 대 중국 직접투자 결정요인

  • Ryu, Byung-Hyun (Dept. of International Trad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
  • Kim, Do-Hyun (Dept. of International Trade, Tongmyong University) ;
  • Kang, Han-Gyoun (Dept. of International Trade, Inje University)
  • 류병현 (인제대 대학원 국제통상학과 석박통합과정) ;
  • 김도현 (동명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 강한균 (인제대학교 국제경상학부(동북아경제연구소))
  • Received : 2014.09.06
  • Accepted : 2014.09.20
  • Published : 2014.09.2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Korean FDI(1996~2012) in China using the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and four regions of China is analyzed respectively. Most previous studies ignored spatial interdependence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Korean outward FDI in China. Empirical results of total Chinese area shows per RGDP and spatial effects are positive and significant variables. Results of region A reveal that per RGDP is positive and spatial effects are negative and significant. Results of region B shows that both per GDP and spatial effects are positive. All variables of region C are insignificant but those of region D are significant and positive. This means that Korean companies to invest in region D should consider spatial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areas of D.

본 연구는 한국의 대 중국 제조업 직접투자(1996~2012)의 투자결정 요인을 4개 투자지역으로 구분하고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공간패널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 1인당 RGDP가 정(+)의 유의적 변수로 나타났고 공간효과 변수도 매우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A지역(동북지구 화북지구)은 1인당 RGDP가 정(+)의 유의적 변수, 공간효과 변수는 부(-)의 유의적 변수로 나타나 지역 내 투자는 대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B지역(화동지구 화남지구)에서는 1인당 RGDP가 정(+)의 유의적 변수, 공간오차모형 계수는 정(+)의 유의적 관계로 나타나 지역 내 투자는 보완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C지역(중부내륙지구)의 분석결과 1인당 RGDP와 공간효과 변수 등 모든 변수는 비유의적이고 D지역(서북 서남지구)에서는 1인당 RGDP, WAGE(임금), ROAD(교통인프라), 공간효과 변수(${\rho}$, ${\lambda}$) 모두 정(+)의 유의적인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대 중국 직접투자가 동부연안 중심에서 서북 서남지구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지며 이 지역으로 진출시 인접 성(省)의 지역 환경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