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etitiveness Analysis on the Korean Precision Instrument Parts in the Chinese Market

한국 정밀기기부품의 중국시장 경쟁력 분석

  • 최혁준 (평택대학교 무역물류학과)
  • Received : 2014.09.01
  • Accepted : 2014.09.20
  • Published : 2014.09.2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arket competitiveness of Korean precision instrument parts in the chinese market. Korea-China trade has made rapid progress since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and China become biggest trading partner of Korea in the present. For attaining the purpose of study, we collected related statistical data and used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From this analysis,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There are no items have competitiveness in the chinese market until the present time. However, item code 26041, 26034, 26022 are bound to be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chinese market in the near future and item code 26022 will emerge especially strategic item in the chinese market.

본 연구는 한 중 교역이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중국경제의 발전 속도 등을 감안할 때 부품산업이 양국간 교역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할 것으로 판단하여, 한국산 부품산업 중 정밀기기부품군의 품목들이 중국시장에서 가지는 경쟁력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정밀기기 12개 품목에 대한 2006년-2013년까지의 수출입통계를 수집하였고, MCA지수를 활용하여 동 품목이 중국시장 내에서 가지는 경쟁력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경쟁력 지수 및 추이를 볼 때, 광섬유 및 광학요소, 속도계 및 적산계기는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이 거의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기타정형외과용기기 및 부품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최근 급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한국산 정밀기기부품 중 대 중국 수출전략 품목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큰 품목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