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nvironmental Hazard Assessment of Siting Restricted Industries from Industrial Complex in Rural Area Applied by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

화학적 등급화기법을 적용한 농공단지 입주제한업종의 환경유해성 평가

  • Hong, Sang-Py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eongju University)
  • 홍상표 (청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5.07.17
  • Accepted : 2015.10.12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riorities of siting restriction was derived from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hazard according to industrial classification based on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CRS)' which is handling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31 industrial classifications regulated from locating at 'Industrial Complex in Rural Area(ICRA)'. CRS that is utilizing the data of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PRTR)' is applied to determine human health risk and ecological risk which are calculated by discharged amount and materials $LC_{50}$ according to water, soil and air media based on industrial classification. From this process, exposure assessment and toxicity assessment for integrating the adverse environmental impact and the mitigation effect of environmental risk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technologies into establishing the rational landuse management method for the 31 industrial classifications regulated from locating at ICRA was analyzed. From the assessment result of the siting restriction removal at ICRA for 31 industrial classifications, based on 2012 year reference 6 industries that includes Manufacture of Guilt Coloration Surface Processing Steel Materials, Manufacture of Biological Product, Manufacture of Smelting Refining and Alloys of Copper, Dyeing and Finishing of Fibers and Yarns, Manufacture of Other Basic Iron and Steel n.e.c., Rolling Drawing and Extruding of Non-ferrous Metals n.e.c. are calculated as having relatively lower environmental hazards, thus it is judged that the siting restriction mitigation at ICRA is possible for the 6 industrial classifications that are not discharging the specific hazardous water contaminants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농공단지에 입주제한된 31개 업종의 업종별 배출특성에 따른 화학적 유해성을 근거로 업종별 환경영향을 계량화하여 입지규제 우선순위을 도출하였다. 농공단지에 입주제한된 31개 업종의 환경상의 악영향과 환경기술발전에 따른 환경유해성 저감을 동시에 고려한 합리적 토지이용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업종별로 수계, 토양 및 대기의 매체별 배출량 및 배출물질 $LC_{50}$ 자료에 의해 산정된 인체위해성과 생태위해성을 노출평가와 독성평가로 분석하는 화학적 등급화기법(CRS :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에 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자료를 활용하였다. 농공단지 폐수배출관련 31개 업종에 대한 환경유해성을 도출한 결과에 의하면 2012년 기준으로 도금 착색 및 기타 표면처리강재 제조업,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동 제련정련 및 합금 제조업, 솜 및 실 염색가공업, 그외 기타 1차철강 제조업, 기타 비철금속 압연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등 6개 업종은 환경영향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산출되어 제조공정상에서 특정수질유해물질을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배출된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농공단지 입주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는 업종으로 평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학훈, 이종호. 2013. 개발과 환경, 동화기술, 230-236.
  2. 박화성, 김예신, 이동수, 신용승, 최승필, 박성은, 김명현, 양지연, 신동천. 2005. 화학물질 우선순위 선정기법(CRS-Korea)의 개발과 적용, 한국환경독성학회지, 20(2), 109-121.
  3. 안윤주, 이우미, 정승우. 2013. 음용 및 비음용 지하수 우선관리 대상 항목 선정기법, 지하수토양환경, 18(1), 16-25.
  4. 최미영. 2003. 인체위해도를 중심으로 한 화학물질의 관리우선순위의 선정기법,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최승필. 2004. 유해화학물질 위해도 우선순위 결정기법(CRS-Korea)의 개선과 활용, 서울 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환경부. 2014. 2012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세부통계.
  7. 환경부. 2013. 2013 환경통계연감.
  8.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4. 환경영향평가, 동화기술, 389-402.
  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관리지역 및 농공단지의 입지제한 업종 실태조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