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lement Features and Research Frames of Game Trailers

게임 트레일러의 유형 및 산업적 연구 프레임에 관한 고찰

  • 권재웅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디지털콘텐츠전공)
  • Received : 2015.10.29
  • Accepted : 2015.11.26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quantitave increas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in the game industry leads to bitter competition and makes game companies struggle to find better ways promoting their own games. The game trailer is one of the critical ways to publicize diverse games by showing visual images directly. There are three reasons why the game trailer comes into the spotlight these days;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speed handling the large size of files,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visual image quality just like digital movies, and the advent of video websites such as You Tube that shows huge amount of videos regardless of the type and size.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amount of research on the game trailer because using game trailers as the marketing source is still at an early stage.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providing characteristics of game trailers that are available for practical market analysis. First, this research shows that game trailers can be divided by the category of display, style, and contents type. Second, this research provides the component parts of game trailers that are divided into contents factors such as characters, backgrounds, events and promotional factors such as title, production company name, distribution company name. Third, this research explores research frames that would be needed to analyze marketing strategies, effects of game trailers, production pipelines and so on. These categorizations would be useful for producing game trailers efficiently and utilizing them effectively.

게임 산업의 발전으로 인한 경쟁은 게임 자체의 양적, 질적 발전을 자극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발된 게임을 홍보하고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게임 트레일러를 고려해볼 수 있다. 게임 트레일러는 인터넷 전송속도와 온라인 영상 기술의 발전과 같은 기술적 발전의 혜택을 받아 화질이 개선된 대용량 게임 트레일러의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이 쉬워지면서, 영화 트레일러처럼 영상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영상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경험재 상품의 구매자를 확보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된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첫째로 게임 트레일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둘째로 광고와는 달리 하나의 시장으로 고려되지도 않고 있고, 셋째로 마케팅 수단으로서의 접근이 없으며, 넷째로 게임 트레일러에 대한 특성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의 변화와 연구의 확대를 위해 기반 요소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첫째, 게임 트레일러의 유형별 분석을 하고, 둘째는 게임 트레일러 구성 요소를 제시하며, 셋째로는 게임 트레일러 연구 프레임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현재 시점에서 게임 트레일러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면서, 세분화되고 다양화된 마케팅 전략의 개발을 유도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첫째, 게임 트레일러의 유형은 플랫폼별, 내용별, 목적별에 따라 분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둘째로 구성요소는 러닝타임, 샷의 빈도수라는 기본 정보와 함께 캐릭터, 배경, 사건과 같은 내용적 구성 요소와 제목, 제작사, 배급사와 같은 홍보적 구성요소라는 기준에 따른 분석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셋째로는 산업적 관점에서의 게임 트레일러에 대한 분석으로 마케팅 분석, 효과 분석, 제작 시스템 분석 등의 유형 제시를 하면서, 지역별, 장르별 비교 분석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게임 트레일러를 활용한 마케팅은 기존의 4P전략 중 판매촉진(promotion)을 중심으로 하면서 사람(people)을 결합시킨 7P으로의 확대가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문모, 영화 마케팅의 기본 원리와 실제, 해남, 2006.
  2. 백순흠, 게임마케팅, 기한재, 2008.
  3. 안종배, 스마트시대 콘텐츠 마케팅론, 박영사, 2012.
  4.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년 1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5. 한혜원, 디지털게임 스토리텔링: 게임 은하계의 뉴 패러다임, 살림, 2005.
  6. 방선이, 문화콘텐츠 마케팅 전략, 김영순, 이미정, 구문모, 방선이, 하주용, 정미강, 박수정, 오영훈, 김진희 편, 문화콘텐츠 마케팅의 이해(북코리아, 2010), pp.89-121.
  7. 이미정, 구문모, 마케팅의 이해, 김영순, 이미정, 구문모, 방선이, 하주용, 정미강, 박수정, 오영훈, 김진희 편, 문화콘텐츠 마케팅의 이해(북코리아, 2010), pp.12-52.
  8. 하주용, 문화콘텐츠 마케팅 유형, 김영순, 이미정, 구문모, 방선이, 하주용, 정미강, 박수정, 오영훈, 김진희 편, 문화콘텐츠 마케팅의 이해(북코리아, 2010), pp.123-158.
  9. 권재웅, 애니메이션 제작공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Development(기획개발) 단계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33호(2013), pp.173-202.
  10. 김건, 국내 영화마케팅에서 영화예고편 활용에 관하여, 문학과영상, 8권1호(2007), pp.61-83.
  11. 문유라, 3D게임그래픽의 최근 트렌드에 관한 연구 : 3D MMORPG <아크로드>트레일러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3권2호(2007), pp.154-177.
  12. 이민영, 영화 예고편의 화면 크기와 화질, 장르가 영화 기대감과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실용적 기대감과 정서적 기대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7권6호(2013), pp.580-605.
  13. 이영수, <스프링필드>에 나타난 TV애니메이션 <심슨가족>의 게임화 전략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39호(2015), pp.85-109
  14. 이자혜, 김미진, 매체 상호간 공유 가능한 Story Value 분석 : 영화와 게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권12호(2008), pp.72-80. https://doi.org/10.5392/JKCA.2008.8.12.072
  15. 이진, MMORPG 트레일러에 나타난 여신 모티프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7권3호(2014), pp.45-51.
  16. 한상근, 송승근, 스마트폰 기반 RPG 장르의 게임플레이 패턴 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38호(2015), pp.237-258.
  17. 이경태, 김성계, 시간분석을 통한 영화 예고편 구조연구: 타이포그라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 2009.5, pp.142-143.
  18. 이자혜, 영화와 게임의 호환 가능한 Story Value 분석: 영화의 게임화, 게임의 영화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08.2, pp.1495-1500.
  19. 장태권, 안신현, 전봉관, 디지털 애니메이션 트레일러의 스토리텔링 구조 분석: 픽사 애니메이션 사례를 통해,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07.2, pp.1143-1149.
  20. 최도원, 이현석, FPS 게임 트레일러에 적용된 대체 역사적 재현에 대한 탐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2014.11, pp.83-84.
  21. 김주연, 불꽃 튀는 모바일게임 대전: TV 광고 등 공격적 마케팅... 중국 게임도 완성도 높여 한국 시장 공략, 주간동아, 통권978호(2015.3.11), pp.34-35, http://weekly.donga.com/docs/magazine/weekly/2015/03/09/201503090500007/201503090500007_1.html.
  22. 이현정, 2015년 업종별 광고 시장 전망, 광고계 동향, Vol.268(2015.1.23), http://www.ad.co.kr/journal/column/show.do?ukey=364821&oid=@57940011.
  23. 김진욱, "성숙기 모바일게임 시장 현황과 전망은? 탈카카오, TV광고, 양극화, 해외게임 영향력 확대". 스포츠서울, 2015년 7월 20일,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264434.
  24. 최욱, "모바일게임 TV광고 전성시대...효과는 '글쎄'", 연합인포맥스, 2015년 7월 15일,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5870.
  25. 전상현, "게임업계, '웹툰'에 주목..."기존 팬 등에 업고 잇따라 게임화"", 뉴데일리, 2015년 6월 15일, http://biz.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0076483.
  26. 스트라베이스, http://strabase.tistory.com, "모바일 게임 시장에 불어 닥친 'M&A 열풍', 광고 플랫폼과 마케팅 도구로서의 가치도 인정받아", 2011년 6월 27일, http://strabase.tistory.com/1940.
  27. 십이지다이어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welvetrees&logNo=220316652096.
  28. Kernan, Lisa, Coming attractions: Reading American movie trailers. University of Texas P, 2004.
  29. Hilderbrand, Lucas. "Youtube: Where cultural memory and copyright converge", Film Quarterly, Vol.61(2007), pp.48-57. https://doi.org/10.1525/fq.2007.61.1.48
  30. Johnston, Keith M., "'The coolest way to watch movie trailers in the world': Trailers in the digital age", Convergenc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to New Media Technologies, Vol.14(2008), pp.145-60. https://doi.org/10.1177/1354856507087946
  31. DIGRA, http://www.digra.org, Cheng, Paul, "Waiting for something to happen: Narratives, interactivity and Agency and the video game cut-scene", http://www.digra.org/digital-library/publications/waiting-forsomething-to-happen-narratives-interactivity-and-agency-and-the-video-game-cut-scene/.
  32. Goldentrailer, http://goldentrailer.com/awards.gta16.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