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ory Image and Preference of the Color Green Shown in Modern Fashion - With Regard to Busan, Ulsan and Gyungnam Area -

현대패션에 나타난 그린 컬러의 감성이미지 및 선호도 -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4.11.24
  • Accepted : 2015.01.07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After drawing the sensory images from the color green, the difference of sensory images and the difference of the color gree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hich factors affect the preference have been analysed. The thirty six-photos of 2013 women fashion show on the STYLE.COM were used for the stimuli of green colour fashion for the questionnaire. The people surveyed were adults in their 20s to 50s. The 12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test, t-test, ANOVA, Duncan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est were carried out by SPSS 19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ensory images of green fashion were drawn in six types. The sensory images of green fash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martial status, age,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The preference of green colour fash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ex, 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reference of green fashion were identified as four types, and the most affecting variable to the preference was the favorable and familiar factor.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come available on selecting the target customer and making the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y when planning fashion products.

Keywords

References

  1. 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1078-1087.
  2. 김돈한. (2007). 정보기기 디자인에 있어서 사용자의 감성을 고려한 콘텐츠 개발 방법 : 보행자의 이동지원을 목적으로 한 감성정보검색을 사례로. 디자인학연구. 20(3), 203-214.
  3. 김미영. (2002). 일반색, 의복색 선호도와 의복색소유도의 특성 및 차이. 한국의류학회지, 26(8), 1165-1176.
  4. 김민정, 임지영. (2012). 패션이미지에 내재된 레드의 특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4), 54-66.
  5. 김선영. (2011).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루의상의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9(3), 1-10.
  6. 김여원, 최종명. (2010). 블랙컬러 패션소재의 색채감성과 선호도. 감성과학회지, 13(2), 337-346.
  7. 김현아, 이효진. (2009). 21세기 남성패션에 나타난 핑크색이미지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09(0), 135-136.
  8. 문재윤. (2013. 12. 3). Green은 Blue와 만난다. Korea Color & Fashion Trend Center, 2014. 11. 5, http://cft.or.kr/sub
  9. 박송애. (2011). 그린 패션 마케팅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3(2), 121-131.
  10. 박유선. (2012). 노인세대의 인구통계변인에 따른 색채이미지와 선호도. 한국일러스트아트학회지, 15(1), 63-74.
  11. 박혜정. (2014). 패션의식, 에코 패션 소비결정, 지속적 탐색행동, 쇼핑 즐거움이 패스트 패션 브랜드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2), 111-126.
  12. 서인경, 김영인. (2012). 현대패션에서 나타난 베이지의 색채특성과 배색이미지. 한국복식학회지, 62(6), 19-37.
  13. 이구형. (1998). 감성과 감정의 이해를 통한 감성의 체계적 측정평가. 한국감성과학회지, 1(1), 113-122.
  14. 이윤경. (2008). 초록색에 대한 수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은정. (2009. 6. 8), '컬러 마케팅'으로 불황 뚫는다. 식음료신문 산업뉴스, 2014. 11. 5, http://www.thinkfood.co.kr/news
  16. 이혜경. (2004. 11. 13). 블루.블랙.그린.오렌지…색으로 불황 뚫는다. 중앙시사매거진, 2014. 11. 5, http://jmagazine.joins.com/economist
  17. 조은주. (2008). 언어적 뉘앙스의 시각적 감성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브랜드네임과 패키지디자인을 연계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하승연. (2014). 글로벌 에코패션 브랜드의 현황과 상품기획 특성.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3), 219-238.
  19. 황정임, 금기숙.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핑크색 연구 : 파리컬렉션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4(0), 29-29.
  20. 최문희, 김익겸. (2006). 감성디자인 시대의 색채이미지 특성. 시각디자인학연구, (21), 150-162.
  21. Lind, C. (1993). Psychology of Color : Similarities Between Abstract and Clothing Color Preferenc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1), 57-65. https://doi.org/10.1177/0887302X930120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