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tail Preference of Girls One-piece Dress - Focus on 3 to 6 Years Old -

여아의 원피스 드레스 디테일 선호도 - 만 3~6세를 중심으로 -

  • Kim, Eun-Young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weon, Soo-Ae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은영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 권수애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Received : 2014.12.03
  • Accepted : 2015.01.18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tendency by detail and material preference of summer one-piece dresses for the children, and evaluation standard of children's wear in purchasing one-piece dresses as an object of mothers who have girls as buying representatives of children's wear in order to supply real information of design about the one-piece dresses for the girls in accordance with the consumers' dema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ne-piece dress was favorite one to them in purchasing their summer wear. This study showed tendency that the more the mother's fashion interest was, the more the mother's preference on the one-piece dress was. As to the material preference of one-piece dress, it preferred the natural fiber to the synthetic fiber much, and the preferred customer order in purchasing one-piece dresses for their children was analyzed as activity, material, design collar, and pattern. As to the preference by form factor of one-piece dress, it preferred A-line silhouette in the silhouette, natural waist in the waist position, 5~7cm from the knee in the length of one-piece dress, and flared skirt in shape of skirt. The preference on the collar type was soutien collar, and the preference on the neckline type was round neckline. In addition, the preference on sleeve form was shirtsleeve, and the preference on trimming was lace trimming.

Keywords

References

  1. 구희경(2007). 여자 아동복 구입시 어머니의 선호도 및 KSK 9403:2004 호칭 치수 인지도 조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3), 87-97.
  2. 김월계.(2010). 전통 어린이 복식을 응용한 원피스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 14(1), 106-115.
  3. 김재숙, 이소라.(2006). 어머니, 딸 다이아드(Dyads)를 중심으로 한 의복 선호 연구-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연령 집단의 비교 분석-. 복식문화학회지, 14(4), 556-566.
  4. 김정옥.(2000). 아동과 어머니의 아동복 디자인 선호도 비교 -5-7세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주희.(2006). 아동복 선호 실태 조사 연구-초등학교 4,5,6학년 아동과 어머니를 중심으로-.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선영.(2005). 조선시대 타래버선을 응용한 여아동복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옥련, 이지나.(2009). 유아복 구매시 추구혜택에 따른 유아복구매행동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8(4), 923-932.
  8. 박은정.(2010). 어머니의 의복추구이미지와 유․아동 의복행동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주희, 남윤자.(2009). 신체 변화 및 패션 취향분석을 고려한 여자 아동복 디자인 한국의류학회, 33(4), 598-610.
  10. 송영진.(2004). 어머니의 의복소비성향이 유아복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송지은.(2010). 꽃을 모티브로 한 유아동복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유송옥.(1996). 복식문화. 서울: 교문사
  13. 이경아.(2004). 유․아동용 이벤트 드레스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세영.(2008). 한국 전통주머니를 응용한 오뜨꾸뛰르 아동복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순원, 조성교, 최정화.(2002). 의복과 환경.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6. 이주연, 이영주.(2013). 어머니의 유아복 관여도 조절효과에 따른 유아복 소비가치, 구매만족,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3), 119-135.
  17. 이지연, 김미영.(2011). 개인가치에 따른 유․아동복 쇼핑성향과 유․아동의 착의역할 모델.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3(3), 31-43.
  18. 이태원.(2012). 초등학생의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장미나, 이영숙, 김순분.(2013). 유치원 아동의 의복구매와 치수 맞음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1), 116-129.
  20. 정은영.(2001). 원피스 드레스의 디자인에 관한 감성공학적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정은주.(2012). 어머니의 유행태도에 따른 유아복구매행동.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규정.(2002). 유아의 의복 선호도와 어머니의 구매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아동복도 이젠 프리미엄 데님시대! (2007.8.21) 패션비즈 자료검색일 2014.8.20 자료출처 http://www.fashionbiz.co.kr/PE/main.asp?cate=2&idx=103734
  24. 유아동복, 젊은 아빠 신소비층으로 급부상 (2014.5.2) 패션채널 자료검색일 2014.8.25 자료출처 http://fashionchannel.co.kr/main09/news.php?table=news&query=view&uid=32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