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yeing Properties of Yellow and Red Natural Dyes(1)

황색 및 적색계 천연염료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1)

  • 신영준 (한양여자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4.12.16
  • Accepted : 2015.02.27
  • Published : 2015.06.29

Abstract

In order to analysis on color difference of natural dyes, I have dyed Hanji, cotton, silk fabric and exposed them to carbon arc light. The results of experiment have been analysed by wavelength of maximum absorption, amounts of dye uptake, color difference, Hunter's value and Munsell's value. Gardenia Jasminoides is monogenetic dye, but it gained darker color by pre-mordanting method used Al mordant agent and greenish yellow color by Fe mordant agent. whereas Curcuma, an Amur cork, and bud of pagoda tree are shown as greenish yellow color, and A barberry root, Betel nut, and Rhubarb are shown as reddish yellow color. these gained khaki colored dyed fabric by Fe mordanting. In addition, Sappan wood showed great result in pre-mordanting. Especially, it gained dark red color by Al pre-mordanting. The pink color was shown by post-mordanting. and Logwood showed great dyeing result in Hanji and cotton better than silk. Specially pre-mordanting was effective. Hanji and cotton showed greenish blue color by Al pre-mordanting, and silk showed brown color.

Keywords

References

  1. 金炳珏. (1979). 天然物化學.. 서울:進明出版社.
  2. 김병희. (1996). 황색천연염료의 염색성과 항균성황백, 치자, 울금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지희. (2001). 한국 천연염색 종류 및 재배지와 전통 천연염색 방법. 한복문화, 4(4), 106-113.
  4. 백천의, 송경헌. (2003). 계절별 쑥을 이용한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5(3), 7-14.
  5. 소황옥. (1999). 우리나라 전통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비교민속학, 16, 359-379.
  6. 송화순, 김병희. (2000). 꽃을 이용한 천연 염색 연구(1).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2), 113-117.
  7. 이상락. (1997). 소목의 Methanol 추출물의 구조분석과 견 염색물의 항균.소취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이상락, 이영희, 김인희, 남성우. (1995).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물의 항균, 소취성에 관한 연구 (I). 한국염색가공학회지, 7(4), 74-86.
  9. 이연순. (2006). 울금의 염색성과 항균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1), 49-57.
  10. 이현숙. (1998). 丁香 抽出物에 의한 絹織物의 染色性 및 抗菌.消臭性.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 論文.
  11. 정진순. (2003). 천연염색을 이용한 홀치기 염색기법의 직물디자인.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1), 59-63.
  12. 주영주. (1996). 다색성 천연염료의 매염 및 염색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차옥선, 김소현. (1999). 천연염료의 매염에 따른 염색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6), 788-799.
  14. 최경은. (2009). 메리골드 추출염액을 이용한 견직물의 염색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1(3), 135-141.
  15. 최인려. (2001). 천연식물성 염료의 염색견뢰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3(1),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