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Sensibillity Preference of Women's Shroud Design

여자수의 디자인에 대한 감성선호도 분석

  • Lee, Choon-Hee (Fashion Industrial Design, Dankook University) ;
  • Kim, Jong Moo (School of Communica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 Dankook University)
  • 이춘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패션산업디자인학과) ;
  • 김종무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15.06.16
  • Accepted : 2015.09.17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Apart from keeping the body pleasant and protecting it from the environment, the purpose of clothing is to express one's sensibility, sense of belonging, status, and aesthetic sense. In the past, hanbok was also used to express status and class with the colors and the types and according to the times, the forms of hanbok has changed. Nowadays, people choose and wear hanbok that suits their tastes or purposes and various types of hanbok that considered pros and cons of it are now disseminated. Given this reality, traditional shrouds that are worn by the dead should also be designed newly to fit the modern trend.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how people's sensibility preferences change on the traditional shrouds and the modern shrouds that are designed to fit the current trend. To see the change, this research analyzes sensibility preferences by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on 4 modern shrouds that are used in preceding research and 1 traditional shroud. The survey was answered by total of 130 ordinary people in groups of 26 people in 5 groups who reside in Seoul and Kyungkhi province.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ly, people preferred "high quality", "elegant", and "Korean" sensibility words for modern shrouds 1, 2, 3, and 4. Secondly, on traditional shroud, "uncomfortable", "neutral-elegant", "neutral-Korean", and "neutral-quality" that is closer to low quality sensibility words are preferred. Thirdly, "modest" and "extravagant"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 hope this research can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and comprehend on people's sensibility preference about shroud designs.

Keywords

References

  1. 김숙당. (2007). 조선재봉전서(홍기원 역). 서울: 민속원.
  2. 김유진. (2002). 패션감성과 감정에 대한 의복조형성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고부자. (2009).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연구, 한국복식, 27, 경기: 단국대학교 출판부. 33-80.
  4.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2010). 성주이씨 형보의 부인 해평윤씨 출토 복식, 출토복식 3, 경기: 단국대학교 출판부. 8-66.
  5.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이명은. (2011).전북 부안 고부이씨 묘 출토 유물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 29, 경기: 단국대학교 출판부. 67-109.
  6. 두산백과. 네이버 자료검색일 2015. 4. 10,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6543&cid=40942&categoryId=31500
  7. 박성실, 정종수, 이은주, 이미식, 조효숙, 권영숙. (2002). 한국의 수의문화. 지역: 도서출판 신유.
  8. 박영희. (2014). 현대패션에 나타난 그린 컬러의 감성이미지 및 선호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1), 131-140.
  9. 문진수. (2012). 현대 소비성향과 감성적 패션디자인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신경섭. (2010). 한복 패션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2(3), 121-132.
  11. 이수혜. (2011). 삼베 수의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춘희. (2013). 여자한복 변화에 따른 현대 수의 디자인 개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상훈, 이건표. (2004). 제품 사용 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대표감성 추출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8(1), 69-80.
  14. 전양배. (2011). 한지수의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정현원. (2006). 감성의 개념 및 어휘체계 정립을 통한 공감각디자인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실내 마감 재료의 시 촉각 감성평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태경호. (2012). 여성 패션브랜드 웹사이트에 적용되는 감성디자인요소의 영향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