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sQCA를 활용한 BIM 활용성과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Key Factors affecting BIM performance using fsQCA

  • 투고 : 2014.12.29
  • 심사 : 2015.03.31
  • 발행 : 2015.04.30

초록

Recently,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done to look at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BIM, which has appeared as a new paradigm for construction design. BIM can manage a project throughout the whole construction process.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it a policy to implement BIM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that cost over 50 billion won. In 2016, all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will have to implement BIM. Additionally,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has gained interest and made investments in BIM, and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such that BIM-adoption is inevitable. However, the strategies taken to implement BIM are insufficient and depend on visualization thru BIM, rather than information management. As such, this thesis analyzed what factors affect BIM use and causality for each variable. Although one factor affecting use and BIM performance might not independently affect the ultimate results, many factors may come together to intricately affect use and BIM performance. For this reason, we utilized a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approach that can analyze complex casual factors and various effects on result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Anton D.W."Measurement of project success." Project Mana gement Journal, Vol.6 No.3, p.p.164-170, 1988.
  2. Ashley, D.B., Laurie, C.S. and Jaselskis, E.J. "Determinants of construction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Journal, Vol.18 No.2, p.p.69-79, 1987.
  3. Baccarini, D. "The logical framework method for defining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Journal, Vol.30 No.4, p.p.25-32, 1999.
  4. Gary Wyatt, "Maintaining Bim Integrity In The Structural Engineering Office", Autodesk BIM Integrity in the Structural Engineering Firm, 2007
  5. Kvist, J. "Welfare reform in the Nordic countries in the 1990s: Using Fuzzy-set theory to assess conformity to ideal types".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9(3). p.p.231-252, 1999 https://doi.org/10.1177/095892879900900303
  6. Lee, S. S.. "A critique of the fuzzy-set methods in comparative social policy: A critical introduction and review of the applications of the fuzzy-set method". www.compasss.org/files/WPfiles/Lee2008.pdf, 2009
  7. Pinto J.K., D.P.Slevin, "Critical Success Factors Across the Project Life Cycle", Project Management Journal, p.p.67-75, 1988
  8. Ragin,C.C. "Set relations in social research: Evaluating their consistency and coverage". Political Analysis. 14(3). p.p.291-310. 2006 https://doi.org/10.1093/pan/mpj019
  9. Ragin,C.C. "Fuzzy- set social science".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10. 건축도시정책동향(APU), "녹색건축을 위한 BIM 기술 활용", 제5권, p.p.48-53, 2013.06
  11. 권오철, 조주원, 조찬원, "시공단계에서의 BIM 활용성 증대를 위한 품질관리 방안", 한국CAD/CAM학회 논문집, 제18권, 제5호, p.p.338-347, 2013
  12. 김민재, 이강협, 손창백, "국내 설계사무소의 BIM 활용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30권, 제8호, p.p.79-86, 2014
  13. 김언용, "지능형 디지털 아키택쳐 도구와 BIM 패러다임", 대한건축학회지, 제 48권, 제2호, p.p.111-134, 2004
  14. 김지선, 김주형, 김재준, "시공단계에서의 BIM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CAD/CAM학회 논문집, p.p.572-576, 2012
  15. 김태훈, 이동학, 배성인, 홍윤기, 박주석, "BIM을 활용한 현장적용 안전관리 프로세스 제안",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5권, 제5호, p.p.243-250, 2013..10
  16. 김화성, "국내 시공분야의 BIM 활용사례를 통한 문제점과 향후전망", 건축 제54권, 제1호, p.p.65-69, 2010
  17. 민병기, 이슬비, 손보식,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BIM 적용에 대한 기초연구", 전국 대학생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234-239, 2011
  18. 박정욱, 김상철, 이상수, 송하영,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BIM 적용 문제점 및 대안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제9권, 제4호, p.p.93-102, 2009 https://doi.org/10.5345/JKIC.2009.9.4.093
  19. 상지윤, "출산율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OECD 국가에 대한 퍼지셋 질적비교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0
  20. 정광량, "BIM 설계사례를 통해 본 문제점과 해결책", 한국건축시공학회지, 제10권, 제3호, p.p.18-22, 2010
  21. 양고운, 박형준, "지방정부 간 자율적 행정구역 통합의 성공요인 탐색 : 퍼지집합 질적비교분석(fsQCA)의 적용",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5권 제1호 p.p.1-26, 2013
  22. 오향옥, 정종현, 이재철, "BIM기반 구조도면 작성기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9권, 제3호, p.p.39-46, 2013
  23. 유용신, 정지성, 정인수, 윤호빈, 이찬식, "시공단계의 BIM기반 건설사업관리 업무절차 모델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133-143, 2013
  24. 이상효, 안병주, 김주형, 김경환, 이윤선, 김재준,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3D CAD 활용 저조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8권, 제6호, p.p.188-196, 2007.
  25. 이소정, "노인 자살의 사회경제적 원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26(4): 1-19., 2010
  26. 이정호, 김지현, 최일섭, 김민수, 이재훈, "구조사무소 현업에 적용가능한 강구조의 BIM 작성지침", 2012 한국강구조학회지 특집기사, p.p.12-17, 2012
  27. 이종훈, 최주원, 서희창, 김주형, 김재준, "안전관리를 위한 BIM 적용 증강현실 시스템 적용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대회 논문집, 제12권, 제1호, p.p.147-148, 2012
  28. 이주성, 홍정석, 김재준,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자율안전관리활동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 제8권, 제5호, p.p.109-117, 2008.10
  29. 이현수, 이광표, 박문서, 김현수, 이사범 "위치추적기술을 이용한 BIM 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0권, 제6호, p.p.135-145, 2009.11
  30. 이형섭, "건설공사 시공단계의 BIM활용사례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적용방안 연구", 경일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2
  31. 전승호, "BIM기반의 친환경 건축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763-767, 2008
  32. 장세준, 정연석, 이강, "린 건설기법을 활용한 BIM 기반 MEP 설계 조율 프로세스 구축", 한국CAD/CAM학회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제4권, 제3호, p.p.140-141, 2013
  33. 정재환, 김성아 "의미중심 여과를 통한 BIM 기반 협업설계 정보교환의 경량화 및 자동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0권, 제10호, p.p.71-78, 2013
  34. 장원준, 김미경, 최현아, 전한종,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BIM 적용을 위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339-342, 2009.10
  35. 최영준. "사회과학에서의 퍼지셋 이론의 활용", SAPA News & Platform. p.p.24-26,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