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2 배출량 평가를 위한 BIM 모델 구축 최적화 방안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ptimization for Carbon Dioxide(CO2) Emission Assessment

  • 투고 : 2015.03.04
  • 심사 : 2015.04.09
  • 발행 : 2015.04.30

초록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and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have officially declared that carbon dioxide is the main cause in global warming. Architectural structures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CO_2$ emissions, and in order to reduce their $CO_2$ emissions,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rapid and accurate calculation methods during the design phase of construction. The $CO_2$ emissions of building components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correction factors derived in the design phase directly to standardized data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With the objective to support energy-efficient building design, this study had the goal of investigating the accuracy of BIM-based quantity calculation, thereby focusing on a BIM library and modeling, and presenting the results as user guidelines to allow BIM data to be used for the rapid and objective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CO_2$ emissions. To this end, we studied the applicability of BIM-based quantity calculation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for major material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_2$ emission evaluation. Additionally, an optimal BIM modeling method i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an analytical comparison of the calculated quantities after applying the BIM data generation methods for different combinations of architectural components to a multi-family res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designing low-carbon buildings by predicting the $CO_2$ emissions of building components in a BIM-based design phas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토교통부과학기술진흥원

참고문헌

  1. 김미경, 노민성, 김익성, 전한종, BIM 기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위한 GBT(Green BIM Template)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 논문집 35호, 2012. 08
  2. 김미경, 건축 설계 프로세스의 BIM 기반 친환경 건축 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 김익성, GBT를 활용한 국내 녹색건축 인증제의 평가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 남운용, BIM기반 설계 모델링에 따른 건축물의 $CO_2$ 배출량 산출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01
  5. 노민성 김익성, 김미경, 전한종, GBT(Green BIM Template)를 활용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평가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9권 제호(통권296호), 2013. 06
  6. 노승준, 태성호, 김태형, 김낙현,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주요 건축자재의 환경영향 특성화값 비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9권 제7호(통권297호), 2013. 07
  7. 방준식, 건축물 $CO_2$ 평가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조달청 표준공사 코드 기반 BIM 템플릿 구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8. 신성우, 친환경건축 기술과 경제성, 친환경건축연구센터, 2010.
  9. 이문규, BIM기반 공동주택 마감 물량 산출 정확도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 이별철, 국내 설계사무소의 BIM 도입 방안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교 정보학과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08
  11. 이상헌, 김미경, 최현아, 전한종, BIM 템플릿 개발을 위한 템플릿 구성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제11권 제2호, 2011. 04
  12. 이승언, "건축물의 LCA를 위한 원단위 작성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 LCA기법에 근거한 친환경 건축물 평가방안 구축", 건설교통부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13. 이의범, BIM 라이브러리의 분류체계 및 속성정보 표준화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06
  14. 이창희, BIM기반 물량산출 완성도 측정을 위한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5. 장형제, 아파트 평면 유형별 $CO_2$ 배출량 및 경제성 평가,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6. 조대구, 고영환, 류범기, 김인한, BIM 라이브러리 및 컨텐츠 교환 체계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0권 제1호(통권 제54집), 2010. 10
  17. 조현, 건축설계 사무소의 BIM 라이브러리 구축 방법에 관한 기초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02
  18. 추승연, Green BIM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모델링 수준(Level of Development)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8권 제6호(통권284호), 2012. 06
  19. 태성호, 우지환, 노승준, 신성우, 공동주택의 전 생애주기 이산화탄소(LCCO2)간의평가 기법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6권 제8호, 2010. 08
  20. 홍성욱, 건축물 전과정 $CO_2$ 평가와 친환경건축물인증을 위한 BIM 친환경 표준라이브러리 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08
  21.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외(2002),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합동 설명회 자료
  22. 국토해양부, 건축분야 BIM 적용 가이드, 2010. 01
  23. 대한건설진흥회, 2014년 건설공사표준품셈, (주) 건설교통저널, 1999
  24.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외(2002),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합동 설명회 자료
  25. 국토해양부, 건축분야 BIM 적용 가이드, 2010. 01
  26.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UNEP), Building and Climate Change, UNEP, 2009
  27. LCA In Sustainable Architecture, http://www.lisa.au.com
  28. NBS, NBS National BIM report 2014, RIBA, 2014
  29. 공사코드운영시스템, http://pccos.g2b.go.kr
  30. 건설기술정보시스템, http://www.codil.or.kr
  31. 국가 LCI 데이터베이스정보망, http://www.edp.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