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축설계 대안별 저에너지 BIM 설계를 위한 비용 효율성 연구 - 건축 외피 단열재 시공비용을 중심으로 -

Cost Efficiency of Research for Each Alternative Low Energy BIM Design of Architectural Design - Focused on the Architectural Envelope Insulation Construction Costs -

  • 윤명철 (국립 경상대학교 대학원)
  • 투고 : 2014.12.03
  • 심사 : 2015.04.07
  • 발행 : 2015.04.30

초록

By studying the insulation thickness, cost of the building, and the position and area of each window and analyze the length of the shade, it is possible to consider effective architectural design that can save energy and costs. Therefore, in this study, with the help of BIM technology, the insulation thickness of the building, the position of the windows, and the area and length of the shade, and simulated BIM-based models including weather data, and annual heating and cooling costs, the energy usage can be analyzed. Moreover, by analyzing the annual cooling and heating energy consumption due to changes in the insulation thickness for each direction, the construction costs and each direction's annual heating and cooling and construction costs could be calculated, excluding the area of the outer window. Through research, by changing the setting of conditions change and energy simulation of awning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ratio of the annual heating and cooling energy and costs. This can be utilized in architectural design by considering the low energy and cost of the other regions to change weather data. Moreover, planning large-scale buildings, if used at the design stage, cost efficiency is expected to be high for a wide outer wall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송승영, 이수진, 허갑수, 진현호, 제로에너지 공동주택을 위한 주요 설계변수별 비용효율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 제8호(통권286호), 2012.
  2. 송승영, 이수진, 에너지절약형 공동주택을 위한 주요 설계변수별 비용효율 분석 및 설계모델 설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11호(통권241호), 2008.
  3. 김민경, 김성은, 건물유형별 성능개선 요소기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6권 제8호(통권262호), 2010.
  4. 윤명철, 고성룡, 웹기반 에너지 성능평가도구 개선을 위한 BIM기반 시뮬레이션 적용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제13권 제2호 통권46호, 2011.
  5. 권영철, 이재혁, 최원기, Low-E 단열재 적용에 따른 단열두께 절감 효과 분석,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논문집 4권4호, 2010.
  6. 최두성, 이명은, 전흥찬, 공동주택의 준공연도에 따른 단열성능 평가 및 에너지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v.14 n.3 통권67호, 2014.
  7. 허윤경, 이성호, 공동주택의 일조환경 개선을 위한 이격거리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6권 5호, 2001.
  8. 조정철, 박재승, 공공기관 에너지 효율등급 향상을 위한 적용 설계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4호 통권93호, 2012.
  9. 이현주, 나환선, 조혜진, 최성모, 구조단열패널 적용 저에너지 주택의 총에너지사용량 평가,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제4권 제2호, 2013.
  10. 이성진 소장, 코오롱건설 친환경건축연구소, 녹색건축 보고서(2011.06.24).
  11. 이홍주 부연구위원, 공공체육시설을 중심으로한 신재생에너지 활용기반 확대 방안(2010.04.12.), 광주발전연구원
  12. 일반 건축물 신재생 에너지 설비시스템 표준설계 가이드라인,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13. 윤명철, 지속가능한 BIM기반 건축설계를 위한 비용 효율성 프로세스, 빌딩스마트협회, Vol.09.
  14. 에너지관리공단,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해설서(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1031호, 2011.
  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절약형건물의 성능인증기준 제도 및 보급촉진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2001.
  16. 2013년 국토교통 통계연보, 국토교통부, 2013.
  17. http://www.koreanphi.org (2014.09.30. 검색)
  18. http://www.kses.re.kr/data_06/list_hi.php (2014.10.25. 검색)
  19. http://www.g2b.go.kr (2014.09.20.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