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제시기 평안도 부농주거의 성격에 관한 연구 - 실향민들의 증언과 도면자료를 기반으로 -

A Typological Review on The Rich Peasant's Dwelling of Pyongan Provinc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Based on the Descriptions and Drawings by Immigrants -

  • 투고 : 2015.01.12
  • 심사 : 2015.04.03
  • 발행 : 2015.04.30

초록

Since 1970's plenty of researches have developed wide and deep understandings on the traditional dwellings of korea. Concerning to the traditional dwelling in north korea, however, very few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it after korean war. The understanding on the dwelling types of this region have been depended mainly on the limited examples draw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had seldom covered with upper class. Recently a research discovered new examples of old dwelling drawn by immigrants, which could provide new possibility on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welling. It provided with even more important informations including the social class, management of farming etc. Based on these examples, this paper discusses the differences of dwelling design among social class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high class dwellings mainly inhabited by rich peasant in Pyongan province. Through the analysis of 16 examples of rich peasant dwellings, three types of building layout have been discovered. It shows that the formation of each types should be related deeply to the farm size, management type, social status, and regional dwelling type.

키워드

참고문헌

  1. 岩規善之, 朝鮮民家의 家構에 대하여, 朝鮮과 建築 3집 2호, 1924
  2. 小田內通敏, 朝鮮部落調査報告, 朝鮮總督府, 1924, 민속원,(서울, 1989)
  3. 善生永助, 朝鮮의 聚落 후편, 朝鮮總督府, 1936, 경인문화사(서울, 1974)
  4. 佐ヮ木 史郎, 제 2차 세계대전 전의 일본문헌에 보는 한국 민가의 지리학적 연구의 궤적, 宇都宮大學國際學部硏究論集 5호, 1998
  5. 김용섭, 조선후기 경영형 부농과 상업적 노동, 조선후기 농업사연구 II, 일조각, 서울, 1974
  6. 최재석, 한국농촌사회연구, 일지사, 초판 5쇄, 서울,1983
  7. 이호철, 농업경제사연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대구, 1992
  8. 리종목, 우리나라 농촌주택의 류형과 그 형태, 문화유산, 제5호, 1960
  9. 황철산, 우리나라 과거주택의 류형과 그 형성 발전, 고고민속, 3호, 1965
  10. 장보웅, 한국의 민가연구, 4판, 진보제출판사, 서울, 1985
  11. 김광언, 한국의 주거민속지, 민음사, 서울, 1988
  12. 김홍식, 한국의 민가, 한길사, 서울, 1993
  13. 김홍식, 민족건축론, 한길사, 1988
  14. 김봉렬, 조선후기 한옥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2
  15. 강영환, 북한지역 전통주거에 관한 조사연구(1), 건축역사연구, 5권, 2호, 1996
  16. 강영환, 북한지역 전통주거에 관한 조사연구(2), 건축역사연구, 6권, 3호, 1997
  17. 한국건축역사학회편, 한국건축사 연구 1, 발언, 서울, 2003
  18. 강영환,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1판, 기문당, 서울, 2004
  19. 강영환, 북한의 옛집 2-평안도 편, 이담, 서울, 2011
  20. 강영환, 일제시기 함경도 부농주거의 성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0권, 2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