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새주소지도를 이용한 초등학생 통학 안전성 평가 방법

Assessment of Walking Safe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Map of Saejuso

  • 이상현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
  • 지성운 (명지대학교 대학원)
  • 투고 : 2015.01.08
  • 심사 : 2015.03.31
  • 발행 : 2015.04.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to automatically evaluate walking safe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the appearance frequency of hazardous objects or inconveniences that exist in the path from dwelling units in a certain elementary school district to the elementary school is proposed as an indicator to evaluate walking safety. In order to automatically retrieve the indicator value, this study (i) used the Map of Saejuso; (ii) extracted the path from a dwelling unit to an elementary school(urban path history); and (3) developed an application to extract the number of facilities that cause danger and inconvenience to commuting to school in the path. The application has been used for a real city to prove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methodolog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곽희종, 김현숙, 안전하고 쾌적한 통학로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2002.10.
  2. 김승남, 안건혁, 초등학생의 통학수단 선택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11 n.3 2010.08.
  3. 김현숙, 곽희종, 어린이들의 이용행태를 고려한 통학로 정비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4 n.4 2003.12.
  4. 박승훈, 안전한 통학로 조성을 위한 보행자-차량간 교통사고와 학교 주변의 물리적 환경과의 연관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30 n.8, 2014.08.
  5. 서의택, 김성일, 부산시 초등학교 입지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6 n.5 1990.10.
  6. 서의택, 초중학교 입지패턴에 따른 보행 접근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 n.6 1986.12.
  7. 원광희, 박정순, 충청북도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방안 연구, 충북개발연구원 2005.12.
  8. 이상현, 거주성능관리시스템, 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7.
  9. 이상현, 건축계획안 평가시스템 개발을 위한 건물표현모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6 n.12, 2000.12.
  10. 이화룡, 동재욱, 개발지내 학교 적정배치를 위한 학생 통학권 역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7 n.6, 2011.06.
  11. 정사희, 전경배, 교육시설의 설치위치와 이용에 관한 연구(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3 n.4 1987.08.
  12. 조흥기, 교육환경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위치선정 및 통학환경을 중심으로), 석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