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rade Facilitation Agreement and Rolls of e-Trade

무역원활화협정과 전자무역의 역할에 관한 연구

  • Kim, Jang-Ho (Department of FTA Busines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
  • Choi, Kwan-Seo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Chosun University)
  • 김장호 (조선대학교 대학원, FTA비즈니스학과) ;
  • 최관선 (조선대학교 무역학과)
  • Received : 2015.03.04
  • Accepted : 2015.03.27
  • Published : 2015.03.2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role of e-trade for trade facilitation, which was the conclusion of November 27, 2014 which is based on the main discussions and content of the WTO. This study examines the data colle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data, and it proposed a policy direction using it. Trade facilitation agreement also contains a number of e-Trade related information and internet-based electronic documents can be sent very quick flow of information and it can save time and cost concerning parties. e-Trade is a very important basement and it is needed to continually develop and exchange for trade facilitation. To make easy trade facilitation, e-Trade is one of the means to achiev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and countr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steadily develop e-trade technologies for trade facilitation and to continuously exchange e-trade system for easy customs services in concerining countries to maximize these effects.

국제무역거래를 수행하는 과정에는 거래 관련 제비용이 수반되며, 이러한 비용은 국가별 경쟁 및 기업간 경쟁의 주요한 변수이기 때문에 제비용 및 시간의 절감을 통한 경쟁력 강화는 필수 요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의 문헌적 자료를 기반으로 2014년 11월 27일 타결된 WTO 무역원활화협정(Trade Facilitation Agreement)의 주요 논의 및 내용을 기반으로 무역원활화를 위한 전자무역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무역원활화협정에서 제1절과 제2절에 다수의 조항들이 전자무역과 관련된 사항들이 나열되었으며, 공통적인 특징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전자화된 서류는 정보와 서류의 흐름을 신속하게 하며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적극 활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급변하는 국제통상환경하에서 전자무역은 기업 및 국가의 경쟁력을 달성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역원활화를 위한 전자무역관련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국가간에 교류가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