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ap analysis of Logistics Functions between Expected Service level and Perceived Service Level

물류서비스 품질에 대한 물류기능별 기대수준과 인지수준에 대한 차이 분석 연구

  • Kim, Jin-Su (Hansol Logistics Co., LTD.) ;
  • Hong, Eui (College of North-East Asia, Kwangwoon University)
  • 김진수 (한솔로지스틱스(주)) ;
  • 홍의 (광운대학교 동북아통상학부)
  • Received : 2015.05.15
  • Accepted : 2015.06.22
  • Published : 2015.06.27

Abstract

More manufacturing companies tend to outsource their logistics functions to logistics service providers to ensure their own competitiveness than b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between customer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n three key logistics outsourcing decisions. For testing logistics service qualities, a research model which employs a SERVQUAL model was developed and a survey targeting manufacturing companies has been conducted. The average difference of logistics service level between customer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was derived as 8% from a result of gap analyses. The findings here reveal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of Korean logistics service providers as well as suggest core capabilities for them in order for gaining a competitive edge on the competitors and improving their performances.

오늘날 화주기업들이 자사의 물류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물류전문기업을 활용하는 비중은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주기업이 3자물류를 활용함에 있어 기대하는 서비스의 수준과 제공받은 이후의 인지 수준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여 3자 물류서비스의 확대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SERVQUAL의 모형을 활용하여 물류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현재 3자물류를 활용하고 있는 178개의 화주기업을 대상으로 물류 기능별(보관, 운송, 국제운송) 설문을 진행한 후 물류서비스 품질 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화주기업들의 물류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과 인지수준에 차이가 평균 8%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국내에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물류기업들의 물류서비스 품질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물류 경쟁력 확보하고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