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특성과 기술특성이 기술보호성과에 미치는 영향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rket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Activities of Technology Security

  • 김경선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 조근태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투고 : 2015.08.31
  • 심사 : 2015.09.25
  • 발행 : 2015.09.30

초록

최근 증가하고 있는 기술유출 사고로 인하여 기업의 금전적 손실, 기업 이미지 훼손, 거래처 단절 등 기업의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면서 기술보호에 대한 기업들의 노력정도와 경영층의 기술보호 투자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으나 기술보호 투자에 대한 성과 특히, 경제적 또는 기술적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기술보호에 따른 효과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기술보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데 여전히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업의 시장특성 및 기술특성이 기술보호 노력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기술보호활동이 기업의 경제적 기술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시장의 경쟁강도, 시장진입 수월성, 기술우수성이 기술보호 노력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시장의 경쟁강도와 기술우수성은 기술보호 노력정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반면, 시장진입 수월성이 높아지면 기업은 기술보호 노력을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규모가 크거나 작은 것과는 관계없이 기술보호 노력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보호 노력정도가 기술유출위험도를 낮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echnology Security, especially in knowledge-intensive society, is becoming the most important organizational activity for the long-term success of a firm. However, there is not sufficient empirical research of activities of technology secur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This is one of the reason why Korean firms are reluctant to invest their resources to the technology security. We have tri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rket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busines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activities of technology securities of Korean business firm by taking three hypotheses related to this research and investigating 209 Korean firm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research, results of the analyses suggest that the market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have positive impact on the activities of technology securities. Also the activities of technology securities have positiv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security. More specific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itiveness of market and technological excellency and the activities of technology securities is supported statistically. But, the re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easiness of market entrance and the activities of technology securities is supported statistically. Also,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of firm size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rket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activities of technology securities.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ities of technology securities and the risk of technology leakage is supported statistically.

키워드

참고문헌

  1.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기술보호 역량 및 수준조사, 2012.
  2. 장항배, "제조산업 기술보호를 위한 산업보안학 메타적 분석 연구", 한국항행학회논문지, 한국항행학회, 제17권, 제1호, pp. 123-131, 2013. https://doi.org/10.12673/JKONI.2013.17.01.123
  3. Da Veiga, A., Martins, N., and Eloff J. H. P., "Information Security Culture-Validation of an Assessment Instrument," Southern Afarican Business Review, Vol. 11, No. 1, pp. 147-166, 2007.
  4. 김영곤, "정보보안 거버넌스의 구성요소가 종업원의 보안 의식과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행학회 논문지, 제14권, 제6호, pp. 935-950, 2010.
  5. Posthumus, S. and von Solms, R., "A Framework for the Governance of Information Security," Computers and Security, Vol. 23, pp. 638-646, 2004. https://doi.org/10.1016/j.cose.2004.10.006
  6. 정태황, 장항배, "산업기술 보호 관리실태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한국경호경비학회, 제24권, pp. 147-170, 2010.
  7. 하옥현, "산업보안을 위한 융합보안관제시스템에 관한 연구", 정보보안논문지,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제9권, 제4호, pp.1-6, 2009.
  8. 채정우, 고영희, "전문경영인의 기업정보 보호를 위한 산업기술 유출요인과 대응전략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 전문경영인연구, 제15권 제1호, pp. 87-113, 2012.
  9. McLaughlin, J. and G. Jordan, "Logic Models: A Tool for Telling Your Program's Performance Story,"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 22, pp.65-72, 1999. https://doi.org/10.1016/S0149-7189(98)00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