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60년대 한국단편애니메이션 연구 -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중 애니메이션에 관하여

A Study of Korean Short Animation Films in 1960s - On Animation from Culture Movies of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 김종옥 (중앙대학교 첨담영상대학원 애니메이션이론)
  • 투고 : 2015.07.20
  • 심사 : 2015.08.28
  • 발행 : 2015.09.30

초록

서구 유럽 및 일본애니메이션에 비해 짧은 역사를 지닌 한국 애니메이션은 1950년대 후반 광고애니메이션과 문화영화의 일환으로 제작된 비상업용 단편애니메이션으로 출발하였다. 1960년대 영화법과 문화정책이 투영된 문화영화 애니메이션은 한국애니메이션의 역사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지만, 극장용 장편애니메이션 이전에 제작된 귀중한 문화 창작물이다. 특히 15초 내외의 짧은 CF애니메이션에 비해 4분에서 10분 내외의 단편애니메이션으로 그 당시 한국애니메이션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있는 작품들이다. 1960년대에 20여편의 단편애니메이션이 제작 되었으며, 주로 근대화 정책추진과정에서 국민들을 계몽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담고 있다. 국립영화제작소에서 문화영화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은 셀을 활용한 카툰애니메이션 이외에도 페이퍼애니메이션, 퍼핏애니메이션도 제작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1960년대에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CF 이외에 초기 단편애니메이션의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작품의 발굴과 분석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하며, 이 창작과정에 참여했던 박영일감독, 한성학감독, 정도빈감독, 신동헌감독, 넬슨신감독 등이 이후 극장용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활동하였기에 그 작품에 대한 분석은 한국애니메이션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반 연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논문에서는 국립영화제작소 창설의 시대적 상황 및 1960년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창작된 단편애니메이션 중 감독 등 참여인력을 확인할 수 있는 10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사적 의미와 조형적 특징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간 한국애니메이션역사 연구에서 간과된 비상업적 단편애니메이션에 대한 고찰과 향후 한국애니메이션사에 대한 보다 풍부한 연구가 진행되는 단초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The Korean animation that has relatively short history compared to the Western Europe and Japan's animation started out from the non-commercial short-piece animation produced as part of advertisement animation and culture movie in the later part of 1950s. In 1960s, the culture movie animation reflecting for the Movie Act and cultural policies has hardly been mentioned in the history of Korean animation, but they are the precious cultural work produced prior to the theatrical long-piece animation.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15-second short CF animation, the short-piece animations are ranging for 4 minutes to 10 minutes as the work pieces with the historic value to measure the level of the Korean animation at that time. in 1960s, approximately 20 short-piece animation works were produced and they contained the educational contents to enlighten general public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policy. Those short-piece animations produced in cultural movie at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had been produced not only in cell-facilitating cartoon animation, but also in paper animation and puppet animation. In this background, this thesis takes a close look to the short-piece animation works produced in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in 1960s. While there was almost no studies of early short-piece animation other than CF works, it is meaningful to discover and analyze the works, and, Director Park Young-il, Director Han Sung-hak, Director Jung Do-bin, Director Shin Dong-hyun, Director Nelson Shin and others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work process have worked as the animation directors for theater that the analysis on the works w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fundamental studies to understand the Korean animation. Under this thesis, it is intended to study the historic implica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around some 10 work pieces to affirm participating personnel, including directors, for the short-piece animation created by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as well as the situation of time to launch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in 1960s. Through this effort, it is intended to come up with the starting point to process enriched researches on non-commercial short-piece animation as well as contemplation on the Korean animation history that have been neglected in the study of the Korean animation history through such effort.

키워드

참고문헌

  1. 넬슨신, 애니메이션과 나, 살림, 1999
  2. 허인욱, 한국애니메이션영화사, 신한미디어, 2002
  3. 강준만, 한국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 1-3권, 인물과사상사, 2010
  4. 조항리, 별로하고 싶지 않은 이야기,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2
  5. 공영민 외, 지워진 한국영화사-문화영화의 안과 밖, 한국영상자료원, 2014
  6. 문재철, 한국 애니메이션과 영화정책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9, 2009 No. 6,
  7. 장연이, <똘이 장군>에 반영된 반공적 이데올로기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5호, 2009
  8. 이하나, 1960년대 문화영화의 선전 전략, 한국근현대사연구 제52집, 2010년 봄호
  9. 함충범, 1960년대 초 한국뉴스영화와 문화영화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 제57집, 2014
  10. 조준형, 문화영화의 제도화 과정-1960-70년대 영화법과 관련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59호, 2014
  11. 이지은, 한국애니메이션 디자인 스타일 변천사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2. 심혜경,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생애사>_신동헌, 한국영화사연구소, 2008
  13. 문재철, 한국 애니메이션과 영화정책의 관계에 대한 연구: 60년대 후반에서 80년대 초반까지,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2009
  14. 이정아,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주제사-문화영화)_김청기, 한국영화사연구소, 2012
  15. 이순진,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주제사-문화영화)_김인태, 한국영화사연구소, 2012
  16. 이순진,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주제사-문화영화)_해제-국립영화제작소의 간략한 역사, 한국영화사연구소, 2012
  17. 공영민,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주제사-문화영화)_이성철, 한국영화사연구소, 2012
  18. 한윤정, 정도빈감독_최초 단편 애니메이션 '개미와 베짱이' 주역, 애니메이툰 87호, 2010
  19. e-영상역사관(http://www.ehistory.go.kr/), 한국정책방송원(K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