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aning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Transmedia Discourse

트랜스미디어 담론에 대한 집단지성론적 고찰

  • 김기홍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5.08.01
  • Accepted : 2015.08.28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ransmedia has become a significant theme in the media studies sector and an academic discourse itself since its wide diffusion through Henry Jenkins' seminar book Convergence Culture.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authentic intention of the proposer to understand its profound meaning and value in the research discourse. Firstly, Transmedia has originated as a part of the convergence culture research context, which is an identical approach in the 'active audience' research tradition. Thus, a history of the research in terms of Birmingham Cultural Studies tradition and its implication is scrutinized. Secondly, in respect of Pierre Levy's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mad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aking of the Convergence Culture and Transmedia Storytelling, the meaing of the transmedia discourse is studied. Thirdly and finally, the implication of this concept as a critical theory or Critique in the Cultural Studies tradition, which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revelation of the binary oppositions and structures of dominance/resistance,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role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dea in the transmedia discourse, is studied.

젠킨스(Henry Jenkins)에 의해 재구성되어 유포된 트랜스미디어(Transmedia) 담론은 하나의 이야기 세계가 다양한 미디어를 넘나들며 확장되는 것을 의미하며, OSMU나 미디어믹스 등과의 유사성에 의하여 산업론적 관점에서 다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은 이 연구담론의 초기 기획의도를 중심으로 버밍엄에서 비롯된 서구 문화연구의 전통에서 이 담론을 고찰하고 의미 있는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했다. 트랜스미디어 담론은 기존 문화연구의 능동적 수용자(active audience) 연구의 전통에서 출발하고 있으나, 비판이론적 연구 전통의 고전적 프레임인 미디어에 의한 권력 은폐문제와 수용자의 능동성 문제, 지배/피지배, 순응/저항 등의 이분법적 패러다임과는 다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레비(Pierre Levy)의 집단지성 개념에 크게 영향을 받아 수용자의 '능동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열고자 한것이다. 문화의 상품성에 대한 인정이나 고전적 문화연구의 주요 관심사였던 수용자의 '고유의 정치적 활동' 가능성 등에 대한 논제들의 해명에서 레비의 영향이 도드라진다. 그러나 무엇보다 담론의 철학적 기저에 있어서 집단지성론은 특유의 유토피아적 접근을 통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집단 참여를 새롭게 해석했다는 점에서 트랜스미디어 담론에 크게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미디어컨버전스와 트랜스미디어 담론의 배경에 대해 고찰하며, 디지털시대 미디어의 변화양상과 수용자에 대한 기본적 가정들을 살펴보았다. 이는 트랜스미디어론과 집단지성 개념에 의한 수용자 위치의 재규정으로 연계되어, 기존 문화연구의 맥락에서 행해졌던 연구의 전제와 시각을 기존으로 트랜스미디어 담론에서 제시하는 변화된 양상을 자세히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연구의 비판이론적 프레임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이러한 시각적 변화의 요구 내지는 실천에 대해 그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특히 집단지성론이라는 철학적 기저에 대한 고찰을 통해 디지털미디어의 시대 수용자를 보는 새로운 연구 관점과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논의하며, 문화연구적 가치를 밝힘으로써, 관련 연구를 다양화하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재,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28호, 2012, pp.155-180.
  2. 김희경, 컨버전스와 트랜스미디어 프랜차이즈의 세계, 철학과 문화 제26집, 2013. pp.97-114.
  3. 신성환, 폴 비릴리오의 전쟁론과 시각 테크놀로지의 상관성 人文硏究 제66집, 2012. pp.245-280.
  4. 프랑크 하르트만, 미디어 철학, 이상엽.강웅경 옮김, 북코리아, 2008.
  5. 피에르 레비, 사이버 문화: 뉴 테크놀로지와 문화협력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김동윤.조중형 옮김, 문예출판사, 2000.
  6. 피에르 레비, 집단지성, 문학과 지성사, 2002.
  7. 허진,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의 감성마케팅을 위한 사용자 경험디자인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집 제9호 2012. pp.194-201.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194
  8. Alexander Bard, Jan Soderqvist, Netocracy: the new power elite and life after capitalism, Pearson Education Ltd, 2002.
  9. Alison Flood, "Star Wars makes million-selling return to Marvel comics", 영국 일간지 The Guardian 인터넷판, http://www.theguardian.com/books/2015/jan/09/star-wars-million-selling-marvel-comics.
  10. Brian Truitt, "Miller expands 'Mad Max' mythos in comics", USA Today, 2015. 3. 18. 미국 일간지 USA Today 인터넷판. http://www.usatoday.com/story/life/movies/2015/05/18/george-miller-madmax-fury-road-comics-exclusive-preview/27518457
  11. Chris Anderson, Long Tail: How Endless Choice is Creating Unlimited Demand, Random House Business Books, 2006.
  12. Chris Atton, Alternative Media, Sage, 2002.
  13. Christian Metz, Film Language: A Semiotics of the Cinema,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14. Henry Jenkins, "The Cultural Logic of Media Converg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7:33, 2004, pp.33-43. https://doi.org/10.1177/1367877904040603
  15. Henry Jenkins,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16. Henry Jenkins, Fans, Bloggers, and Gamers,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팬, 블로거, 게이머: 참여문화에 대한 탐색, 정현진 옮김, 비즈앤비즈, 2008.
  17. Herbert Shiller, Culture Inc.: The Corporate Takeover of Public Express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8. Jay David Bolter, Richard Grusi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MIT Press, 1999.
  19. John Fiske, "Active Audience" in Television Culture, Routledge, 1987. pp.49-66.
  20. John Storey,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An Introduction, Harvest Wheatsheaf, 1993.
  21. Andrew Keen, The cult of the amateur: How today's Internet is killing our culture and assaulting our economy, Nicholas Brealey Publishing, 2007.
  22. Marsha Kinder, Playing With Power in Movies, Television, and Video Games: From Muppet Babies to Teenage Mutant Ninja Turtles,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23. Matt Hills, Fan Cultures, Routledge, 2002.
  24. Nick Stevenson, Understanding Media Culture, Sage, 2002.
  25. Stuart Hall, "Encoding/Decoding" in Stuart Hall, et. al.(Eds.), Culture, Media, Language, Hutchinson, 1980, pp.128-139.
  26. Uta Degner, Nobert Christan Wolf, "Intermedialitat und Mediale Dominanz: Einleitung", Uta Degner, Nobert Christan Wolf (Eds.) Der neue Wettstreit der Kunste: Legitimation und Dominanz im Zeichen der Intermedialitat, Bielefeld, 2010, pp.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