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Characteristic of Deterioration Status for Stone Properties in the Tae-Jo Geonwolleung of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조선왕릉 태조 건원릉 내 석물의 훼손 특성 분석

  • Lee, Mi Hye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Myeong S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un, Yu Gu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Tae Jong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미혜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전유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태종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Received : 2015.09.16
  • Accepted : 2015.11.02
  • Published : 2015.12.30

Abstract

The Tae-Jo Geonwolleung is the tomb of the first king Tae-Jo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complex of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listed in World Heritage, and it contains various types of stone properties. The material of the stone properties consist of a single type of medium-grained biotite granite, however, each properties have different intensity and types in deterioration phenomena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and purposes. The major deterioration types of the stones are analyzed as physical decomposition and biodeterioration. The exfoliation, breaking-out and granular decomposition are widespread types of the deterioration throughout the entire burial mound stone properties and surrounding stone properties. On the other hands, the colonization of mosses and plants, and contamination by foreign materials are found more frequent in the burial mound stone properties as these stones are in contact with the soil of the tomb mound and moisture in the soil helped biodeterioration. It is suggested that anti-biology treatment and physical reinforcement are applied to the deteriorated stones to prevent further damage on the stone components of the tomb.

세계문화유산인 조선왕릉 중 태조 건원릉은 조선 제1대 임금인 태조 이성계의 무덤으로 다양한 종류의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모든 석물들은 중립질 흑운모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위치에 따라 훼손형태 및 손상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석물의 훼손도를 평가한 결과, 주요 훼손 양상은 물리적 훼손과 생물 오염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박리박락, 탈락, 입상 분해와 같은 물리적 훼손 유형은 봉분 석재와 주변 석물이 유사한 발생 빈도를 나타내지만 토사, 선태류, 초본식물 및 보수 물질의 비율은 봉분 석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봉분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토양 및 수분, 지면과의 거리 및 일사량 저하 등으로 수분의 지속시간이 증가하여 물리적 및 생물학적 훼손이 주변 석물에 비해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건원릉 석물의 훼손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수분 제어와 함께 봉분 석재를 중심으로 생물의 제거가 요구되며 물리적 훼손이 심한 부재는 강화처리 및 접착 등 물리적인 보강이 필요하다.

Keywords

Cited by

  1. 비파괴 분석을 활용한 조선왕릉 태릉 석조물의 손상특성 분석 vol.53, pp.2, 2015,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2.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