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erimental archaeological study on the Baekjae iron smelting furnace and its production process

백제 제철로 및 제철기술의 복원을 위한 실험 고고학적 연구

  • Lee, Eun Woo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n, Ji Seon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ae, Mi Hui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Eun Ji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15.09.30
  • Accepted : 2015.10.30
  • Published : 2015.12.30

Abstract

A Jincheon Seokjangri B23 furnace was reconstructed and iron smelt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 ancient Baekjae iron production process. The work mainly described in this paper is the $1^{st}$ and $2^{nd}$ experiments among the several experiments carried out at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ron ore(magnetite) and oak charcoal were used as a source and a foot bellow was used for air supply. Common results of the experiments are masses of iron, slag and charcoal formed in the furnace. Most iron lumps were formed nearby the tuyere rather than the area of tapping hole. Metallographic and chemical analysis shows that the iron lumps can be used for either forge or cast depending on their carbon content. Low Fe content and glassy texture of the inner slags suggest that the operation environment was quite reduc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ron smelting experiments, measurements and analysis, various information was obtained regarding physical-chemical and metallurgical processes of the ancient iron smelting process. It is firmly believed that its undisclosed contents can be revealed more in depth with continual reconstitution experiments.

한국 고대 제철기술의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백제 4세기대 유적인 진천 석장리 B-23호 원형 제철로를 모델로 제철로를 복원하고 전통 방법에 의한 고대 철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2014년도부터 예비실험을 포함하여 수차례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본 고에서는 1차 및 2차 실험 결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원료와 연료는 각각 철광석(자철석)과 목탄(참나무숯)을 사용하였으며 송풍은 4인용 발풀무를 사용하였다. 제련 생성물은 대부분 노하부에 철괴, 슬래그, 목탄이 뒤섞인 상태로 되어 있었는데 배재부와 송풍관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위치별 철괴의 양을 측정한 결과 주로 송풍관측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철이 형성되었다. 철괴는 생성 위치에 따라 다른 형태의 미세조직과 함탄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체적으로는 바닥부에 형성된 철의 함탄량이 상부에 형성된 철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조업에서도 직접 단야 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철소재와 함탄량이 높아 탈탄 처리하거나 주조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다양한 철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2차 실험 유출 슬래그를 제외하면 대부분 철함량이 낮은 유리질 슬래그가 형성된 것으로 보아 철과의 분리가 잘 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고학적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고대 제철로를 복원하고 전통 방법에 의한 조업을 실시함으로써 고대의 철생산 공정에 대한 연구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속적인 실험을 실시하여 백제 제철기술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