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proving Operating System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an Ecological Perspective

생태계적 방식에 의한 무형문화유산 체계 연구 - 자생력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

  • Oh, Jung-Shim (Global Cultural Contents Research Cent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오정심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연구센터)
  • Received : 2015.03.31
  • Accepted : 2015.07.27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transmissions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may be cut off because it is separated from human and social environment and protected and managed under the national system. In addition, another purpose is to criticize concept and method dichotomy in the current institution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consider the problem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e transmitted mainly by holders having skills and accomplishments by distinguishing them from others. Furthermore, the last purpose is to suggest a direction of policy emphasizing an importance of establishment of environment which allows nurture, change and development of local people, which may ensure continuous transmiss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nd a transmission system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sing a principle in which the system is operated by self-recovery and natural rule of the ecolog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seven problems can be analyzed by reviewing concept establishment and protection and transmission measur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ccording to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based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The protection and transmission method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 ecology are suggested by applying ecological theory to i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cology defined in this paper means 'a sustainable community consist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bject of activity and physical environment.' Since 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reflecting the rules and features of natural ecology, it can keep system through self-recovery without an external intervention, as the case of natural ecology.

본 글의 목적은 사회적 수요의 부족 등으로 인한 국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단절 위기 현상을 주목하고, 문제의 해결방안 중 하나로 자생력 측면에서 무형문화유산 체계를 검토하여 그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논문의 제2장에서는 연구방법론으로써 생태계적 방식을 고찰하고 생태계적 방식을 통해 무형문화유산 체계를 분석하였다. 생태계적 방식은 시스템의 운영에 생태계의 특징 및 원리를 적용하여 외부의 개입을 전제하거나 동원하지 않고서도 내부의 자생력만으로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무형문화유산 체계는 무형문화유산을 보호 전승 활용하기 위해 구성된 제도적 시스템을 말하며 크게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기본원칙, 활동주체 그리고 절차 및 방법으로 나눠 살펴볼 수 있다. 생태계적 관점에서 검토한 결과 상호관계성, 순환성, 개방성, 다양성, 균형성 등과 관련한 문제점이 지적되며 정부의 개입을 전제하지 않으면 무형문화유산 체계가 제대로 운영될 수 없는 구조적 문제가 고착화되어 있다. 이에 제3장에서 생태계 원리를 적용해 무형문화유산의 체계의 개선 및 자생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을 기초로 하여 상호관계성, 다양성, 균형성 등 생태계적 관점에 입각해 관련 규정의 기본원칙을 제시하였고, 전체론적 관점에서 제도의 구성요소 및 활동주체의 범위를 확대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기존 활동주체의 역할 및 관계가 기 예능의 원형 보전에 치중했던 점을 개선하여 무형문화유산의 생산 소비 재생산 소멸 등 선순환적 발전의 흐름이 일어나도록 자연생태계의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개념에 따라 그 역할과 관계를 재편성하여 제안하였다. 기존의 체계와 비교하여 활동주체로 창작자, 프로슈머, 창업자, 시민 예술가 등을 제시하였는데 이들의 활동은 공급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 생태계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활동주체들 간의 자유로운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의 수요와 공급의 조화, 순환적 발전의 흐름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도의 구성 및 운영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