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brief introduction to the research of cultural exchange of Eurasian Continent in Korea

한국에서 유라시아 문명교류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 Kwon, Ohyoung (Dept. of Korean His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5.08.24
  • Accepted : 2015.09.01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Recently, as an enonomic importance of the Eurasian Continent raises, the necessity of east-west connecting ancient transport roads research is increasing. Although domestic research of eastern-western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Eurasia is not yet very active, the studies of history, archaeology, art history, folklore, costume history have been advanced steadily. An attention for the exchange through steppe route originated from the interest in Korean folk and Korean culture and the research range is extending to Xiungnu, Kurgan culture as a direct investigation on the remains of Mongolia and Kazakhstan has been achieved constantly. The art history has been leading the research of exchange which is based on desert and oasis. The field research of Iran, Uzbekistan, Azerbaijan, etc progressed in various routes, and the research on diverse topics including Silla's golden culture, transmission of glass, and the Buddhism is improving. Research on the maritime silk road is weaker, compared to other parts. Buddhist and Hindu temples of Southeast Asia attracted some interest to people, but th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restoration of sea route and consideration of its meaning. Research of this part is expected to be more activative, as domestic researchers investigate Don Son culture and Sa Huynh culture of Vietnam by themselves. From now on, we should focus on topics that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Korean history, and Korean culture. Because it is also our duty to study and conserve the culture of entire human community.

최근 세계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경제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동서를 연결하던 고대 교통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국내 학계에서 유라시아 동서 문명 교섭에 대한 연구는 아직은 그다지 활발할 편이 아니지만 역사학,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 복식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를 진행시켜 왔다. 북방 초원길을 통한 교섭사는 한민족과 한국문화의 기원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는데, 몽골과 카자흐스탄지역의 유적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가 꾸준히 이루어지면서 흉노, 쿠르간 문화 등으로 연구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사막과 오아시스의 길을 통한 교섭은 미술사 분야에서 연구를 주도해왔다. 이란,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등에 대한 현지조사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진행되면서 신라의 황금문화, 유리의 전래, 불교문화의 동전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바닷길에 대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부진한 편이다. 동남아시아에 소재하는 불교와 힌두교 사원에 대한 관심은 적지 않았으나 이 유적들을 연결하는 바닷길의 복원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로 확산되어야 한다. 베트남의 돈 손 문화와 싸 후인 문화 유적을 국내 연구자들이 직접 조사하게 됨으로써 앞으로 이 분야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는 한국사, 한국 문화와 직접 관련이 없는 주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인류 공동의 문명을 연구하고 보존하는 것도 우리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