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선국사·수미선사비>의 제작 장인과 양식 연구

A Study on Stonemason and Style of the Stele for State Preceptor Doseon and Seon Master Sumi

  • 투고 : 2014.12.16
  • 심사 : 2015.01.30
  • 발행 : 2015.03.30

초록

〈영암 도갑사 도선 수미비〉는 1651년 봄 비문이 완성되고, 여산(礪山)(현재 익산시 여산면)에서 석재를 채취하여 1653년 4월에 완성한 작품이다. 이 비는 당시 왕실의 지우(知遇)를 받던 벽암(碧巖) 각성(覺性), 취미(翠微) 수초(守初) 등 고승대덕이 건립을 주도하고, 인평대군 등 정치인들의 도움으로 건립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작품은 범종(梵鐘)의 용뉴(龍?)를 모방한 '용뉴형(龍?形) 이수(?首)'라는 새로운 이수형식(?首形式)의 첫 작품이다. 더불어 이 비석의 영향을 받은 용뉴형 이수의 비석들은 이후 왕실과 사대부 비석으로 전래되어 18세기까지 제작된다. 또한 이 비석은 음기(陰記)의 내용을 통해 조말룡(曺唜龍)이라는 왕릉 석물을 제작하던 석공의 작품으로 밝혀졌다. 조말룡은 석공 중에서 유일하게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品階)를 받은 인물로 비석에는 동일한 품계인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작품을 통해 분석한 조말룡의 이수 조각 양식은 17세기 최고 수준의 작품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이를 바탕으로 17세기 능묘 비석의 장인들을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도선 수미비>는 비석의 건립 과정 및 후원세력, 제작 장인 등이 분명해 사료적 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최고의 장인들이 동원되어 제작되어 이 시기 비석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왕실 및 사대부의 후원으로 제작된 불교 석조물이 다시 왕실과 사대부의 능묘 석물로 전파되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The Stele for State Preceptor Doseon and Seon Master Sumi of Dogapsa Temple in Yeongam was erected in the fourth month of 1653. It was made with stone obtained from Yeosan(present-day Yeosan-myeon, Iksansi), and contains an inscription - engraved in the spring of 1651 - commemorating the two priests. The project to erect the monument was led by eminent monks, including Gakseong and Sucho, with the support of royal patrons and powerful statesmen including Prince Inpyeong(1622~1658). This monument is thought to be the first of its kind to have a capstone in the shape of a 'dragon loop' handle of the kind traditionally attached to the top of a temple bell. Stone stelae with a dragon-loop-shaped capstone continued to be used by the royalty and nobility of Joseon until the 18th century. The inscription engraved on the rear face of the monument reveals that it was made by Jo Mal-ryong, a renowned stonemason who worked on stone monuments and figures for royal tombs in the mid-Joseon period. He is known as the only stonemason to have been awarded the third highest rank(Jeong-sampum) of government, including the posts of Grand Master(Tongjeong Daebu) and General(Jeolchung Janggun), as recorded in the inscription. The monument corroborates the prevalent view that he was the creator of monumental capstones of the highest aesthetic merit in Joseon, and provides valuable insights about the leading artisans who produced monumental stones for royal tombs in the 17th century. This particular monument is highly regarded as a valuable historical relic because of the detailed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inscription, including the dates, work processes, patrons and artisans related with its creation, and because it features outstanding workmanship by some of the greatest artisans of the period. The monument also provides important clues about the transition from the Buddhist monuments created under the auspices of the royalty and nobility of mid-period Joseon to the symbolic stone structures and figures made for the tombs of royalty and nobil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