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Pathology of Taeeumin Prescriptio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태음인 처방의 사상의학적 병리 연구

  • Ryu, Seung Yeob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Choi, Na Rae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Oh, Seung Yun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Park, Soo Jung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Joo, Jong Cheon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유승엽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 최나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 오승윤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 박수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 주종천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Received : 2016.01.25
  • Accepted : 2016.02.25
  • Published : 2016.02.25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fine the efficacy of prescriptions of Taeeumi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twenty four prescriptions registered in Donguisusebowon Sinchuk edition written by Je-ma Lee in 1901 are the targets of this paper. We searched and analyzed original text such as Donguisusebowon Sinchuk edition written in 1901, Donguisusebowon Gabo edition written in 1894, Donguisusebowon Sansang Chobongwon, and posthumous manuscripts left by Je-ma Lee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of North Korea. The pathology of the Taeeumin is classified into four mechanisms those are Esophagus-Cold (Wiwanhan), Cold Lung-Dry (HanpaeJo), Liver-Heat (Ganyeol), and Heat Lung-Dry (YeolpaeJo). The prescriptions of Taeeumin regulate four mechanisms. Twenty four prescriptions of Taeeumin regulate the mechanisms of Wiwanhan, HanpaeJo, Ganyeol, YeolpaeJo and correct the energy-fluid pathology of Taeeumin.

Keywords

서 론

태음인의 辛丑本 新定方 처방과 약재는 甲午本과 辛丑本을 거치면서 表病과 裏病의 구분을 비롯한 생리, 병리의 인식과 병증 적용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辛丑本에서도 주치증이 생략된 처방이 있어 辛丑本만으로는 모든 처방들의 病證論적 근거를 밝히기가 어렵다. 辛丑本의 病證 분류도 사상의학 연구자에 따라 분류 기준이나 연구 의도에 따라 다르게 구분되어 다양한 각도의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1-6).

사상의학에서는 병증을 기존 證治醫學과는 달리 陰陽虛實로 논하지 않고 각 체질의 保命之主가 어떤 상황에 처하느냐에 따라 升降緩束에 따라 논한 것이 기존 證治醫學의 八綱辨證, 氣血辨證, 臟腑辨證의 개념과 두드러진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7).

東醫壽世保元의 처방과 약재에 관한 연구는 東醫壽世保元 新定方과 東醫四象新編을 비교한 연구8), 東醫壽世保元과 藥徵을 비교한 연구9), 기존의학의 歸經, 性味, 效能을 사상의학적으로 재해석한 연구10,11), 傷寒論과 金匱要略과의 비교를 통한 연구12), 八綱의 개념에서 사상의학 처방을 분석한 연구13) 등 다수가 있으나 사상의학적 생리, 병리를 고려한 관점에서의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또한 東醫四象新編을 비롯한 사상의학 처방 서적은 이제마가 저술한 서적과는 달리 四象醫學의 證治醫學的 응용을 위해 실용성과 활용성에 중심을 두어 편찬되어 四象體質 病證 運用精神과는 차이가 있다14).

이제마의 저서로는 北韓 保健省 간행 東武遺稿, 藏書閣 所藏 東武遺稿, 格致藁,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이하 草本卷), 東醫壽世保元 甲午本(이하 甲午本), 東醫壽世保元 辛丑本(이하 辛丑本)이 있으나 처방과 약재에 관한 내용은 北韓 保健省 東武遺稿, 草本卷, 甲午本, 辛丑本의 네 서적에 주로 기재되어 있다15-17). 본 연구에서는 이제마가 저술한 네 서적에서 태음인의 생리, 병리, 병증, 처방에 관한 내용을 수집, 정리, 요약, 분석하여 태음인의 처방을 사상의학적으로 설명하고자 시도하여 병리와 처방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東醫壽世保元 辛丑本 新定 太陰人病 應用要藥 二十四方에 기재된 24개의 처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제마의 저서인 北韓 保健省 간행 東武遺稿,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東醫壽世保元 甲午本, 東醫壽世保元 辛丑本에서 처방의 생리, 병리, 병증, 증상과 관련된 원문을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이제마의 저서 중에서 格致藁와 藏書閣 소장 東武遺稿는 처방과 약재에 관한 내용이 거의 없어 본 연구에 활용하지 않았다. 분석을 위해 수집한 내용의 원문의 기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각주로 기술하였다. 조문 번호의 기재가 필요한 경우에는 保健省 간행 東武遺稿는 량병무와 차광석이 譯한 東武遺稿18)를 따랐으며,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은 박성식이 譯解한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19)을 따랐으며, 東醫壽世保元 甲午本은 김달래가 編譯한 東醫壽世保元甲午舊本20)을 따랐으며, 東醫壽世保元 辛丑本은 현재 전국의 한의과대학에서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사상의학21)을 따랐다.

정리된 결과를 분석하여 태음인의 병리를 범주화하였으며, 처방을 범주화한 병리에 대응시켰으며, 고찰 항목에서 병리, 처방에 관하여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결과는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였으며, 한자 표기는 서적명, 처방, 약재, 증상, 병증, 병리 등과 관련된 단어와 정확한 용어 전달을 위해 필요한 단어를 위주로 하였다.

 

결 과

1. 태음인 병리 구분

사상의학 문헌에 나타난 태음인 병리의 중심 단어를 요약하면 東武遺稿에서는 肺虛, 肝實, 草本卷에서는 損肺, 甲午本에서는 外感腦隹頁病, 內觸胃脘病, 外感表病, 外感, 內觸, 表病, 裏病, 呼散之氣, 表之表病, 表之裏病, 裏之表病, 裏之裏病, 辛丑本에서는 肝大肺小, 氣液 呼吸, 胃脘受寒表寒病, 肝受熱裏熱病, 背隹頁表病, 胃脘衰弱, 胃脘寒證, 表寒, 肝熱, 胃脘寒, 肝熱熱證, 裡熱, 肝熱, 肺燥, 燥熱證, 燥熱, 肝熱, 肺燥, 表症, 寒證, 裏症, 熱多, 寒多, 寒證, 表虛이다. 이를 정리하면 胃脘寒, 肺燥, 肝熱로 구분되며, 肺燥는 寒證肺燥과 熱證肺燥으로 구분할 수 있다(Table 1).

Table 1.Contents on the pathology related to Taeeumin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Literatures

2. 태음인 병리의 증상

胃脘寒, 寒證肺燥, 肝熱, 熱證肺燥의 증상은 胃脘寒은 惡寒不發熱, 無汗, 面色靑白, 表寒이며, 寒證肺燥는 怔忡, 無汗, 氣短, 結咳, 泄瀉, 食慾不振, 食後痞滿, 腿脚無力이며, 肝熱은 面色黃赤黑, 咽嗌乾燥, 眼病, 嘔逆, 嘔吐, 昏憒不省, 粥食全不入口, 發熱, 飮冷水이며, 熱證肺燥는 枯涸皺揭, 手指焦黑癍瘡, 浮腫, 便祕, 引飮, 小便多, 飮一溲二이다(Table 2).

Table 2.Contents on the pathologic symptoms related to Taeeumin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literatures

3. 태음인 처방 구성과 주치

동의수세보원 신축본 24개 처방의 주치증을 정리하여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Table 3).

Table 3.Change of effects in Taeeumin prescriptions between Donguisusebowon Gabo edition and Sinchuk edition

辛丑本 葛根解肌湯은 甲午本 처방에서 杏仁, 酸棗仁, 大黃을 제거하고 藁本을 추가한 처방이다. 甲午本에서는 外感腦隹頁病 寒厥證과 目疼, 鼻乾, 憎寒, 壯熱, 燥澁에 사용하였으나, 辛丑本에서는 肝受熱裏熱病 體熱腹滿自利 熱勝 裏證에 사용하였다.

葛根浮萍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浮腫裏證熱多에 사용하였다.

葛根承氣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大便不通, 憎寒壯熱燥澁, 頭面項頰赤腫, 肝熱熱證, 裏熱에 사용하였다.

乾栗樗根皮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痢疾에 사용하였다. 甲午本에서는 痢疾, 下痢膿血에 桔梗樗根皮丸을 사용하였다.

乾栗蠐螬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腹脹浮腫病, 浮腫表症寒多에 사용하였다. 甲午本에서는 腹脹浮腫病에 黃栗五味子膏를 사용하였다.

拱辰黑元丹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食後痞滿 腿脚無力病, 咳嗽病, 夢泄病, 虛弱人 裏症多에 사용하였다. 甲午本에서는 夢泄病 虛勞에 淸心山藥湯, 淸心蓮子湯을 사용하였다.

瓜蔕散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痰涎壅塞, 胸臆格格有窒塞聲, 目瞪, 卒中風에 사용하였다.

鹿茸大補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食後痞滿 腿脚無力病, 咳嗽病, 夢泄病, 虛弱人 表症寒證多에 사용하였다.

辛丑本 麻黃發表湯과 甲午本 麻黃發表湯은 처방 구성이 동일하다. 甲午本에서는 外感腦隹頁病 外感表病輕證에 사용하였으며, 辛丑本에서는 胃脘受寒表寒病論 背隹頁表病輕證에 사용하였다. 甲午本에서는 外感表病輕證에 麻黃發表湯, 葛根解肌湯을 함께 사용하였다.

辛丑本 麻黃定喘湯은 甲午本 처방에서 升麻, 葛根, 五味子를 제거하고 蘿葍子, 桑白皮를 추가한 처방이다. 甲午本에는 주치증이 없으며, 辛丑本에서는 哮喘에 사용하였다.

麻黃定痛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胸腹痛에 사용하였다.

麥門冬遠志散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주치증의 언급이 없다.

補肺元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소아 설사시 慢驚風 예방에 사용하였다.

麝香散은 단미로 구성된 처방으로 甲午本에서는 三分을 사용하였으며, 辛丑本에서는 三-五分을 사용하였다. 甲午本에서는 體熱腹滿自利, 腹痛下利, 舌卷不語, 中風病에 사용하였으며, 辛丑本에서는 中毒吐瀉에 사용하였다.

石菖蒲遠志散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面色靑白而素有寒證 表虛者 卒中風에 사용하였다.

牛黃淸心元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面色靑白而素有寒證 表虛者 卒中風에 사용하였다.

熊膽散은 단미로 구성된 처방으로 甲午本에서는 三分을 사용하였으며, 辛丑本에서는 三-五分을 사용하였다. 甲午本에서는 寒厥에 사용하였으며, 辛丑本에서는 寒厥, 胃脘寒證, 面色靑白而素有寒證 表虛者 卒中風에 사용하였다.

熱多寒少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肝熱 熱證, 燥熱證, 飮一溲二, 夢泄病 虛勞에 사용하였다. 甲午本에서는 夢泄病 虛勞에 淸心山藥湯, 淸心蓮子湯을 사용하였다.

辛丑本 皂角大黃湯은 甲午本 처방에서 黃芩, 麻黃, 桔梗을 제거하고 葛根을 추가한 처방이다. 甲午本에서는 頭面項頰赤腫에 사용하였으나, 辛丑本에서는 增寒壯熱燥澁, 頭面項頰赤腫에 사용하였다.

調理肺元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胃脘受寒表寒病 病解後 調理에 사용하였다.

調胃升淸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食後痞滿 腿脚無力에 사용하였다.

辛丑本 淸心蓮子湯은 甲午本 처방에서 桔梗을 제거하고 蘿葍子를 추가한 처방이다. 甲午本에서는 無腹痛下利 舌卷不語 中風病, 夢泄病에 사용하였으며, 辛丑本에는 주치증이 없다.

太陰調胃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胃脘寒證의 泄瀉, 粥食無味 全不入口, 體熱腹滿自利 寒勝 表證, 食後痞滿 腿脚無力病, 表寒證泄瀉, 咳嗽에 사용하였다. 甲午本에서는 體熱腹滿自利에 桔梗生脈散을 사용하였으며, 腹痛自利, 食後痞滿 腿脚無力에 桔梗生脈散, 黃栗樗根皮湯을 사용하였다.

寒多熱少湯은 辛丑本에서만 출현하는 처방으로 寒厥, 胃脘寒證에 사용하였다. 甲午本에서는 寒厥에 葛根解肌湯, 桔梗生脈散, 熊膽, 升麻開腦湯을 사용하였다.

4. 태음인 처방의 작용 병리

동의수세보원 신축본 24개 처방의 작용 병리를 정리하여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Table 4).

Table 4.○ : 각 처방이 해당 병리에 작용함

辛丑本 葛根解肌湯은 肝熱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葛根浮萍湯은 肝熱, 熱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葛根承氣湯은 肝熱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乾栗樗根皮湯은 胃脘寒, 寒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乾栗蠐螬湯은 胃脘寒, 寒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拱辰黑元丹은 肝熱, 熱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瓜蔕散은 胃脘寒, 寒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鹿茸大補湯은 胃脘寒, 寒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辛丑本 麻黃發表湯과 胃脘寒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辛丑本 麻黃定喘湯은 胃脘寒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麻黃定痛湯은 寒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라고 할 수 있다.

麥門冬遠志散은 肝熱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補肺元湯은 胃脘寒, 寒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麝香散은 肝熱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石菖蒲遠志散은 肝熱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牛黃淸心元은 肝熱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熊膽散은 胃脘寒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熱多寒少湯은 肝熱, 熱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辛丑本 皂角大黃湯은 肝熱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調理肺元湯은 胃脘寒, 寒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調胃升淸湯은 胃脘寒, 寒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辛丑本 淸心蓮子湯은 肝熱, 熱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太陰調胃湯은 胃脘寒, 寒證肺燥를 치료하는 처방이다.

寒多熱少湯은 胃脘寒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고 찰

東醫壽世保元 辛丑本(이하 辛丑本)의 新定 太陰人病 應用要約 二十四方(이하 新定方)의 효능은 東武遺稿,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이하 草本卷), 東醫壽世保元 甲午本(이하 甲午本)의 처방과 약재의 연구를 거쳐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東武遺稿에서는 馨臭液味, 升降開閤의 이론에 의하여 사상체질 약재를 설명하였으며, 草本卷에서는 保命之主를 위주로 한 病證과 症狀 위주로 처방과 약재를 설명하였으며, 甲午本에서는 병증 발현 부위를 위주로 表病과 裏病으로 나누어 처방과 약재를 설명하였다. 草本卷에서 辛丑本까지의 처방을 분석하면 草本卷, 甲午本, 辛丑本 모두에서 나타나는 동일한 이름의 처방은 없으며, 甲午本과 辛丑本의 동일한 이름의 처방은 葛根解肌湯, 麻黃發表湯, 麻黃定喘湯, 麝香散, 熊膽散, 淸心蓮子湯, 皂角大黃湯의 7개이다. 처방의 이름은 동일할 지라도 甲午本과 辛丑本은 表病과 裏病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어 처방의 활용이나 주치증이 크게 바뀌었으므로 동일한 개념에서 처방을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新定方의 개수는 甲午本 17개에서 辛丑本 24개로 7개가 증가하였다.

태음인 辛丑本 新定方 24개 중에서 甲午本과 명칭과 구성이 같은 처방은 麻黃發表湯 1개이며, 명칭은 같으나 구성이 다른 처방은 葛根解肌湯, 麻黃定喘湯, 皂角大黃湯, 淸心蓮子湯, 熊膽散, 麝香散이다. 熊膽散과 麝香散은 권장 사용량이 증가하였으며, 다른 4개의 처방은 약재의 가감이 이루어졌다. 특히 淸心蓮子湯은 주치증의 삭제가 이루어져 병증 인식의 변화가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나머지 17개의 처방은 辛丑本에서 새로 만들어진 처방이다. 辛丑本 처방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病證 개념의 변화를 고려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태음인은 草本卷, 甲午本, 辛丑本을 거치면서 保命之主와 標本 및 內外 개념에 의한 病證의 表裏 개념, 처방의 구성 및 활용, 약재의 활용 방법 등이 모두 새롭게 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22-24).

사상의학의 방제 개념은 香蘇散을 芎歸香蘇散으로 변형하거나, 白虎湯을 地黃白虎湯으로 변형하는 것과 같이 陰陽表裏寒熱虛實의 八綱 개념에 의해 기존 처방을 구분된 사상체질 약재를 활용하여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사상의학 처방의 주치증은 가감 이전 처방의 주치증과 유사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태음인 처방은 소음인, 소양인과 달리 이제마에 의해 새로 만들어진 처방이 대부분이므로 사상체질별 약재를 분류하거나 효능을 이해하려면 사상의학의 생리, 병리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태음인 약재는 효능 분포가 다양하고 치법과 기존 효능 사이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으며, 소음인이나 소양인 약재에 비해 寒熱의 경향성이 없어 사상의학적인 개념에서 처방이나 약재를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태음인 약재는 馨臭液味의 분류 중 馨藥과 呼氣液을 돕는 養心安神藥, 芳香開竅藥, 發汗藥, 止咳平喘藥이 다수라는 특징을 갖는다25,26).

甲午本의 태음인 병증은 表裏之表裏病論에 근거하여 表病인 外感腦隹頁病은 表之表病인 惡寒發熱長感病과 表之裏病인 陽毒燥澁으로 구분하였으며, 裏病인 內觸胃脘病은 裏之表病인 腹痛自利 食滯痞滿 痢疾浮腫 有腹痛中風과 虛勞夢泄 無腹痛中風으로 구분하였다. 사상의학 교과서에서는 辛丑本의 病證論 및 처방 활용에 근거하여 胃脘受寒表寒病은 背隹頁表病證, 胃脘寒證으로 구분하였으며, 肝受熱裏熱病은 燥熱證, 陰血耗竭證으로 구분하였다. 背隹頁表病證에는 麻黃發表湯, 熊膽散, 寒多熱少湯을 사용하였으며, 胃脘寒證에는 太陰調胃湯, 調理肺元湯, 麻黃定喘湯, 麻黃定痛湯을 사용하였으며, 燥熱證에는 熱多寒少湯, 葛根解肌湯, 淸心蓮子湯, 皂角大黃湯을 사용하였으며, 陰血耗竭證에는 鹿茸大補湯, 拱辰黑元丹을 사용한다고 하였다21). 최근 개발된 임상진료지침에 의하면 태음인 병증은 表裏辨證 대분류에 의해 胃脘受寒表寒病과 肝受熱裏熱病으로 분류하고, 順逆辨證 중분류에 의해 表病 順證인 胃脘寒病, 表病 逆證인 胃脘寒肺燥病, 裏病 順證인 肝熱病, 裏病 逆證인 肝熱肺燥病으로 구분한다. 胃脘寒病의 치료 처방은 背隹頁表病初證은 麻黃發表湯, 哮喘病證은 麻黃定喘湯을 사용하며, 寒厥證 또는 寒厥尤證은 寒多熱少湯을 사용한다. 胃脘寒肺燥病의 치료 처방은 燥寒病證은 太陰調胃湯을 사용하며, 燥寒病尤證은 調胃升淸湯을 사용하며, 燥寒病甚證 즉 陰血耗竭寒多證은 補肺元湯 또는 鹿茸大補湯을 활용한다. 肝熱病의 치료 처방은 肝熱病初證은 葛根解肌湯을 사용하며, 肝熱病尤證은 葛根承氣湯을 사용하며, 肝熱病甚證은 皂角大黃湯을 사용한다. 肝熱肺燥病의 치료 처방은 燥熱病證은 熱多寒少湯을 사용하며, 燥熱病尤證은 淸心蓮子湯을 사용하며, 燥熱病甚證 즉 音穴耗竭熱多證은 拱辰黑元丹 또는 鹿茸大補湯을 사용한다27-29).

辛丑本 新定方 24개 처방을 주치증과 효능을 근거로 胃脘寒, 寒證肺燥, 肝熱, 熱證肺燥와 대응시키면 麻黃發表湯, 麻黃定喘湯, 寒多熱少湯, 熊膽散의 4개 처방은 胃脘寒의 惡寒不發熱, 無汗, 面色靑白, 表寒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며, 太陰調胃湯, 調胃升淸湯, 麻黃定痛湯, 調理肺元湯, 補肺元湯, 鹿茸大補湯, 乾栗蠐螬湯, 乾栗樗根皮湯, 瓜蔕散의 9개 처방은 胃脘寒 및 寒證肺燥의 怔忡, 無汗, 氣短, 結咳, 泄瀉, 食慾不振, 食後痞滿, 腿脚無力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며, 葛根解肌湯, 葛根承氣湯, 皂角大黃湯, 麝香散, 石菖蒲遠志散, 麥門冬遠志散, 牛黃淸心元의 7개 처방은 肝熱의 面色黃赤黑, 咽嗌乾燥, 眼病, 嘔逆, 嘔吐, 昏憒不省, 粥食全不入口, 發熱, 飮冷水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며, 熱多寒少湯, 淸心蓮子湯, 拱辰黑元丹, 葛根浮萍湯의 4개 처방은 肝熱 및 熱證肺燥의 枯涸皺揭, 手指焦黑癍瘡, 浮腫, 便祕, 引飮, 小便多, 飮一溲二의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사상의학 문헌에 의해 병리와 병리에 따른 증상을 분석 요약하고, 처방의 병리 작용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병리를 4가지로 한정하여 모두 대응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었으며, 실제 임상적 효능의 실제적 검증이 필요하며 다른 각도에서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결 론

東醫壽世保元 新定 太陰人病 應用要約 二十四方을 北韓 保健省 東武遺稿, 草本卷, 甲午本, 辛丑本의 네 가지 사상의학 문헌을 근거로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태음인 병리는 胃脘寒, 寒證肺燥, 肝熱, 熱證肺燥로 구분할 수 있다.

麻黃發表湯, 麻黃定喘湯, 寒多熱少湯, 熊膽散의 4개 처방은 胃脘寒, 太陰調胃湯, 調胃升淸湯, 麻黃定痛湯, 調理肺元湯, 補肺元湯, 鹿茸大補湯, 乾栗蠐螬湯, 乾栗樗根皮湯, 瓜蔕散의 9개 처방은 胃脘寒 및 寒證肺燥, 葛根解肌湯, 葛根承氣湯, 皂角大黃湯, 麝香散, 石菖蒲遠志散, 麥門冬遠志散, 牛黃淸心元의 7개 처방은 肝熱, 熱多寒少湯, 淸心蓮子湯, 拱辰黑元丹, 葛根浮萍湯의 4개 처방은 肝熱 및 熱證肺燥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태음인 처방은 胃脘寒, 寒證肺燥, 肝熱, 熱證肺燥의 상황을 교정하여 태음인의 氣液之氣 病證을 해결한다.

References

  1. Han, K.S., Park, S.S. Research about The Discourse on The Discourse on The Medications and Prescription on The ShinChukBon DongyiSuseBowon. J. Sasang Const. Med. 14(3):52-73, 2002.
  2. Kim, S.H., Kim, Y.H., Hwang, M.W., Lee, J.H., Song, I.B., Koh, B.H. The Study on the Formative Process of Taeumin's Dry-febrile Symptom. J. Sasang Const. Med. 20(1):1-14, 2008.
  3. Lee, S.K., Koh, B.H., Song, I.B. Study of Taeeumin Symptoms Based the Literatural Data of Dongeuisusebowon. J. Sasang Const. Med. 7(1):103-115, 1995.
  4. Im, J.N., Lee, E.J., Koh, B.H., Song, I.B. A study on the formative process of Seumin presciption. J. Sasang Const. Med. 14(1):26-33, 2002.
  5. Han, K.S., Park, S.S., The Study on Prescription's Combination of Taeumin. J. Sasang Const. Med. 19(2):1-10, 2007.
  6. Kim, J.Y., Kim, K.Y., A Study on the Medical and pharmacological theory of Interior-Overheated-Disease of Taeumin. J. Sasang Const. Med. 10(2):111-150, 1998.
  7. Cho, H.S. A hypothesis on the form and principle of addition-subtraction of the Sasang prescription. J. Sasang Const. Med. 23(2):139-152, 2011.
  8. Lee, S.Y. The Study about the 『Dongui Sasang Shinpyun』 focused on the Sasang Prescriptions of 『Dongui Suse Bow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2010.
  9. Park, S.H. An integ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medicinal herbs through the comparison of Dongeuisusebowon and Yakucho. Doctorate thesis. Graduate School of Dongeui University. 2013.
  10. Lee, S.W. A Study on the herbal medicines of the Dongyisoosebowon prescription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1999.
  11. Kim, J.Y.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of Herbal Medicines based on the Sasang Constitution. Doctorate thesis.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2000.
  12. Park, G.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rbs used in Sasang Constitution's prescriptions of Soeumins and the herbs used in prescriptions of Shang Han Lun and Keum Kwe Yo Yack.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2012.
  13. Kang, C.M. Analysis of Four-Constitution Medical Prescription through Eight Principle Pattern Identification. Doctorate thesis. Graduate School of Daejeon University. 2009.
  14. Youn, B.H., Park, S.S. The Study On The 『Dongyi Sasang Shinpyun』. J. Sasang Const. Med. 13(2):28-48, 2001.
  15. Park, S.S. The Study On The 「DongMuYooGo YaksungGa」. J. Sasang Const. Med. 13(2):8-27, 2001.
  16. Lee, S.K. Song, I.B. A bibliographical research of the Dongyi Suse Bowon Sasang ChobonGuen. J. Sasang Const. Med. 11(1):63-77, 1999.
  17. Han, K.S., Park, S.S. A Bibliographical Research of The DongyiSuseBowon Gabobon. J. Sasang Const. Med. 13(2):94-109, 2001.
  18. Lee, J.M. Ryang, B.M., Cha, G.S. in Translation. Gukyeok Haneuihakdaegye 15 Dongmuyugo. Seoul: Haedongeuihaksa publisher. p 182, 1999.
  19. Lee, J.M. Park, S.S. in Translation. Donguisusebowon Sansang Chobongwon. Seoul: Jipmoondang Publisher. 2003.
  20. Lee, J.M. Kim, D.R. in Translation. Donguisusebowon Gabo edition. Seoul: Mokgwato Publisher. 2002.
  21. Association of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sangeuihak. 2nd rev. Seoul: Jipmoondang Publisher. pp 192-197, 633-732, 2006.
  22. Bae, H.S., Park, S.S. The Study on history of prescription through comparison Dongyi-Soose-Bowon Chopanbon with Sasang-Yihak-Chobonguen and Dongyi-Soose-Bowon Gabobon. J. Sasang Const. Med. 13(2):110-123, 2001.
  23. Lee, J.H., Lee, S.K., Koh, B.H., Song, I.B. A study on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 of 『Dongyi Soose Bowon』 written in 1894. J. Sasang Const. Med. 13(2):49-61, 2001.
  24. Han, K.S., Park, S.S. The Study about The Discourse on The Medications and Prescriptions 『The Dongyi Soose Bowon Gabobon』. J. Sasang Const. Med. 13(2):74-93, 2001.
  25. Ok, Y.Y. Kim, K.Y. Study on history of prescription through comparison Sasang-Yihak-Chobonguen with Dongyi-soose-Bowon. J. Sasang Const. Med. 12(2):43-55, 2000.
  26. Kim, J.Y., Kim, K.Y. A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of Herbal Medicines based on the Sasang Costitution. J. Sasang Const. Med. 14(1):1-9, 2002.
  27. Lee, E.J., Koh, B.H., Kim, D.R.,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aeeumin and Taeyang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Overview. J. Sasang Const. Med. 27(1):1-12, 2015. https://doi.org/10.7730/JSCM.2015.27.1.001
  28. Jeon, S.H., Yu, J.S., Lee, E.J.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aeeum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Liver Heat-based Interior Heat (Gansuyeol-liyeol) disease. J. Sasang Const. Med. 27(1):57-70, 2015. https://doi.org/10.7730/JSCM.2015.27.1.057
  29. Choi, A.R., Shin, M.R., Lee, E.J.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aeeum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Esophagus Cold-based Exterior Cold (Wiwansuhan-pyohan) disease. J. Sasang Const. Med. 27(1):42-56, 2015. https://doi.org/10.7730/JSCM.2015.27.1.042

Cited by

  1. 태음인 약재의 사상의학적 병리 연구 vol.30, pp.2, 2018, https://doi.org/10.7730/jscm.2018.3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