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according to Media Contact Responses

미디어 접촉반응에 따른 외모지향성과 의복 및 화장품 구매행동 연구

  • Lee, Mi-Sook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un, Ji Hy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6.10.05
  • Accepted : 2016.12.05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orientation and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according to media contact responses. The subjects were 445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The measuring instruments was a questionnaire with media contact responses, appearance orientation,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frequency analysis, ${\chi}^2$ 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university students had very positive response and attitude on entertainers' appearance, style and products showed by media. Second, media contact respon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ppearance orientation.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media contact response showed higher appearance orientation than the groups with mediate and low level of media contact response. Third, media contact response had meaningful effects on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media contact response showed higher shopping frequency, purchasing frequency, and more spending on clothing and cosmetics than other groups.

Keywords

References

  1. 강남준, 김지환. (1999). 폭력물 시청과 청소년 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중재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역할. 한국방송학보, 13, 47-86.
  2. 김완석, 유연재, 권지현. (2009). 신체가치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0(3), 581-600.
  3. 김유성. (2002). 국내 패션잡지 뷰티기사의 소비자 영향에 관한 분석연구.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은지. (2013). 여대생들의 메이크업 화장품 구매행동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지양, 임은혁, 전호경. (2013). 여대생의 자기이미지와 미디어 관여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패션비지니스, 17(2), 164-178.
  6. 김희은, 정성지, 김동건. (2012). 여성 월간지 화장품 광고 및 홍보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6(10), 1015-1027. https://doi.org/10.5850/JKSCT.2012.36.10.1015
  7. 도은주. (2001). 잡지광고에 있어서 색채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00년 패션잡지광고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못 생기면 가입 불가". '외모지상주의' 부추기는 앱이용해보니. (2016. 3. 27). 조선닷컴. 자료검색일. 2016. 9. 24, 자료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 _dir/ 2016/03/27/2016032700545.html.
  9. 박광희, 유화숙. (2013). 신체질량 지수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외모지향성과 외모관리행동.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6), 912-922. https://doi.org/10.5805/SFTI.2013.15.6.912
  10. 박광희, 유화숙. (2012). 외모관리에 대한 인지, 태도, 행동간의 인과관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59(1), 51-60.
  11. 박수경. (2015). 남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 수행의도에 관한 연구: 미디어 노출도를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21(4), 614-620.
  12. 박수경. (2014). 미디어관여도, 외모만족이 성형태도, 성형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4(4), 101-116.
  13. 박은희, 구양숙. (2011). 화장품 소비자의 쇼핑성향 유형에 따른 화장행동 및 구매행동. 패션비즈니스, 15(5), 28-42. https://doi.org/10.12940/JFB.2011.15.5.028
  14. 박효원, 김용숙. (2011). 전북지역 여대생의 에고노미 성향이 셀프 메이크업 및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9(6), 1372-1384.
  15. 배상률, 이재연. (2012). 미디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문화배양효과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 보고서. 2012.
  16. 백수진. (2011). 청소년의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송재욱, 나영주. (2006). 영상매체의 PPL이 의복구매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감성과학, 9(4), 331-339.
  18. 송지영, 이난희, 이유미. (2009). 미디어 이용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이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예술학회지, 10(1), 91-104.
  19. 신혜진, 김주덕. (2007). 화장품 소비자의 연령별에 따른 구매형태 및 성향. 한국미용학회지, 13(3), 1130-1146.
  20. 외모 뛰어나면 평균 외모보다 10-15% 더 벌어. (2010. 3. 28.). 조선닷컴. 자료검색일 2015. 12. 19, 자료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3/28 /2010032800977.html.
  21. 인사담당자 90%, "외모가 채용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2011. 2. 9). 조선닷컴. 자료검색일 2015. 12. 19, 자료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 02/09/2011020901244.html.
  22. 이미숙. (2010). 여성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연령집단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8(6), 1138-1152.
  23. 이미숙. (2000).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민자, 김주덕. (2005). 여대생의 화장품 구매행동과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광주, 전남 여대생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11(3), 272-282.
  25. 이상현, 유창조, 최성문. (2005).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과 추구가치에 관한 연구: 20대와 30대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6(3), 79-99.
  26. 이정기, 김효은. (2010). 텔레비전 시청이 여성의 친환경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V의 장르별 시청량, 피부건강염려인식, 계획행동이론 변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4), 463-497.
  27. 이지영, 박혜정. (2013). 자아존중감, 외모 비교, 미디어 관심이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 태도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3), 1-17.
  28. 임인숙. (2005). 다이어트의 사회문화적 환경: 여대생의 외모차별 경험과 대중매체의 몸 이미지 수용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8(2), 165-199.
  29. 전지현, 이미숙. (2015). 미디어 접촉반응에 따른 외모지향과 외모평가, 외모관련 상품 구매행동 차이를 중심으로-국내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9(4), 576-585. https://doi.org/10.5850/JKSCT.2015.39.4.576
  30. 전지현, 이미숙. (2014). 미디어 관여도가 외모평가, 외모스트레스,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8(4), 518-527. https://doi.org/10.5850/JKSCT.2014.38.4.518
  31. 정희진. (1998). TV 프로그램에 나타나는 연예인의 의복연출이 대학생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미옥, 최수경. (2008). 여대생의 쇼핑성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8(1), 117-133.
  33. 최지혜, 김미영. (2014). TV.연예인관여에 따른 뷰티관여와 헤어태도 및 인지연령의 차이. 복식, 64(7), 68-81. https://doi.org/10.7233/jksc.2014.64.7.068
  34. 한지은, 정세훈. (2012). 미디어와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남성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8, 55-77.
  35. 홍금희. (2010). 중년 여성의 TV 미디어 관여도가 차이연령과 젊음추구 의복행동 및 유행선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3), 310-317. https://doi.org/10.5805/KSCI.2010.12.3.310
  36. 홍금희. (2008). 남자 대학생의 대중매체 노출도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7), 1149-1159. https://doi.org/10.5850/JKSCT.2008.32.7.1149
  37. 홍병숙, 백인선, 이은진, 박성희. (2007). 미디어 및 외모관심도가 직장인의 외모관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4), 624-632.
  38. Cash, T. F. (1990).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In J. K. Theompson (Ed.),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New York, NY:Pergamon Press.
  39. Croteau, D., Hoynes, W., & Milan, S. (2012). Media Society(4th ed.).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40. Harrison, K., & Cantor, J.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nsumption and eating disorders. Journal of communication, 47(1), 40-67.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7.tb02692.x
  41. Keeton, W. P., Cash, T. F., & Brown, T. A. (1990). Body image or body images?: Comparative, multidimensional assessment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s, 54(1&2), 2013-230.
  42. Rusticus, S. A., & Hubley, A. M. (2006).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Can we compare across age and gende?.: Sex Roles, 55, 827-842. https://doi.org/10.1007/s11199-006-9135-7
  43. Stice, E., & Shaw, H. E. (1994). Adverse effects of the media portrayed thin ideal on women and linkages to bulimia symptomatolog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3, 288-308. https://doi.org/10.1521/jscp.1994.13.3.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