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Academic Discussion about Animation Authorship

애니메이션 작가주의에 대한 학술담론 연구

  • 전경란 (동의대학교 디지털문화콘텐츠학전공)
  • Received : 2016.05.01
  • Accepted : 2016.05.31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re has been discussed very little about animation authorship studies, especially the themes of authors and their original animation texts since 1990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ademic discourse of animation authorship studies understanding the media aesthetics of animation and the scholarly approach of animation studies about authorship. This article examines 55 articles via meta analysis about animation authorship studies drawn from the 1,516 articles on the general animation stu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omestic animation studies on the authorship were made about animators of Japan, US, and european countries. Second, It was dominant that scholarly interest on the screen direction and visual expression of animation texts. This shows the authorship approaches were mainly about visual aspects of animations. The domestic animation authorship studies did not trace the authorship issues on author's world view and visual style revealed in the corpus of texts. Instead, they discussed authorship issue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imation text. It has been evident that animation studies were not enthusiastic about building the independent theory on animation. Therefore, animation studies have tried theorizing the animation issues borrowing the literature and film theorie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ncrease phase of animation studies by drawing the intensive discussion of animation authors and their authorship.

이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애니메이션 연구가 이루어져온 가운데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연구가 어떤 작품과 작가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지, 이들 연구가 주목하는 애니메이션 작가주의의 이슈는 무엇인지, 나아가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연구 속에서 드러나는 함의는 무엇인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2개 학술지에 게재된 애니메이션 관련 논문 1,516편을 검토하여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연구라 할 수 있는 학술논문 55편을 추출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연구가 일본, 미국과 유럽의 애니메이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다른 어떤 속성보다 영상연출이나 시각적 표현 측면에 관심을 갖고 연구가 수행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애니메이션에서 작가성을 창의적인 영상 표현에서 찾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국내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연구의 경우 텍스트의 총체(corpus of texts) 속에서 발현되는 작가의 세계관이나 영상 스타일을 중심으로 작가주의를 논의하기보다는 개별적인 특정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포착하고 있었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독자적인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기보다는 문학이나 영화 등 관련 콘텐츠 영역에서 제안된 개념들을 차용하여 이론화를 시도하면서 독자적인 이론적 개념의 정립 및 관련 논의의 확산이 저조했던 것이 사실이다.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연구에 대한 검토는 작가성과 작가주의에 대한 문제제기와 토론을 유도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연구의 또 다른 의의를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한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연구들은 작가주의 이슈를 촉발시킨 영화에서의 작가성과 차별화되는 애니메이션의 작가주의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애니메이션에 대한 학술적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윤아, 예술로서의 애니메이션, 일진사, 2010
  2. Crofts, Stephen. "Authorship and Hollywood." In John Hill and Pamela Church Gibson(eds.). The Oxford Guide to Film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pp. 310-324.
  3. Dick, Bernard. F.. Anatomy of Film, Bedford: St. Martins. 2002
  4. Sellors, Paul, Film Authorship: Auteurs and Other Myths, Sunflower, 2010,
  5. Wells, Paul, Animation: Genre and Authorship, Wallflower, 2002
  6. 김용학.김영진.김영석 (2008). 한국 언론학 분야 지식생산과 확산의 구조, 한국언론학보, 제52-1호(2008), pp.117-140.
  7. 김현정. 유리 노르슈테인의 <이야기 속의 이야기>에 나타난 결정체 - 이미지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38호(2015), pp.93-114.
  8. 송미숙, 김재웅.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작품에 나타난 인체의 변형을 통한 초현실주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8권1호(2008), pp.285-295.
  9. 이승재. 안노 히데아키(庵野秀明)의 作品에서 보여지는 Narrative 구조의 相互作用 硏究. 애니메이션연구, 제2권1호(2006), pp.133-150.
  10. 김윤경. Zbigniew Rybczynski 영상의 실험적 표현기법과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34호(2014), pp.1-22.
  11. 김익상, 서원태, 영화제작 도구로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DSLR 카메라의 영상미학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9권1호(2013), pp.7-31.
  12. 김재웅, 애니메이션의 역사적 양식에 대한 연구: 개인양식과 미국의 디즈니, 일본의 지브리 양식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16호(2009), p.51.
  13. 김정선. 영화미학적 패러다임으로서 작가주의에 대한 동시대적 고찰, 영화연구 제16호(2001), pp.9-29.
  14. 김준수. 미야자키하야오 애니메이션의 메카닉 디자인 조형성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권1호(2011), pp.603-611.
  15. 김지홍, 애니메이션 작가주의와 영화 작가주의에 대한 비교, DID논문집, 제11권2호(2012), pp.147-159.
  16. 김치훈. 크리스 랜드레스의 3D 단편 애니메이션 the end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표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10호(2007), 105-114. https://doi.org/10.5392/JKCA.2007.7.10.105
  17. 김호, 김재웅. 이지 바르타의 작품의 어둠의 상징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9호(2007), pp.18-25. https://doi.org/10.5392/JKCA.2007.7.9.018
  18. 김호. 로버트 지메키스의 3D 입체 애니메이션 연출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8호(2013), pp.93-100.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093
  19. 문재철, 박남기. <스카이 크롤러>를 통해 본 오시이 마모루 감독의 '현대세계' 재현과 인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27호(2012), pp.1-30.
  20. 박기령, 일본의 인디펜던트 애니메이션 작가 야마무라 코지의 작품 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21호(2010), pp.19-32.
  21. 안숭범. 초기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의 (탈)정치성과 에코에티카. 인문콘텐츠, 제33호(2014), pp.51-72.,
  22. 안종혁, 프랑스 애니메이션의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벨빌의 세쌍둥이 중심으로 디지털영상학술지 제5권2호(2008), pp.227-245
  23. 염동철, 임용섭. 얀 슈반크마이에르의 <영원의 대화>에 나타난 이미지 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32호(2013), pp.43-61.
  24. 윤정원. 척 존스 Chuck Jones의 연출 특징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36호(2014), pp.303-323.
  25. 이선영. 2000년대 이후에 등장한 일본 극장판 애니메이션 중진 감독 작품의 휴머니즘 미학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6권4호(2010), pp.75-91.
  26. 이윤정,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표현연구-르네랄루와 쿠리 요지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제13권1호(2010), pp.139-147.
  27. 이현석, 애니메이션 분야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의 유형에 대한 탐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4호(2015), pp.155-164.,
  28. 장연이, 김재웅, 팀 버튼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8권1호(2008), pp.219-230.
  29. 전혜정, 에코페미니즘 관점에서의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세계. 애니메이션연구, 제4권1호(2008), pp.89-114.
  30. 최유미, '애니메이션연구'에 나타난 연구 주제의 동향 분석, 한국애니메이션학회 학술대회지 (2012.6), pp.38-39.
  31. 추혜진. 콘 사토시 작품에서 나타나는 양면성을 지닌 캐릭터의 페르소나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35호(2014), pp.181-208.,
  32. 오은주.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에서의 은유와 상징표현에 관한 연구: 라울 세르베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3. Allen, Mike, The role of meta-analysis for connecting critical and scientific approaches: The need to develop a sense of collaboration.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Volume 16, Issue 3, 1999, pp.373-379. https://doi.org/10.1080/15295039909367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