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ystem and Content of North Korean Medical Laws

북한 의료법규 체계와 그 내용

  • Received : 2016.05.25
  • Accepted : 2016.06.1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North Korean medical laws are consisted of 'People's Health Act' and 'Medical Act' in the peak of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al law. Before the legislation of 'People's Health Act', a number of medical laws and regulations existed. But, at present,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its amendment and effectiveness. 'People's Health Act' legislated in 1980 declared fundamental principles and policies of the North Korean health care system. 'Medical Act' legislated in 1997 is the basic law among the North Korean medical laws. It presented the goals and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North Korean health care, and then regulated the basics about 'Tests and Diagnosis', 'Medical Treatment', and 'Medical Appraisal'. 'Medical Act' of North Korea was established later than South Korea, and its provisions is smaller in number. And there are lots of abstract and declaratory provisions compare with South Korean 'Medical Act'. Especially there is no provision about the kind and requirements of medical personnel and medical institutions, so it is hard to grasp the North Korean health care system at once. Regarding the medical treatment, there are many similar content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n 'Medical Act'. But, the provisions, such as regarding mixing the new medicine and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encouraging natural therapies in medical treatment, and informing the patient's protector of bad diagnostic result if there is concern to have a bad influence on patient, are different from the South Korean 'Medical Act'.

북한의 의료법규는 '헌법'을 정점으로 크게 '인민보건법'과 '의료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민보건법이 제정되기 이전에도 다수의 의료관계법규가 존재하고 있었으나, 그 의료관계법규가 이후 어떻게 개정되었으며, 현재에도 유효한지 여부는 알 수 없다. 1980년 제정된 인민보건법은 북한의 보건의료에 대한 기본원칙과 방침을 선언하고 있다. 1997년 제정된 의료법은 북한 의료의 기본법으로서, 북한 의료의 목표와 기본원칙을 제시하고, 이어서 '검진과 진단', '환자치료', '의료감정'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북한 의료법은 남한에 비해 상당히 늦게 제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문의 수가 적고 추상적이거나 선언적인 내용이 많다. 특히, 북한 의료법에는 의료인의 종류나 자격요건, 의료기관의 종류와 개설요건 등에 관한 규정이 전혀 없어, 북한 의료법만을 가지고는 북한 의료체계를 한꺼번에 파악하기 어렵다. 북한 의료법상 진료에 관한 내용은 남한 의료법과 유사한 부분이 많지만, 신의학과 고려의학을 배합하고 고려의학적방법과 자연요법을 환자진료에 널리 사용하도록 한 규정, 진단내용이 환자치료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 환자 보호자에게만 알려주도록 한 부분 등은 남한 의료법과 차이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중, 의료의 법률학, 신론사(서울), 2011.
  2. 김석주 외, 북한주민의 질병관과 질병형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3. 김영규, "최근 북한 의료관계법의 변모와 그 특색", 경영법률 Vol.18 No.4, 한국경영법률학회, 2008.
  4. 김영규, "남북한 의료법규의 연혁과 그 변모과정-의료법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34권 제1호,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5. 김충렬, "북한의료제도에 관한 연구", 통일문제연구 제20권 제1호, 조선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2005.
  6. 문옥륜, "북한의 보건의료제도 운영", 남북한 보건의료, 아주대학교 남북한 보건의료연구소, 2001.
  7. 문옥륜, "남북한 보건의료체계의 비교 고찰", 보건학논집 제30권 1호, 한국보건학회, 1980, 52면.
  8. 박정원, 북한의 보건의료법제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5.
  9. 박정원, "북한의 사회주의법치국가 건설론과 법제정비 동향", 동북아법제연구 제5권 제1호, 전북대학교 동북아연구소, 2011.
  10. 법제처, 북한법제개요, 북한법제자료 제1호, 법제자료 제157집, 1991.
  11. 변종화 외, 남북한 보건의료제도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3,
  1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통일의학센터, 북한보건의료백서, 서울대학교출판부, 2013.
  13. 승창호, 인민보건사업경험, 사회과학출판사(평양), 1986.
  14. 엄석기.강봉석.권순조, "근대부터 건국초기까지의 의약체계 법령 고찰-이원적 의약체계 정립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제26권 2호, 2013.
  15. 이성봉, "북한 보건의료체계의 형성과정과 특징", 통일문제 연구 통권 제52호, 평화문제연구소, 2009. 하반기.
  16. 이세정 외, 남북한 보건의료분야 법제통합 방안, 한국법제연구원, 2011.
  17. 이철수.이일학, 북한보건의료법제, 계축문화사(서울), 2006.
  18. 장명봉, 2015 최근 북한법령집, 북한법연구회. 2015.
  19. 정경모.최달곤, 북한법령집 제4권, 대륙연구소, 1990.
  20. 최달곤.신영호, 북한법입문, 서울; 세창출판사, 1998.
  21. 통일교육원, 북한 개요(2009년), 2009.
  22. 통일부 통일교육원, 북한의 의료실태, 2006.
  23. 황상익, 1950년대 사회주의 건설기의 북한 보건의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