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ory Telling-based Scenery Color Plan to Establish Local Identity Focused on Eoeumhari Town, Ulju-gun, Ulsan Metropolitan City

지역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경관색채계획 울산광역시 울주군 어음하리마을을 대상으로

  • 이재현 (울산과학대학교 디지털콘텐츠디자인과)
  • Received : 2016.06.08
  • Accepted : 2016.07.04
  • Published : 2016.08.28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story telling-based scenery color plan that uses local story resource in order to raise possibility of success in making characterized town implemented by Ulju-gun, Ulsan Metropolitan City. Characterized town making project of Eoeumhari Town is the first in Ulsan, and detailed project planning is going underway to transform it into story telling street by providing local story to the resource of Eoeumhari Town. Ulju-gun expects big help in luring tourists and activating local economy by maintaining these towns. As in this way, local marketing that uses story telling is recently being taken as a desirable way of overcoming the limit of local development, and it suggest new possibility of scenery color plan. Therefore, I attempted to extract Brand Story from story resources based on climatic color of Eoeumhari Town and apply them to the color plan in order to unique color identity with a town as a unit. It is significant to study as it suggests a direction to discover values of color which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local identity and activating local community breaking from current color plan by large-scale maintenance implemented by each local government.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이 시행하고 있는 특성화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의 이야기 자원을 이용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경관색채계획에 대한 제언이다. 어음하리마을 특성화마을 만들기 사업은 울산에서는 처음이며, 어음하리 마을의 자원에다가 지역의 이야기를 부여해 스토리텔링 거리로 탈바꿈시키고자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진행 중이다. 울주군은 이들 마을을 정비해 관광객 유치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지역 마케팅이 최근 지역개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는 경관색채계획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어음하리마을의 풍토색을 토대로 이야기 자원에서 브랜드스토리를 추출하고 이를 색채계획에 적용하여 마을 단위의 개성적인 색채 아이덴티티를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이는 현재 지자체 별로 시행하고 있는 대규모 정비에 의한 색채계획에서 탈피하여 색채가 지역 아이덴티티 확립과 더불어 지역활성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발견하는 하나의 방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설현진, 한․일 환경색채디자인 전문가초청 세미나, POP Sign, 6월호, 2007.
  2. 윤의식, "경관법 제정을 통해 본 국토경관정책 방향," 도시문제, p.3, 2006.
  3. 이진숙, 김지혜, 진은미, 대전시 도시환경색채 가이드라인, 한국색채학회지, p.36, 2010.
  4. 최선희, 지역의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환경색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pp.13-14, 2006.
  5. 김선주, 울산에는 500가지 스토리가 있다, 울산학연구센터, pp.57-59, 2012.
  6. 류학철, 지역의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색채이미지 활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7. 김윤희, 지역경관 아이덴티티를 위한 환경색채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8. 김지현, 정창무, "스토리텔링 마케팅 기법을 활용한 지역자원 활성화 연구," 대한국토도시학회지, 2011.
  9. 이석현, 경관색채계획의 이론과 실천, 미세움, p.2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