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뉴스 보도 연구 동향에 관한 주제어 연결망 분석

Examining News Report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es

  • 조이영 (제주대학교 언론홍보학과) ;
  • 안도현 (제주대학교 언론홍보학과)
  • 투고 : 2016.06.13
  • 심사 : 2016.07.21
  • 발행 : 2016.08.28

초록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 뉴스 보도를 다룬 국내 학술 논문의 주제어에 대한 연결망을 통해 연구의 흐름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총 1,108편의 논문에 제시된 4,410건의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국내 언론 보도를 다룬 연구에서 프레임, 의제설정, 제삼자효과, 선택적노출, 이용과충족 등이 주요 이론으로 다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프레임에 대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연구영역으로는 정치, 경제, 과학보도, 국제뉴스 및 관광 등을 다루었으나, 문화, 스포츠 및 생활뉴스 등의 분야에 대한 연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매체별로는 전통매체와 새로운 매체에 대한 연구가 모두 활발하게 이뤄졌다. 특히 방송뉴스와 온라인뉴스 및 소셜미디어에 대한 연구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trends via network analyses of keywords appeared in academic research articles about news reports in South Korea during the last 10 years from 2006 to 2015. Keyword network analyses of 4410 keywords from 1108 articles suggested that framing, agenda setting, third-person effect, selective exposure, and uses and gratification were main theories but most studies used framing theory. Research areas included news reports on politics, economics, science, world issues, or tour. However, research on news reports covering culture, sports or daily life were not identified. In terms of media, research on both traditional and emerging media were ample. Research on broadcasting new, online news, and social media were frequently observ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연, 김대욱, 최명일, "한국 광고홍보학 연구경향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5권, 제1호, pp.59-85, 2013.
  2. 문종대, "1990년대 이후 저널리즘 연구-수요 전환의 위기," 한국언론학보, 제45권, 특별호, pp.99-127, 2001.
  3. 권혁남, "텔레비전의 15 대 대통령선거 보도분석," 한국언론학보, 제43권, 제5호, pp.5-44, 1999.
  4. 양승찬, "한국의 선거 여론조사와 그 보도에 대한 이슈 고찰,"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3권, 제1호, pp.83-119, 2007.
  5. 김은주, 방정배, "뉴스통신사 선거보도 뉴스프레임 변동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5호, pp.90-125, 2010.
  6. 강진숙, "재난보도의 현실구성방식 연구:'삼풍백화점 붕괴사고'에 관한 TV 뉴스보도를 중심으로," 언론연구, 제5권, 제1호, pp.117-146, 1996.
  7. 이경미, 최낙진, "태풍 '나리' 관련 제주지역의 재난방송보도 연구," 언론정보연구, 제45권, 제1호, pp.97-129, 2008.
  8. 박동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재난보도의 문제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241-248, 2009.
  9. 백선기, 이옥기,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신문의 내용 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제17회 한일국제심포지엄 발제문, 2011.
  10. 윤영철, "권력이동과 신문의 대북정책 보도-'신문과 정당의 병행관계'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27권, pp.48-81, 2000.
  11. 신태범, "국내 온라인 저널리즘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분석 대상과 주제, 이론 및 방법론적 특성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9권, 제2호, pp.200-249, 2013.
  12. 임종섭, "한국 온라인 저널리즘 연구흐름 분석:1995년부터 2012년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4권, 제1호, pp.67-102, 2014.
  13. 박대민, "뉴스 기사의 빅데이터 분석 방법으로서 뉴스정보원연결망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6호, pp.234-262, 2013.
  14. 김현희, "저자들의 동시인용과 하위주제간 추이행렬 시스템을 통한 주제문헌의 구조적 분석에 관한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제6권, 제2호, pp.21-44, 1989.
  15. 김영준, 김채환, "국내 언론학의 지적 구조 매핑(Mapping) 에 관한 연구: 1989-2006년 저자동시인용 분석,"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15권, 제3호, pp.155-184, 2007.
  16. 김광재, 박종구, "저자동시인용 분석방법을 이용한 혁신확산 연구의 지적구조,"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52-87, 2011.
  17. 감미아, 송민,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신문사에 따른 내용 및 논조 차이점 분석," 지능정보연구, 제18권, 제3호, pp.53-77, 2012.
  18. 박지영, 김태호, 박한우,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셀러브리티의 SNS 메시지 탐구," 방송통신연구, 제82호, pp.36-74, 2013.
  19. 장아름, 박지영, 박한우, "트위터 데이터를 활용한 부산국제영화제(BIFF)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7권, 제2호, pp.939-949, 2015.
  20. 박지영, 박한우, "의미망 분석을 통한 페이스북대중여론의 역동성 분석 : 서울 교육감 선거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7권, 제3호, pp.1557-1571, 2015.
  21. 김용학, 김영진, 김영석, "한국 언론학 분야 지식생산과 확산의 구조,"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1호, pp.117-140, 2008.
  22. H. W. Park and L. Leydesdorff, "Knowledge linkage structures in communication studies using citation analysis among communication journals," Scientometrics, Vol.81, No.1, pp.157-175, 2009. https://doi.org/10.1007/s11192-009-2119-y
  23. 차민경, 권상희, "언론의 '창조경제'에 대한 의제설정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2호, pp.88-120, 2015.
  24. 최윤정, 권상희, "'빅데이터' 관련 신문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31권, 제1호, pp.241-286, 2014.
  25. 남인용, 박한우,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한국정당학회보, 제6권, 제1호, pp.79-107, 2007.
  26. 문안나, "한국 사회의 IR (Investor Relations) 개념-1994-2014년 신문기사 내용분석 및 의미연결망 분석," 홍보학 연구, 제20권, 제1호, pp.50-78, 2016
  27. 김만재, 전방욱, "언어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인간배아복제 신문보도 분석," 생명윤리, 제13권, 제2호, pp.19-34, 2012.
  28. 박성희, "제17대 대통령 후보 합동 토론 언어네트워크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45호, pp.220-254, 2009.
  29. C. J. Chung and H. W. Park, "Textual analysis of a political message: The inaugural addresses of two Korean presidents," Social science information, Vol.49, No.2, pp.215-239, 2010. https://doi.org/10.1177/0539018409359370
  30. 김태구, 조남욱, 홍정식,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국내 영화 시장의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93-107, 2014.
  31. 이윤경, 신현일, 구자을, 김학용, "소설 삼국지 등 장인물 네트워크의 동적 변화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4호, pp.364-37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4.364
  32. 이세호, "프로배구 선수의 사회연결망 구조와 자원교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438-44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438
  33. A. L. Barabasi, LINKED: The New Science of Networks, 강병남 김기운 역, 링크: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서울: 동아시아, 2002.
  34. C. T. Butts, "Social network analysis: A methodological introduction,"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1, No.1, pp.13-41, 2008. https://doi.org/10.1111/j.1467-839X.2007.00241.x
  35. M. Steyvers and J. B. Tenenbaum, "The Large-scale structure of semantic networks: Statistical analyses and a model of semantic growth," Cognitive science, Vol.29, No,1, pp.41-78, 2005.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2901_3
  36. J. Scott, Social Network Analysis Handbook, 김효동 김광재 역(2012), 소셜 네트워크 분석,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37. 곽기영, 소셜 네트워크 분석,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14.
  38. R. A. Hanneman and M Riddle, Introduction to social network methods. Riverside, CA: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published in digital format at http://faculty.ucr.edu/-hanneman/), 2005.
  39. 허명회, R을 활용한 사회네트워크분석 입문, 파주: 자유아카데미, 2014.
  40. L. Leydesdorff, "Betweenness centrality as an indicator of the interdisciplinarity of scientific journal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58, No.9, pp.1303-1319, 2007. https://doi.org/10.1002/asi.20614
  41. R. C. Team,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Internet], Vienna, Austria: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2013. Document freely available on the internet at: http://www.r-project.org
  42. G. Csardi and T. Nepusz, "The igraph software package for complex network research," InterJournal, Complex Systems, Vol.1695, No.5, pp.1-9, 2006.
  43. J. Reichardt and S. Bornholdt, "Statistical mechanics of community detection," Physical Review E, Vol.74, No.1, pp.016-110, 2006.
  44. V. A. Traag and J. Bruggeman, "Community detection in networks with positive and negative links," Physical Review E, Vol.80, No.3, pp.36-115, 2009.
  45. E. Eaton and R. Mansbach, "A Spin-Glass Model for Semi-Supervised Community Detection," In Twenty-Sixth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2012.
  46. 송현주, "대통령에 대한 감정과 정책 이슈의 유인가적 유사성이 뉴스매체의 점화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3호, pp.308-336, 2006.
  47. 서희정, 양승찬, "제3자 관련 정보제공이 신문독자의 감정 유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제22호, pp.81-130, 2011.
  48. 김상호, "언론의 객관성에 대한 분석적 고찰,"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3호, pp.5-38, 2007.
  49. 이상록, 윤영민, "스마트 폰 앱 뉴스의 연성화 분석,"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3호, pp.330-354,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