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presentations and Audience Reception of the Elderly in Reality Shows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리얼리티 쇼에서의 노인 재현과 수용 연구 : 젠더 재현의 차이를 중심으로

  • 오은혜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언론정보학과) ;
  • 김수정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Received : 2016.06.13
  • Accepted : 2016.07.04
  • Published : 2016.08.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s of elders in reality shows focusing on gender disparity by employing a textual analysis and audience interviews. According to findings, as for elderly men, various images are presented while as for elderly women, traditional gender images are mainly reproduced. In the audience reception, the audiences' understanding of genres and their preexisting gender perceptions have important roles on their interpretations in the ways of producing gender discriminated meanings.

고령화 시대로 진입한 한국사회에서 대중문화가 재현하는 노인의 모습과 그 속에 드러나는 젠더 차이는 노인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태도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연예인 노인 출연자 중심의 리얼리티 쇼들을 대상으로, 젠더 측면에 주목해 노인 재현의 양상과 해독을 텍스트 분석과 수용자 분석을 통해 고찰했다.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노인 재현은 소수 부정적인 기존 이미지와 대체로 긍정적인 이미지가 공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남성노인들은 '여행'을 젊음으로 보는데 비해 여성노인은 일상의 역할들로부터 '해방'으로 인식했으며, 남성은 '노인 됨'을 사회적 관계의 측면에서, 여성들은 가족관계와 외모의 퇴락 측면에서 파악하는 젠더 차이가 흥미롭게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남성노인은 가부장제적인 남성성을 전복하는 이미지 등 다양화된 재현이 이뤄진 반면, 여성노인은 전통적 여성상 및 외모 중심의 재현을 통해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주로 재생산되고 있었다. 수용자 해독에서는 리얼리티 장르에 대한 관점의 차이와 젠더에 대한 기존 관념이 수용자의 해독에 영향을 미쳤으며, 수용자들에게 내면화된 가부장제적 남녀 차별적인 태도들이 작용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osen.mt.co.kr/article/G1109760183
  2. G. Gerbner, L. Gross, N. Signorielli, and M. Morgan, "Aging with Television: Images on Television Drama and Conceptions of Social Reality,"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0, No.1, pp.37-47, 1980. https://doi.org/10.1111/j.1460-2466.1980.tb01766.x
  3. L. R. Hatch, "Gender and Ageism," Generations, Vol.35, No.1, pp.6-10, 2005.
  4. 박주연, 김숙,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노인의 가족 내 역할과 지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2호, pp.185-206, 2013.
  5. 박주연, 김숙, "텔레비전 시사 및 교양 프로그램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2호, pp.281-300, 2014.
  6. 권미영, 노인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포맷과 서사성 및 의미 구조: tvN <꽃보다 할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7. 양선희,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진화: <꽃보다 할배>로 본 시니어 예능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방송학보, 제29권, 제4호, pp.322-356, 2015.
  8. 변재란, "여성, 할머니 그리고 나이 듦의 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108-11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108
  9. J. Amery, Uber das Altern. Revolte und Resignation, 1968, 김희상 역, 늙어감에 대하여: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돌베게, 2014.
  10. S. de Beauvoir, La Vieillesse 1, 1970, 홍상희, 박혜영 역, 노년: 나이 듦의 의미와 그 위대함, 책세상, 2002.
  11. 신경아, "노인 돌봄의 탈가족화와 노인의 경험 : 재가노인과 시설거주 노인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학, 제45권, 제4호, pp.64-96, 2011.
  12. 강진숙, "노인여성의 미디어재현과 차별에 대한 인식 연구 : 20대 대학생들과의 초점집단인터뷰 (FGI)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제24권, 제1호, pp.111-138, 2012.
  13. C. Krekula, "The Intersection of Age and Gender: Reworking Gender Theory and Social Gerontology," Current Sociology, Vol.55, No.2, pp.155-171, 2007. https://doi.org/10.1177/0011392107073299
  14. 김선영, "텔레비전 광고의 한.일 노인 정체성 비교," 한국사회학, 제43집, 제5호, pp.133-169, 2009.
  15. 양정혜, "TV 광고가 재현하는 고령화 시대의 노인,"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7권, 제1호, pp.72-106, 2011.
  16. 김미혜, "인터넷신문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 분석: 오마이뉴스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3권, 제1호, pp.13-30, 2003.
  17. 김주미, 한혜경, "TV 건강프로그램의 '노화의 의료화' 의미화 방식 - KBS <비타민>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1호, pp.159-179, 2013.
  18. 전성희, "TV 드라마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와 노년에 대한 인식 :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을 중심으로," 드라마연구, 제35호, pp.55-86, 2011.
  19. 이동옥, "노인여성의 몸과 미의 기준," 여성학연구, 제24권, 제6호, pp.123-157, 2014.
  20. 윤태진, "정서적 참여와 실재 (reality) 의 재구성", 방송문화연구, 제23권, 제2호, pp.7-36, 2011.
  21. 김수정, "글로벌 리얼리티 게임쇼에 나타난 '자기통치'의 문화정치: <프로젝트 런웨이>와 <도전 슈퍼모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6호, pp.7-44, 2010.
  22. R. Kilborn, "How real can you get?': Recent developments in 'Reality' Television,"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9, No.4, pp.421-439, 1994. https://doi.org/10.1177/0267323194009004003
  23. 홍석경,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의 장르형성에 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16권 제1호, pp.257-280, 2004
  24. 권미영, 노인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포맷과 서사성 및 의미 구조: tvN <꽃보다 할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5. J. Butler, Gender Trouble, 1990, 젠더 트러블, 조현준 역, 서울: 문학동네,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