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Juvenile Self-consciousness on the Importance of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중학생의 자의식이 기술·가정 교과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의 중요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Park, Eun-Hee (Dept. of Fahsion Design, Daegu University) ;
  • Lee, Sang-Joo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l Yamamah University)
  • Received : 2016.01.17
  • Accepted : 2016.03.02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juvenile self-consciousness on the importance of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 in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44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Deagu metropolitan Cit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hi}^2-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Self-consciousness had factors as privately and socially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The factors of the importance of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 were clothing, self-express and excellence in traditional cloth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d factors as appearance management, plastic surgery interest, diet importance, health focus and eating habit. Self-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ctors of the importance of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 and self-consciousness on 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differences by gender of middle students was examined in clothing and textile interest, clothing and textile unit interest and knowledge acquisition route.

Keywords

References

  1. 강미향, 오경화. (2006). 의생활 영역에 대한 중학생의 수업만족도 및 필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 (2), 63-77.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1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3. 권혜림. (2008).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의생활 단원에 대한 내용분석과 학생들의 인식 및 활용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양진, 강혜원. (1992). 의복 및 신체 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6(2), 197-209.
  5. 김태희, 박명자, 이지연. (2010). 중학생의 기술.가정 교과의 의생활 영역에 대한 흥미도, 활용도, 학습 요구. 복식문화연구, 18(5), 1017-1030.
  6. 류현혜, 유태순. (2007). 노년 여성의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계. 복식, 59(9), 97-109.
  7. 문혜경, 유태순. (2003). 자아존중감, 외모관심도와 의복태도 및 화장도에 관한 연구. 복식, 53(4), 101-112.
  8. 박순자. (2007). 2007 교육과정 개정 전과 후의 실과 및 가정과 의생활 교육내용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3), 37-60.
  9. 박은희. (2012).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의복행동과 '의복 마련과 관리' 단원의 내용 활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0(6), 43-54. https://doi.org/10.6115/khea.2012.50.6.043
  10. 박은희. (2015). 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 패션비즈니스학회, 19(4), 21-36.
  11. 성화경. (1994). 중.고등학교 가정과목 의생활 분야 교육내용 연구-학생, 교사, 전공 교수의 요구도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6(1), 61-72.
  12. 심정은, 고애란. (1997).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절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8), 1334-1345.
  13. 안효정. (2010). 2007 개정교육과정 중학교 의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 경북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74.
  14. 위은하. (2015). 광주.전단지역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 따른 신체비교, 신체만족과 외모관리행동 연구-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7(1), 13-29.
  15. 이명희. (2003). 청소년의 외모관련행동과 라이프스 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10), 1101-1111.
  16. 이상혁 외. (2014).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주)미래앤
  17. 이애경, 이혜자, 한영숙. (2006). 청소년의 의복행동과 교복만족도 및 교복변형행동. 한국가정교육학회지, 18(3), 133-138.
  18. 이은실. (2011). 신체매력 지각이 건강증진행동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9(6), 47-56. https://doi.org/10.6115/khea.2011.49.6.047
  19. 이은희. (2006).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외모에 대한 태도와 의복태도와의 관련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4). 85-102.
  20. 이은희. (2007). 청년기 여학생의 외모관련태도와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421-432. https://doi.org/10.5934/KJHE.2007.16.2.421
  21. 이춘식 외. (2014).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천재교육
  22. 장세미. (2008). 중.고등학생의 의생활 영역에 대한 인식, 필요도 및 실천의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62.
  23. 전재훈, 하지수. (2008). 현대 청소년 특성이 반영된 청소년 패션에 관한 연구-2001-2006년 SPORT& STREET. 한국의류학회지, 32(1), 65-76. https://doi.org/10.5850/JKSCT.2008.32.1.065
  24. 채정현 외. (2014).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주)삼양미디어
  25. 최나영. (2012). 여고생들의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교복변형, 헤어스타일, 화장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2(6), 764-773.
  26. 최미혜, 김경희, 김주덕. (2009). 여성의 자기의식, 신체이미지가 반복되는 미용수술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15(2), 649-661.
  27. 한준상, 이춘화, 윤옥경. (2000). 청소년의 신체적 자 아상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28. Cruickshank, W. M. (1971). Psychology of exceptional children and youth.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29. Fenigstein, A., Scheier, M. F., & Buss, A. H. (1975).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3(4), 522-527. https://doi.org/10.1037/h0076760
  30. Hurlock, E. (1976). The psychology of dress: An analysis of fashion and its motive. New York: Arno Press.
  31. Kaiser, S.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2d ed.). New York: Macmillan.
  32. Miller, F. G., Davis, L. L., & Rowold, K. L. (1982).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the use of clothing. Home Economic Research Journal, 10, 363-368. https://doi.org/10.1177/1077727X8201000407
  33. Pertschuk, M. (1991).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in interface surgery. Clinics in Plastic Surgery. 18(1), 11-18.
  34. Smith, T. W., Ingram, R. E., & Brehm, S. S. (1983). Social anxiety, anxious self-preoccupation, and recall of self-relevant inform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6). 1276-1283. https://doi.org/10.1037/0022-3514.44.6.1276
  35. Steinberg, L. (1993). Adolescence. New York: McCraw 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