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age of the Girls' High School Uniform Design

여고생의 교복 디자인에 따른 이미지 연구

  • Yang, Eunjin (Dept. of Beauty Design,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
  • Jeong, Suji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양은진 (한국국제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 정수진 (경상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6.04.28
  • Accepted : 2016.06.13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rovement idea for an school uniform styling that better satisfies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hanging demands, through evaluating images differences according to design variation in school unifor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between-subject design by using the stimulant materials of school uniform design and image assessment scale. The stimulant materials used for this study were 27 designs with blazer/skirt ensemble and 21 designs with vest/skirt ensemble. The survey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a total of 192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Gyeongsangnam-do. As a result of analyses on a image of blazer/skirt ensembles, 4 factors were extracted such as neatness, uniqueness, activeness, and attractiveness. Blazer was the only variables that exerted significant effects on neatness, uniqueness, and attractiveness. As a result of analyses on a image of vest/skirt ensembles, 4 factors were extracted such as attractiveness, neatness, uniqueness, and activeness. Skirt was the only variables that exerted significant effects on attractiveness, neatness, and uniqueness. Neat image was perceived to be high in ensembles of standard blazer/standard collar/horizontal-seam skirt, standard vest/skirt with horizontal color combination, and buttons-down vest/horizontal-seam skirt. Unique image was perceived to be high in ensembles of blazer with bindings/standard collar/solid skirt, and vest with pockets/skirt with vertical bindings. Also, active image was perceived to be high in ensembles of vest with pockets/skirt with vertical bindings, and buttons-down vest/skirt with vertical bindings. Attractive image was perceived to be high in ensembles of blazer with bindings/peaked lapel/skirt with vertical bindings, and standard vest/horizontal-seam skirt.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different items and pieces of school uniforms can be combined in many different ways to create quite diverse looks. Thu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basic data for research on teenagers' fashion and clothing.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희. (2005). 실물사진과 컴퓨터그림에 의한 남성 캐주얼웨어 이미지 지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구영아. (2007). 고어드 스커트의 시각적 이미지 연구 : 중년 비만체형 여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혜숙. (1993). 여고생 교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 디자인연구, 1(0), 31-45.
  4. 김세희. (2003). 여고생의 교복행동에 관한 연구 : 교복이미지와 교복만족도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희연. (1994). 남자중학생 교복의 치수적합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백승희. (2000). CAD를 이용한 교복디자인 개발 경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서수민. (2009). 남자 중학생의 교복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지민, 박명자, 이지연. (2011). 중.고등학생의 의복동조성향에 따른 교복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구매행동. 복식문화연구, 19(6), 1320-1333.
  9. 양은진, 정수진. (2013). 여고생의 교복 개선 요구 및 교복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3), 425-435.
  10. 윤현정, 조규화. (2002). 여고생 교복 디자인 연구. 패션 비즈니스, 6(5), 27-40.
  11. 이미연, 이명희. (2000). 웨딩드레스의 디자인 요소와 지각자 성별에 따른 인상형성 연구 (제1보) : 실루엣과 네크라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5), 724-735.
  12. 이은영, 정인희. (1996). 의복과 자기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0(1), 207-217.
  13. 이혜주. (2006). 남자 중, 고등학생의 교복 치수 맞음새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동복을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지, 14(1), 48-63.
  14. 정인희. (1992). 의복 이미지의 구성요인, 계층구조 및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은정. (2003). Jean 소재를 이용한 여고생 교복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조진숙. (1991). 교복 디자인 개발 연구 : 여고생 추동용 교복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표준국어대사전. (2015. 9. 25). 국립국어원. 자료검색일 2015. 9. 25, 자료출처 http://stdweb2.korean.go.kr
  18. 한미희. (2009). 여고생의 교복디자인에 대한 연구 : 디자인 평가, 디자인 선호도, 디자인 감성이미지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한미희, 이은숙. (2012). 울산지역 여고생의 교복 이미지 및 선호도 -계열별, 학년별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4), 532-543. https://doi.org/10.5805/KSCI.2012.14.4.532
  20. 황미선. (2003). 남녀 대학생의 캠퍼스웨어 이미지 평가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황진숙, 안명화, 용유진, 유승연. (2002). 남녀 고등학생의 교복이미지 선호와 교복변형 행동의 비교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4(3), 243-247.
  22. Roach, M. E. (1969). Adolescent Dress Understanding the issues. Journal Home Economics, 61, 693-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