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Images and Preference on Cultural Products based on Baekje Traditional Culture - Focused on Adolescents -

백제의 전통문화를 활용한 문화상품의 이미지와 선호도 분석 - 10대 청소년을 중심으로 -

  • Lee, Mi-Sook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6.06.13
  • Accepted : 2016.09.02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dolescents' images and preference on cultural products based on Baekje traditional culture focused on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421 adolescent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The measuring instruments was stimuli of cultural products and a questionnaire with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of image of cultural products, preference, product evaluation criteria, and subjects'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3 factors(attractiveness, interest, gentleness) were emerged on images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Baekje tradition culture, however, the current products could not convey affectively the attractive and gentle image of baekje traditional culture. Second, the preference of the Baekje cultural products was evaluated low, and especially design and price was rated low in the evaluation criteria. Third, preference was related with the 3 image factors, and attractiveness factor was showed highly positive effects on preference of cultural produc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useful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plan for adolescents, and the research results suggested that modern and individual design, unique traditional pattern, resonable price, and practicality have to be considered to develop successful cultural products for adolesc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민. (2013). 지역 관광콘텐츠를 활용한 패션문화상 품 개발 및 산업화 방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정현, 권영숙. (2003). 한국 전통주머니에 나타난 감성이미지. 복식, 53(4), 1-16.
  3. 김기훈, 문미라. (2013). 전주 한옥마을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21(3), 348-360.
  4. 김영순, 구문모, 조성면, 이미정, 오장근, 왕치현, 신규리. (2010).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 성남: 북코리아.
  5. 김하연. (2008).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한국인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현지. (2007). 부산시 방문 일본인 관광객의 관광 기념품 구매속성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9(2), 905-929.
  7. 김희정, 이경희. (2000). 동양적 복식디자인의 특성과 이미지 연구(제 1보)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1), 24-33.
  8. 문희강, 윤초롱. (2011). 청소년들의 전통문화인식에 따른 한국적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이미지 연상. 한국의류학회지, 35(1), 51-62.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051
  9. 서미영, 김병미, 이미숙. (2011). 백제전통문양을 활용한 풀오버 패션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대학생의 니트웨어 선호도와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3(2), 47-62.
  10. 서서영. (2014). '백제문화제'를 기반으로 한 티셔츠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한복문화, 17(3), 175-192.
  11. 신대택, 박승철. (2012). 백제문화상품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공주.부여 국립박물관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10(5), 333-338.
  12. 신라 금귀걸이하고, 한글 넥타이 매는 외국인들. (2012. 6. 16). 동아닷컴. 자료검색일 2015. 10. 12, 자료출처 http://news.donga.com/3/all/20120616/47051966/1.
  13. 양희순, 이유리. (2009). 청소년들의 패션혁신성에 따른 한국적 이미지 패션상품에 대한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33(4), 666-677. https://doi.org/10.5850/JKSCT.2009.33.4.666
  14. 이동연, 이중석. (2008). 사비 백제의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문화상품 개발 방안 연구. 디자인학연구, 21(5), 169-182.
  15. 이상미, 김정호. (2007). 충청지역 국립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백제 문화상품 현황조사. 한국가구학회지, 18(3), 224-233.
  16. 이미숙. (2016). 백제 전통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현황 분석. 2016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차 학술대회 논문집, 39-41.
  17. 이미숙. (2015). 10대 청소년의 한국전통문화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구매행동연구. 2015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차 학술대회 논문집, 42-44.
  18.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 (2005). 한국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968-977.
  19. 장수경. 김재숙. (2000). 한국 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4(2), 214-225.
  20. 정인희, 이은영. (1992).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과 계층구조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379-391.
  21. 정지연. (2011). 구매특성을 중심으로 백제전통문양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조윤진. (2007). 한국방문 외국인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관련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케이팝 등 한류수출 100달러 늘면 한국 소비재수출 312달러 증가. (2012. 5. 30). 동아닷컴. 자료검색 일 2015. 10. 12, 자료출처 http://news.donga.com/3/all/20120530/46609955/1.
  24. 2013 청소년 국내 관광 현황 및 수요 조사. (2014. 5. 19). 한국관광공사. 자료검색일 2015. 10. 12, 자료 출처 http://kto.visitkorea.or.kr/kor/notice/data/report/org/board/view.kto?id=421433&instanceId=127.
  25. Kotler, P. (2000).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10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26. Littrell, M. A., Anderson, L. F., & Brown, O. J. (1993). What makes a craft souvenir authentic? Annals of Tourism Research, 20(1), 197-215. https://doi.org/10.1016/0160-7383(93)90118-M
  27. Nguyen, Nl., & Levlanc, G. (1998). The mediating role of corporation image on customers' retention decision: An investigation in financial services. Journal of Banking marketing, 16(2), 52-65. https://doi.org/10.1108/02652329810206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