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istorical study of the Origin and Development Baekje Costume based on Literature Documents

문헌적 고찰에 의한 백제 복식의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역사적 연구

  • Ra, Sun-Jung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라선정 (공주대학교 의류상품학과)
  • Received : 2016.08.03
  • Accepted : 2016.09.05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article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origin and developments of Baekje costume based on the validity of the reference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infer the look of Baekje costume. On the basis of literature documents in Korea and China the shapes of it are examined, and the reliability of contents recorded in the sources is lexically reviewed. Errors related with features of the Baekje costume is minimized by investigating controversial issues in terms of periods and some parts which cannot be identified as the shapes of it. The changing aspects of the Baekje costume by flow of time can be observed based on various records in the literatures. The origin of it can be found in records regarding the costumes of Mahan and Buyeo. Baekje inherited the separate-type of costume structure from before the period of it, and possessed superior weaving technology. In the 3th century, the Baekje costume seemed to be established, and gradually developed from 4th to 5th century. As it continued to be developed, its frame was accomplished at the late 6th century. The shapes of it appeared to be further elaborated, specified, and therefore systematized in the 7th century.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숙.이주영. (2004). 유물을 통해 본 백제 복식의 유형과 특징.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3), 565-574.
  2. 金東旭. (1979). 增補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亞細亞文化史.
  3. 金文子. (1994). 韓國服飾文化의 源流. 서울: 民族文化社.
  4. 김수태. (2001). 百濟의 對外交涉權 掌握과 馬韓, 百濟硏究, 33, 23-36.
  5. 김영재. (2000). 王會圖에 나타난 우리나라 삼국사신의 복식. 한복문화, 3, 17-25.
  6. 金元龍. (1967). 三國時代의 開始에 대한 一考察. 서울: 東亞文化.
  7. 盧重國. (1978). 百濟王室의 南遷과 支配勢力의 變遷. 韓國史論, 4, 3-130.
  8. 盧重國. (1986). 百濟政治史硏究. 서울: 一潮閣.
  9. 라선정. (2010). 百濟金銅大香爐 주악상 服飾을 통해 본 百濟 服飾의 獨自性. 역사와 담론, 57, 241-273.
  10. 라선정. (2016). 百濟 服飾의 美와 문화콘텐츠 활용.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마유리. (2010). 현대 축제의 백제복식 재현 양상과 원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선희. (2002). 한국 고대 복식. 서울: 지식산업사.
  13. 朴淳發. (1998). 百濟 國家의 形成硏究. 대전: 충남대학교출판부.
  14. 徐美英. (2004). 百濟 服飾의 硏究. 忠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5. 서미영, 박춘순. (2004). 백제금동대향로 주악상 복식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1). 61-70.
  16. 유송옥, 안소영. (2000). 金銅龍鳳鳳萊山香爐에 나타난 백제 복식 고찰. 생활과학, 3, 159-208.
  17. 李丙燾. (1959). 한국사-고대편.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8. 柳喜卿. (1975). 한국복식사 연구. 서울: 梨花女子大 學校出版部.
  19. 柳喜卿. (1984). 後綬小考. 服飾, 8, 5-14.
  20. 柳喜卿,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21. 李京子. (1983). 韓國服飾史論. 서울: 일지사.
  22. 李如星. (1947). 朝鮮服飾考. 白楊堂.
  23. 이은창. (1978). 韓國服飾의 역사.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4. 李鐘旭. (1986). 百濟 初期史 硏究史料의 性格. 百濟硏究, 17, 9-33.
  25. 이진민, 남윤자, 조우현. (2001). 王會圖와 蕃客入朝圖에 묘사된 삼국사신의 복식. 복식, 51, 155-170.
  26. 전해종. (1980). 동이전의 문헌적 연구-위략.삼국지. 후한서 동이 관계 기사의 검토. 서울: 일조각.
  27. 정재윤. (2007). 사료를 보니 백제가 보인다(국외편). 서울: 주류성.
  28. 정재윤. (2008). 구태 시조설의 성립 배경과 그 의미. 한국고대사연구, 51, 51-86.
  29. 홍정민, 김기엽. (2003). 百濟金銅大香爐에 나타난 복식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6(2), 61-69.
  30.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공주시. (2013). 公州水村里古墳群 I. 공주: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31. 國史編纂委員會. (1987). 中國正史朝鮮傳譯註一. 서울: 國史編纂委員會.
  32. 韓國文化財保護協會. (1982). 韓國의服飾. 서울: 韓國文化財保護協會.
  33. 今西龍 (1934). 百濟史講話 文敎の朝鮮, 81. 23-37.
  34. 津田左右吉 (1924). 百濟に關する日本書紀の記載, 東京 岩波書店
  35. 太田亮 (1928). 日本古代史新硏究, 東京 磯部甲陽堂
  36. 三國史記
  37. 三國志, 後漢書, 晉書
  38. 魏書, 梁書, 南史, 周書, 北史, 隋書, 舊唐書, 新唐書
  39. 說文解字, 急就篇, 釋名, 中華古今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