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cept of 'original form' in architectural herit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conservation - Focusing on the critical analysis on the past practices of timber buildings in Korea -

건축문화재의 원형(原形) 개념과 보존의 관계 - 한국 목조건축문화재 수리 역사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 Kang, Hyun (Architec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강현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16.02.29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An understanding of 'original form' plays an important role as it is the starting point of heritage conservation. This paper delineated several types of understanding on 'original form' over times, and aims at analyzing the way how such concepts has provided a platform of repair works of timber buildings in Korea over times. Conservation in Korea was initiated by the attitude of the Japanese authority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restoring into the earliest form', which had been set in the early stage of the Japanese conservation, has strongly influenced on Korean practice during the period. Such attitude has lasted even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Japan, however, the attitude has shifted to taking a careful decision on the alteration of the existing form during the 1930s. In addition, examination and research in the repair work became essential steps to conduct along with the publication of the report of works. In Korea there has been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examination and research in repair works and the publication of report of the works has not been mandatory so that it has emphasized on the 'form' in conservation aiming at 'restoring the earliest form'. Such attitude has created the problem of replacing original material during the work which should aim at preserving and maintaining heritage in Korea. Because of these circumstances in preserving the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in Korea, cultural buildings had succeeded in preserving the outer appearance but there are remaining questions on preserving the original states of them. This paper has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set out the principles of conserving 'original condition' through further study and discussion based on the careful consideration on both the international principles and Korean context.

건축문화재의 원형에 대한 이해는 보존 행위의 출발점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원형에 대한 이해를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의 건축문화재 보존역사에서 특히 목조건축 문화재의 수리공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한국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수리가 시작되어 일본에서 수리공사 초기에 정립된 방법론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그 결과 '당초복원'이라고 하는 개념이 해방 이후까지 지속되었다. 한편 일본의 경우 1930년대를 전후하여 현상변경을 신중히 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면서, 수리공사에서의 조사연구가 강조되고 보고서의 발간이 체계화되었다. 한국의 경우에는 해방 이후 이러한 조사연구에 대한 인식부족과 수리보고서의 발간이 일반화되지 못한 채로, '당초복원'의 방식을 유지하여 형태 위주의 보존에 치중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유지보존'이라고 하는 방식의 공사에서도 재료의 교체가 일반화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한국의 건축문화재 보존에서 수리공사를 통해 형상은 보존되었으나 원상의 보존에 있어서는 의문이 남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적인 보존원칙과 한국적 상황을 고려한 건축문화재의 원형 보존에 대한 논의를 통해 원상의 보존에 대한 기준의 정립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박물관, 1958, 무위사 극락전 수리공사보고서, 문교부
  2.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한국위원회[ICOMOS-Korea], 2010, 이코모스 헌장 선언문집
  3. 김왕직.이상해, 2002, 목조 건조물문화재의 보존이론에 관한 연구-일본 건조물문화재의 수리사례를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11(3), 한국건축역사학회
  4. 도윤수.황보영희.한동수, 2007.10.5, 한국 건축문화재 조사보고서의 성과와 과제 동아시아 목조건축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변천과정과 성과, 한양대학교 건축대학 동아시아 건축역사연구실
  5. 먼로 C. 비어슬리, 이성훈.안원현 역, 1987, 미학사, 이론과 실천
  6. 무진종합건축사사무소, 2004, 강릉 객사문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강릉시청
  7.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4, 강진 무위사 극락전 수리보고서
  8.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4, 울진 불영사 응진전 수리보고서
  9.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2, 봉정사 극락전 수리공사보고서
  10. 문화재청 수리기술과, 2014.9.24, 문화재수리현장 품질향상 워크숍(자료집)
  11. 문화재청 보존정책과, 2009, 문화재 현상변경 업무 편람
  12. 문화재청, 2005,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
  13. 문화재청 사적과, 2004, 문화재 현상변경 실무 안내집
  14. 민학회, 1992, 고미술 연구의 초석 林泉 민학회보 제28호
  15. 박병수.박정환, 2005, 주요 목조문화재의 수종구성, 국립산림과학원
  16. 박상진, 2004, 역사가 새겨진 나무 이야기, 김영사
  17. 서울시교육위원회 편, 1966, 서울 남대문 수리보고서
  18. (주)서홍기술건축사사무소, 2012,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 실측.해체수리보고서, 대구광역시 동구
  19. 아름터건축사사무소, 2011, 경복궁 광화문 권역 중건보고서, 문화재청
  20. 오병남, 1996, 미학강의-문제와 방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미학과
  21. 오세탁, 2005, 문화재보호법원론, 주류성
  22. 이상해, 1993, 건축역사문화환경(建築歷史文化環境)의 보전(保全)과 복원(復元)의 과제 문화재 제26호
  23. 이수정, 2012.12,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 진정성 개념의 속성과 변화 고찰 문화재 제45권 제4호(통권 58권)
  24. 이장열, 2005, 한국 문형문화재 정책-역사와 진로-, 관동출판
  25. 이희봉, 2014.5, 사례를 통해 본 문화재 엉터리 보수 복원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6. 이희봉, 2013.9, 문화재 전문가에 의한 문화재 파괴, 이제 그만 막아야 한다 건축 Vol.57, No.9, 대한건축학회
  27. 조현정.上野勝久, 2007.10.5, 일본 목조건조물문화재의 실측도면과 수리공사보고서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 목조건축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변천과정과 성과, 한양대학교 건축대학 동아시아건축역사연구실
  28. 주남철, 2012, 한국 현존 최고의 목조건축 봉정사 극락전 본형(本形)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통권 287호), 대한건축학회
  29. 체사레 브란디, 최병하 편역, 2013, 문화유산의 수복이론, 기문당
  30. 최종덕, 2014, 숭례문 세우기, 돌베개
  31. 한보만, 2011, 숭례문 연대 측정결과에 대한 건축사적 해석 숭례문 목부재 연륜연대 분석 및 기증목재 기초조사 연구보고서, 문화재청
  32. 한스 율겐 한젠 외, 전봉희 역, 1995, 서양목조건축, 도서출판 발언
  33. 奈良 文化財硏究所, 2006, 木造建造物の保存修復のあり方と手法(提言)
  34. 奈良 文化財硏究所, 2003, 木造建造物の保存修復のあり方と手法
  35. 伊藤廷男 等, 1999, 歷史的建造物の保存(新建築學大系 50), 彰國社
  36. 日本建築學會 編, 2001, 近代日本建築發達史 (復刻板), 文生書院(1972, 丸善株式會社)
  37. 淸水重敦, 2009.11.28, 일본에 있어서 역사적 건조물 실측도의 역사와 그 배경 건축문화재 실측기법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제1회 건축유산 시민축제 전문가 마당 세미나 자료), 한양대학교 건축대학
  38. 淸水重敦, 2004, 日本にをける建築保存槪念の生成に關する硏究, 東京大博論
  39. Andrew Boyd, 이왕기 역, 1995, 중국의 건축과 도시, 기문당
  40. Bruce G. Trigger, 성춘택 역, 1997, 고고학사 - 사상과 이론-, 학연문화사
  41. Glyn Daniel, 김정배 역, 1992, 고고학발달사, 신서원
  42. Jukka Jokilehto, 최병하 역, 2009,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역사(A History of Architectural Conservation), 기문당
  43. Meyer Schapiro, Style, ed. Morris Philipson, 1961, Aesthetics Today
  44. W.타타르키비츠(Wladyslaw Tatarkiewicz), 손효주 역, 1990, 미학의 기본개념사(A History of Six Ideas an Essay in Aesthetics), 미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