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blem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to Natural Heritage

자연문화재에 있어 원형개념 적용의 문제점

  • Lee, Won 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Natural Heritage Division)
  • 이원호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16.02.29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is essay explores the problems with applying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to natural heritage when it is based on originality and diachronic, historical period. It also suggests an alternative perception that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can be considered based upon "integrity". First,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applying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falls into three types: one that centers on the time point at which heritage originated; another that respects the diachronic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and the last that bases original form on a particular time after the heritage originated. Second, the national policy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al monuments and scenic sites stayed at the level of consulting the Decree on the Preservation of Treasures, Historical Remains, Scenic Sites, and Natural Monuments of Joseo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after the legal framework was established through enacting and proclaiming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1962, 564 cases have been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Third, the natural conservation movement, the first national policy for natural heritage, was initiated from the heritage field, but the Environment Ministry subsumed all nature-related policies and ever since the heritage agenc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implemented only heritage policies regarding "cultural" heritage. The present state of the coexisting policies about the natural heritage by the Environment Ministry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resulted in leading the public confused about official terms and main policy agency of natural heritage. Fourth, the difficulty of applying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to natural heritage stems from the fact that natural heritage is inherently distinct from cultural heritage, which i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heritage policies implemented by the heritage agency. In addition, natural heritage, similarly distinct from the overall natural environment, has evolved in a way that incorporates human culture and thus diversely includes characteristics of originality, diachrony, and historical period. Under these circumstances, an incorporative, professional approach is required rather than independent approaches for each type of natural heritage. In conclusion, this essay suggests that issues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original conditions of natural heritage should be resol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integrity" concept by resto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or a place that imbue it with meaning and value," with consideration given to efforts for alleviating logical contradictions within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through the preparation of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the restoration of original condition.

본 연구는 자연문화재의 원형개념을 시원성, 통시성, 시대성의 개념에 적용하여 그 사례와 문제점을 고찰하고 완전성의 측면에서 원형에 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원형개념 적용의 틀은 처음 발생한 시점을 중요시 여기는 시원성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원형개념의 중요성을 따른 통시성, 원형이 발생한 이후 특정시대에 따라서 구분되는 원형도 존재할 수 있다는 개념인 시대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국내 천연기념물과 명승정책은 일제강점기에 제정한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을 원용하여 관리하는 수준에 머물다가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법적인 기본틀이 갖추어진 이후 현재 564건의 천연기념물과 109건의 명승이 지정되어 있다. 셋째, 국내 자연유산의 최초 정책인 자연보호운동의 효시 또한 문화재로부터 시작되었으나 환경부의 자연관련정책 일원화로 현재 문화유산 위주의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게 되었으며 현재 문화재청과 환경부의 자연관련 정책 양립현상은 자연유산에 관한 용어와 정책주체에 관한 혼돈을 야기하였다. 넷째, 자연문화재의 원형개념 적용상의 문제점은 자연문화재가 문화재청에서 주로 다루는 문화유산과 근본적으로 차별성을 가지면서도 일반적인 자연환경과는 다른 인간의 문화가 공존하는 상태로 진화하면서 원형에 대한 시원성과 통시성, 시대성 등을 다의적으로 포함하게 된 것에서 기인함에 따라 자연유형별 접근보다는 융합적이며 전문적인 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 결론으로 자연문화재에 있어 원상회복의 쟁점들은 완전성의 개념에 대입하여 "의미와 가치를 부여해주는 대상과 그 장소의 특징"을 복원하는 것을 중점으로 하되 원상복원의 '기준'과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원형개념의 논리적 모순과 원형복원과의 괴리를 좁혀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은.최동욱.홍성희.정윤희.김상범.임승빈. 2009, 원형경관의 개념 정립 및 형성요인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4)
  2. 김윤식, 2003, 제주도 자연유산지구 국제학술세미나 및 제4회 자연문화재 담당자 교육, 문화재청
  3. 안계복.이원호, 2014, 조선시대 궁궐정원의 원형경관 복원을 위한 제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4. 안동만, 1993, 역사도시에서의 역사경관 보전방안 도시문제 301
  5. 유창민.박동석.권오복.이재근, 2004, 조경적 측면에서의 천연기념물 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6. 이선, 2009, 한국의 자연유산 천연기념물의 역사와 그를 둘러싼 이야기들, 수류산방
  7. 이위수, 2010, 식물문화재의 보존관리교육,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수원
  8. Murtagh, William J., 2005, 'Keeping Time : The History and Theory of Preservation in America', John Wiley & Sons, 이원호 외 공역, 역사경관보존론(미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