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중음악 지도자 양성 필요성에 대한 고찰 -기관 및 자격증의 설립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nessesity for training an educator of popular music -Concentrating on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 and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 투고 : 2016.10.26
  • 심사 : 2017.02.03
  • 발행 : 2017.02.28

초록

본 논문은 대중음악 전문 지도자 양성 필요성에 대한 논문으로 대중음악 전문 교육기관 및 실용음악교육 관련 자격증의 설립을 촉구하는 논문이다. 대중음악은 사람들에게 시선과 관심을 받고 있는 우리문화의 큰 축으로 자리 잡았으며, 장르도 점차적으로 다양화가 이루어져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미디어에 등장하는 가수들은 퍼포먼스 위주의 보이, 걸 그룹들이 대부분이고 기량 면에서 다소 부족함이 있다. 필자는 이에 대한 원인을 대중음악 전문 지도자 양성체제의 결여에서 찾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은 공교육의 부재로 인해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공공교육시스템이 미흡하다. 또한 필드 위주로 인식되는 대중음악은 학문적 필요성의 인식이 부각되지 못해서 교육에 대한 필요성까지 감소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고등교육기관 등에서의 전문지도자 양성체제의 결여로 지도자 육성에까지 큰 문제를 안고 있어서 총체적으로 문제점들이 반복되어 순환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방법으로는 전문 교육기관의 확립과 자격증의 설립이 있다. 이러한 해결책의 실행은 현재 정체 단계에 머물러 있는 K-POP발전과 세계화에 더욱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대중음악계의 안정 및 이미지 격상에도 도움을 줄 것이고, 탄탄한 대중음악 역사 형성 등 수 많은 부분에 기여해서 전반적으로 대중음악계를 성장시킬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전문지도자 양성을 위한 기관 및 자격증의 설립을 실용음악전공자들 뿐만이 아니라 전 방위에 걸친 관련 음악 종사자들에게 영향을 주고 교육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줌으로써 대중음악계의 발전을 꾀하고자 한다.

This study assesses the necessity of popular music instructor training, and promotes the establishment of popular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ertification related to applied music education. Popular music has profound influence in popular culture, and is gradually diversifying. However, successful singers predominantly remain mostly boy/girl performance groups lacking musical skills. This study posits the cause of this problem is the absence of popular music instructor training systems, and suggests solutions. Currently, Korea's popular music lacks a public education system that teaches students effectively. Also, popular music is acknowledged as field-oriented, and isn't recognized for its academic value. Lastly, the lack of professional instructor training system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creates challenges in fostering effective teachers.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nclude establishing dedic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stablishing certification programs. Implementing these solutions will provid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developing globalization for the currently stagnant K-pop industry. In addition, these solutions would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the popular music industry, enhancing the image, and developing the popular music industry in general. In conclusion, this study promotes the popular music industry development by influencing and promoting awareness of music professionals, not just applied music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S. H. Kim, Explosive increase of vocal academies - Because of fever to audition, Kukminilbo, 2012.09.16.19:53
  2. Naver terms,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5318&cid=466 62&categoryId=46662
  3. Naver search,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 tab_hty.top& where=nexearch&oquery=Popular Music&ie=utf8&query=Arts high school 2016.10.08.
  4. Naver terms,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5594100
  5. H. S. Lee, Approaching to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Sekwang music publishing company,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