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for their Awareness of Good Job

대학생의 조직지원인식과 취업준비활동이 좋은 일자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 Bea, Sung-Sook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Mokwon University) ;
  • Chang, Sug-I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7.01.23
  • Accepted : 2017.02.20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Due to the recent deepening youth unemployment aftereffect, government, companies and universities seek a youth unemployment resolution method and jobs creating measures. But there are indications that the Good Job the university students prefer are limited and sudden rise of the youth unemployment rate mirrors the situation in Japan 20 years ago. Thus,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this research attempted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ffect their Awareness of Good Job. To achieve the goal, 2013 GOMS 5,380 copies provid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re used in the case of Korea and total 5,636 copies within 256 questionnaires targeted to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are used in the case of Japa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awareness of Good Job showed a positive influence both in Korea and Japan.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awareness of Good Job showed a meaningful effect in Korea whereas it showed no effect in Japa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employment preparation and awareness of Good Job,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major field of study didn't show any effect either in Korea or Jap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it is verified that the support of univers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Good Job, it seems that universities need to intensify the support for the students' welfare enhancement, education satisfaction and the structural support system. Second, the gap of attitude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awareness of Good Job between Korea and Japan occurred due to the levels of social structure, welfare and wage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Therefore, if measures of policy to resolve the welfare and wage gaps between conglomerates and smaller enterprises are enacted, the awareness of younger generations to the Good Job will show a corresponding effect.

최근 심화되고 있는 청년실업의 여파로 정부, 기업, 대학 등의 관계기관은 청년실업 해소 및 일자리 창출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는 한정적이며, 장기간 경기침체에 따른 청년실업률 급등이 20년 전 일본의 상황과 유사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조직지원인식과 취업준비활동이 좋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3 GOMS 5,380부를 활용하였으며, 일본은 2016년 3월 대학생 대상 설문지 256부를 회수하여, 총 5,636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지원인식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영향관계는 한국과 일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영향관계는 한국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본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관계에서 성별과 전공계열의 조절효과는 한국과 일본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지원이 대학생들의 좋은 일자리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복지향상과 교육만족을 위한 지원 및 지원제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은 한국과 일본의 사회구조나 복지 및 임금 등의 격차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였다. 따라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한다면 청년층의 좋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도 변화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상신(2015), 청년 일자리의 실태와 좋은 일자리 확대방안, 노동사회, 184, 26-41.
  2. 김정숙(2009), 대졸자들의 취업준비 활동의 차이 및 직업이행 효과, 교육과학 연구, 40(1), 141-165.
  3. 노경란.박용호.허선주(2011), 대학 재학중 취업 및 진로개발서비스 참여경험이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49(1), 64- 92.
  4. 노경란.허선주(2015), 대졸 청년층의 취업목표 달성영향요인 분석, 직업교육 연구, 34(3), 1-22.
  5. 문성숙(2014), 대졸청년 직업준비활동과 취업성과와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박노율․서재현(2007), 팀지원인식과 조직지원인식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31(1), 27- 51.
  7. 박성재.고영우(2013). 청년들의 스펙이 노동시장 이행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 2013 고용패널학술대회자료집, 한국고용정보원, 308- 334.
  8. 박성재.반정호(2006),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한국인구학, 29(3), 29- 50.
  9. 박성현(2009), 좋은 일자리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방하남.이상호(2006), 좋은 일자리의 개념구성 및 결정요인의 분석, 한국사회학, 40(1), 93-126.
  11. 서봉언.박명희.김경식(2013), 청년 대졸자의 대학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분석: 취업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학논총, 34(1), 41-60.
  12. 성지미.안주엽(2012), 취업사교육과 첫 일자리, 한국경제연구, 30(3), 5-46.
  13. 신선미(2013), 대학생의 취업준비활동이 졸업후 좋은 일자리 안착에 미치는 영향, 2013 고용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고용정보원, 683-711.
  14. 안윤정.오현주.김미경(2011), 대학만족이 대학생의 개인작인신념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4(4), 151-171.
  15. 안주엽.정성미(2012), 고용형태별 정규-비정규 임금격차: 업종별 분석(비정규직 워킹페이퍼시리즈), 한국노동연구원.
  16. 오호영(2005), 과잉교육의 원인과 경제적 효과, 노동경제논집, 28(3), 1-37.
  17. 오호영.송창용.송경모(2012), 청년층의 취업눈높이 실태파악을 통한 진로정책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이만기.김호원(2015). 대졸자의 괜찮은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준비활동의 영향 분석, 취업진로연구, 5(4), 115-138.
  19. 이병희(2011), 청년고용문제, 눈높이 때문인가?, 산업노동연구, 17(1), 71-95.
  20. 이성균(2011), 좋은 일자리의 지역별 비교 및 요인분석, 지역사회학, 12(2), 5-29.
  21. 이승근.손경옥.권재기(2013), 전문대 졸업생의 취업결정 및 취업유지 결정요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5(1), 25-49.
  22. 이의규.강일규.류지영.조준모.김삼수.오학수(2008), 일본의 청년층 노동시장정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3. 이종찬.홍아정(2013), 대학교육만족과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경험이 졸업 후 취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취업목표달성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32(3), 77-96.
  24. 정영근.장민수.김혜정(2011), 대졸 고학력노동시장미스매치 연구, 질서경제저널, 14(3), 1-21.
  25. 조영하.김병찬.김봉준(2008),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2), 437-462.
  26. 주철안.박상욱.홍창남.이쌍철(2012), 학교조직 특성이 학생의 학업성취와 정의적 성장에 미치는 효과분석: 학교조직 진단 영역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3(2), 57-80.
  27. 채창균(2006), 기업규모와 청년층 노동이동,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9(1), 81-103.
  28. 채창균.김태기(2009). 대졸 청년층의 취업성과 결정요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28(2), 89-107.
  29. 탁하얀(2010),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통계청(2016), 경제활동인구조사.
  31. Clark, A. C.(1998), Measures of Job Satisfaction. What Makes a Good Job? Evidence from OECD Countries, Labor Market and Social Policy-Occasional Papers, 34, OECD.
  32. Eisenberger, R., Huntington, R., Hutchinson, S., & Sowa, D. (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 500-507. https://doi.org/10.1037/0021-9010.71.3.500
  33. Eom, D. S.(2012),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Trust in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Seongnam, Korea.
  34. Hogg, M. A., & Abrams, D.,(1990), Social Identifications:A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nd Group Processes, London and New York:Routledge.
  35. Hoff, D. A., Andersen, A., & Holstein, B. E.,(2010), Poor School Satisfaction and Number of Cannabis Using Peers within School Classes as Individual Risk Factors for Cannabis Use among Adolescents.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31(5), 547-556. https://doi.org/10.1177/0143034310382870
  36. House, R. J., & Levanoni(1981).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Rizzo, House and Lirtzman Role Scales: Toward a Clarification of the Nature of Role Conflict, Faculty of Management Studies, University of Toronto.
  37. Jencks, C. L., Perman & L. Rainwater (1988), What is a Good Job? A New Measure of Labor-Market Succes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3(6), 1322-1357. https://doi.org/10.1086/228903
  38. Solberg, V. S., Howard, K. A., Blustein, D. L., & Close, W.(2002), Career Development in the Schools: Connecting School-to-Work-to-Lif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0(5), 705-725. https://doi.org/10.1177/0011000002305003